2025.04.22 (화)

  • 흐림동두천 16.0℃
  • 흐림강릉 10.7℃
  • 흐림서울 17.5℃
  • 흐림대전 18.1℃
  • 대구 17.3℃
  • 울산 15.5℃
  • 광주 18.4℃
  • 부산 16.0℃
  • 구름많음고창 17.9℃
  • 흐림제주 17.8℃
  • 맑음강화 17.6℃
  • 흐림보은 16.8℃
  • 흐림금산 17.1℃
  • 구름많음강진군 17.4℃
  • 흐림경주시 17.2℃
  • 흐림거제 17.8℃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The Numbers] 부작용·과대광고 '주홍글씨' 셀리턴, 매출줄고 손실늘고 '재무 빨간불'…에스티지24, 이익잉여금 조차 '적자'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뷰티&헬스케어 전문 브랜드 셀리턴(Cellreturn)을 운영하는 에스티지24(대표이사 김일수)가 매출 급감과 적자 확대 속에서 심각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 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구조조정과 리스크 관리가 필수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에스티지24의 주요 주주는 김일수 대표이사 86.64%, 김대표의 배우자인 김나연 10.00%, 김솔현 0.01%, 셀리턴홀딩스 3.35%등이다.

 

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에스티지24의 2024년 매출은 41억원으로 전년(2023년) 127억원 대비 약 67.7% 감소했다.

 

영업손실도 약 2배 가까이 늘어났다. 전년 26억원에서 지난해 47.5억원으로 82.7% 증가했다. 당기순손실은 3배 가량 증가했다. 전년 22.9억원에서 63.7억원으로 178% 확대되며 더욱 수익성 악화가 심화됐다.

 

부채비율은 전년과 동일하게 약 180%를 기록했으며, 부채총계는 약 554억원으로 자본총계(약 308억원)를 초과했다.

 

유동부채는 541억원으로 단기차입금(522억원)이 주요 구성 요소이며, 비유동부채는 약 1.3억원으로 나타났다. 즉 유동성 부족이 심각한 상황이다.

 

총자산은 전년 931억원 대비 약 7.4% 감소해 862억원으로 나타났다. 유동자산은 약 129억원으로 현금성 자산은 약 1.3억원에 불과해 유동성 압박이 심화됐다. 

 

에스티지24는 총 146억원의 매출채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약 121억원을 대손충당금으로 설정했다. 이는 회사가 채권 회수 가능성을 낮게 평가한 결과로, 재무제표에는 매출채권 잔액에서 대손충당금을 차감해 표시한다.

 

즉 매출채권 대비 약 82.9%에 해당하는 금액을 대손충당금으로 설정했다는 것은 회수 가능성이 낮음을 보여준다. 이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정확히 반영하고, 잠재적 손실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비유동자산은 734억원으로 토지와 건물이 주요 구성 요소다. 

 

또 회사가 보유한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서로 237 소재 토지 장부가액은 약 524억원이나 공시지가가 약 223억원으로, 장부가액 대비 공시지가 비율은 약 46.3%로 평가 차이가 크다. 

 

높은 장부가액은 회사의 자산 규모를 확대해 재무제표상 긍정적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실제 매각시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거래되거나 추가 평가 절차가 필요할 수 있어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셀리턴홀딩스에 단기대여금 약 7억원을 보유하고 있다. 또 지급보증 규모는 약 285억원에 달한다. 이는 회사가 금융기관 또는 기타 채권자와의 거래에서 신용을 확보하기 위해 특수관계자로부터 보증을 받은 금액을 말한다. 특수관계자가 보증 의무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회사가 이를 대신 부담해야 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즉 단기대여금과 지급보증은 회사의 자산과 부채 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이행 책임이 발생할 경우 회사의 유동성 압박이 심화될 수 있다. 따라서 관계사와의 의존도를 줄이고 거래 투명성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에스티지24는 당기순손실이 약 63.7억원에 달하며, 이익잉여금이 -107억원으로 적자를 기록했을 정도다. 당연히 이익잉여금이 적자이므로 배당금을 지급할 여력이 없다.

 

판매비와 관리비는 총 71억원이며, 이 중 급여비는 6.7억원, 퇴직급여 9.3억원, 지급수수료 11억원, 광고선전비 11.7억원으로 나타났다.

 

매출항목을 세분화해 보면, 제품매출 10.7억원, 상품매출 12.6억원, 서비스매출 1758만원, 기타매출 5000만원, 임대료매출 17.2억원으로 나타났다.

 

기업 재무분석 전문가는 "에스티지24는 매출 급감과 적자 확대 속에서 심각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 토지 자산 등 유형자산을 활용한 추가 자금 조달 및 사업 다각화를 통해 재무 건전성을 시급히 회복해야 한다"며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 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구조조정과 리스크 관리가 필수적이다"고 지적했다.

 

한때 전성기를 누렸던 2018년의 경우 에스티지24의 매출은 651억원 영업이익은 203억원에 달해 영업이익률이 무려 31.2%에 달했으며, 전년대비 영업이익 성장률 1235.3%까지 치솟았다. (2017년 매출과 영업이익 38억원/15억원).

 

2020년 셀리턴은 광고모델로 배우 이민호 뿐만 아니라 박서준, 강소라까지 모델로 발탁해 '블록버스터급 광고 영상'까지 제작하며 SNS채널에서 화제가 됐다.

 

잘 나가던 셀리턴의 몰락은 2020년부터 시작됐다.

 

셀리턴의 매출은 2019년 1285억원에서 2020년 149억원을 기록하며 90%가량 감소했다. 영업이익도 2019년 397억원에서 2020년 영업손실 129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불과 1년새 매출은 1000억원 이상, 영업이익 500억원 이상 감소한 것.

 

그 이유는 안정성 논란으로 셀리턴 LED 마스크 시장 자체에 대한 불신이 커졌으며, 셀리턴 디바이스의 경우 부작용이 많아 소비자 민원도 자주 보고된 점이 매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특히 부작용의 주된 증상은 가려움, 홍반, 여드름, 망막 손상 그리고 실명 위기까지 보고됐다. 네이버에선 셀리턴 사용 후 부작용을 입은 피해자 모임의 카페도 개설됐다.

 

게다가 결정적으로 LED 마스크의 인기가 치솟던 시기에 과대광고 문제가 불거졌다. 당시 식약처는 "의료기기로 허가받지 않았고, 효능이나 효과가 검증된 바 없는 일반 공산품 LED 마스크임에도 '주름 개선'이나 '안면 리프팅', '기미·여드름 완화', '피부질환 치료·완화' 등 의료기기로 오인할 수 있는 내용을 광고했다"고 발표했다.

 

업계 관계자는 "2019년에 식약처에서 발표한 과대광고 이후 판매량이 급감했다"며 "판매량 자체를 집계하지 않을 만큼 홈 뷰티 시장에서 LED 마스크 자체의 판매량이 주저앉았다"고 설명했다. 당시 국내 주요 LED 마스크로는 프라엘(LG전자), 엘리닉(한국후지필름), 오페라 미룩스(지티지웰니스) 등이 있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5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세계 책의 날(4월 23일)’ 맞아 국군장병에게 책 선물…놀유니버스, 병영 독서문화 위한 지속적 ESG 활동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놀유니버스(공동대표 배보찬ㆍ최휘영)가 다가오는 ‘세계 책의 날(4월 23일)’을 맞아 국군 장병을 대상으로 정기 도서 기부 캠페인을 진행한다. 놀유니버스는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 경영 활동의 일환으로 4월 21일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육군 제1군단 보충대에 300여 권의 도서를 기증했다. 이번 기부는 국군 장병들에게 지적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고 병영 내 문화 활동 기회를 넓히기 위해 기획됐다. 놀유니버스는 장병들의 사전 수요를 반영한 희망 도서와 이수진 야놀자 총괄대표가 ‘도전’과 ‘성장’의 의미를 담아 직접 추천한 도서를 전달했으며, 부대 내에는 놀유니버스 전용 도서 코너도 마련했다. 지난해 야놀자는 ‘세계 책의 날’과 ‘국군의 날’을 계기로 경기 연천군 소재 육군 제5보병사단, 전라북도 익산에 위치한 육군부사관학교 등 군부대에 누적 600권의 도서를 전달한 바 있다. 놀유니버스는 야놀자의 기부 취지를 이어받아 군 장병들이 책을 통해 지적 성장을 이룰 수 있는 환경 조성에 동참한다. 앞으로도 국군 장병들이 복무 기간 동안 건강한 독서 습관을 형성하고 전역 이후 학습과 성장을 이어가도록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다. 박성식 놀유

강민국 "한화에어로의 유상증자, 임직원에 '강매 후 이직금지'"조사 촉구…공정위 "공정거래법 적용가능 검토"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소속 직원들에게 유상증자 주식을 사실상 강매한다는 의혹에 대해 강민국 국회의원((국민의힘, 진주시 을)이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관계 당국의 적극적인 조사를 촉구했다. 지난 3월 20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3조6000억원 규모의 대규모 유상증자를 의결했으나, 유상증자 발표 직후 주식 폭락으로 인한 소액주주의 막대한 손실에 대한 책임과 총수 일가의 승계를 위한 편법 유 상증자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이에 4월 8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당초 3조6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증자액 축소를 발표했지만, 주주배정 유상증자 2조3000억원 어치 426만7200주의 20%인 4600억원 어치 85만3440주를 한화에어로 우리사주조합에 신주 배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2025년 3월말 기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직원수는 7745명이며, 이에 임직원 1인당 110주, 즉 5940만원 어치의 물량이 배정된 것이다. 6월 4일에 예정된 우리사주 청약에 대해 직원들은 주식을 매수할 의무는 없으며 , 특히 회사 측의 우리사주 강매는 근로복지기준법 제42조의 2에서 금지하고 있다 . 강민국 의원은 "4월 14

[The Numbers] "공유오피스 신화의 몰락" 위워크코리아, 자본잠식·차입금에 '휘청'…"계속기업 불확실성" 경고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위워크코리아 유한회사(대표이사 클로디오 앤드레스 히댈고 새즈)가 전년 당기순손실에서 지난해 흑자전환에는 성공했지만, 재무건전성에 들어온 빨간불은 더욱 짙어졌다. 단기차입금 급증으로 인한 유동성 위험과 자본잠식으로 인해 감사기관이 "계속기업 관련 중요한 불확실성"을 경고했다. 회계감사기관조차도 "정상적으로 계속 운영할 수 있을지에 대해 심각한 의문이 생겼다"는 의미를 완곡하게 표현한 것이다. 즉 회사가 당장 문을 닫거나 부도날 위험이 있다는 신호로, 유동자금 부족, 자본잠식, 만기 도래한 빚을 갚을 능력이 없는 상황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위워크코리아의 연결기준 매출(영업수익)은 1248억원으로, 전년(1225억원) 대비 1.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516억원으로 전년 489억원보다 5.5% 늘었으며, 당기순이익은 996억원 흑자로 전년 479억원 적자에서 흑자전환했다. 영업이익률은 41.3%로 집계됐다.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93억원, 유동자산은 205억원, 유동부채는 2219억원으로 유동비율은 9.2%에 불과하다. 이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단기 지급능력

"중앙아시아에 K-톡신·필러 열풍 후끈"…휴젤, 카자흐스탄서 ‘보툴렉스’ 및 ‘리볼렉스’ 론칭 세미나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글로벌 토탈 메디컬 에스테틱 전문 기업 휴젤㈜이 최근 카자흐스탄 알마티 홀리데이인 호텔에서 현지 피부과 및 성형외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보툴렉스’와 ‘리볼렉스’의 론칭 세미나를 개최했다. 카자흐스탄은 안정적인 경제 환경과 높은 인구 증가율 등으로 미용 에스테틱 산업이 연간 약 10%씩 성장하고 있는 중앙아시아 최대 국가다. 휴젤은 카자흐스탄 론칭을 발판으로 인근 독립국가연합(CIS) 국가들도 적극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론칭 행사는 ‘NEXTGEN Beauty Congress’라는 주제 아래 카자흐스탄 미용ㆍ의료전문가 120여 명을 초청, 휴젤의 보툴리눔 톡신 ‘보툴렉스’와 HA 필러 ‘리볼렉스(국내 제품명: 더채움)’를 현지 최초로 소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행사 초청 연사로 참여한 박종훈 원장(오운의원 삼성점)이 ‘보툴렉스’의 임상적 효과와 아시아인 얼굴에 적합한 ‘리볼렉스’ 활용법 등 각 제품별 특장점에 대해 강의하고, 국내 임상 케이스를 공유하는 등 현지 의료진의 병행 시술 테크닉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휴젤 관계자는 “중앙아시아 경제적 중심지인 카자흐스탄에 휴젤 대표 제품 보툴렉스와 리볼렉스를 함께 선보이게 되어 기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