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3.9℃
  • 맑음강릉 11.0℃
  • 흐림서울 3.8℃
  • 구름많음대전 8.2℃
  • 구름많음대구 9.5℃
  • 구름많음울산 12.2℃
  • 구름많음광주 8.5℃
  • 구름많음부산 13.3℃
  • 흐림고창 9.1℃
  • 흐림제주 12.8℃
  • 구름많음강화 3.5℃
  • 구름조금보은 6.7℃
  • 구름조금금산 8.5℃
  • 흐림강진군 9.3℃
  • 구름많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전기 에어택시 '조비 에비에이션', 블레이드 에어 모빌리티 승객 사업부 1억2500만 달러에 인수…미국·유럽 에어택시 판도 바뀔까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전기 에어택시(eVTOL) 개발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블레이드 에어 모빌리티(Blade Air Mobility)의 승객 부문을 최대 1억2500만 달러(약 1728억원)에 주식 또는 현금으로 인수한다고 8월 4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했다.

 

Globenewswire, Axios의 보도에 따르면, 이 계약은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산업의 대형 통합 사례로, 2025년 8월 1일 체결된 이번 거래를 통해 조비는 블레이드의 미국 및 유럽 승객사업, 프리미엄 라운지와 터미널, 약 10만여명의 연간 고객 기반, 그리고 업계 상징적 브랜드 자산을 단숨에 확보하게 됐다고 전했다.

 

전략적 시장 진입…"바로 상업화"

 

조비 CEO 조벤 비버트(JoeBen Bevirt)는 “블레이드 팀이 UAM이 무엇이 될 수 있는지 명확히 보여줬다”며, 블레이드의 기존 인프라와 프리미엄 도심터미널(존 F. 케네디·뉴어크 공항 포함 12곳) 확보로 조비의 고객 확보 비용이 대폭 감소하고, eVTOL 상용화 전환이 즉각적으로 가능해졌음을 강조했다.


블레이드 창립자 롭 와이젠탈(Rob Wiesenthal)은 “조용한 전기항공기가 기존 헬리콥터가 닿지 못하던 더 많은 항로를 열게 될 것”이라 밝혀, 도심 이동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했다.

 

의료사업부 분할 및 독립…'Strata Critical Medical'로 재탄생


블레이드는 승객사업을 매각하는 동시에, 자사의 의료사업부를 별도 상장사 '스트라타 크리티컬 메디컬(Strata Critical Medical)'로 분사한다.


스트라타는 블레이드의 2024년 기준 부문 조정 EBITDA의 84%, 매출의 59%를 차지하는 트리니티 메디컬 솔루션즈(Trinity Medical Solutions) 자회사를 통해 미국 최대 장기 운송 네트워크를 구축해왔다.

 

의료사업부는 현 CFO인 윌리엄 헤이번(William Heyburn)과 멜리사 톰키엘(Melissa Tomkiel)이 공동 CEO를 맡으며, Joby와 장기 파트너십을 맺어 Joby의 eVTOL 기체를 의료 이송용 항공편에 활용할 예정이다.

 

산업 가속화…글로벌 진출·생산 확대·대형 항공사와 협업

 

이번 거래는 글로벌 UAM 상용화 일정을 앞당기는 ‘게임 체인저’로 평가된다. 조비는 2026년 두바이 런칭 이후 뉴욕 등 대도시로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며, 델타항공과 협력해 에어택시의 항공사 연동을 추진 중이다.

 

조비는 캘리포니아 마리나 공장 증설을 통해 연 24대 항공기 생산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6월 발표한 eVTOL 기술 활성화 행정명령 – 화물, 의료, 농촌 교통 혁신 시범사업 –과 맞물려 업계 전체의 기술적·제도적 도약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지구인이 외계인 찾기 시도한 날(11월 16일)…'아레시보'와 외계 생명체 교신 5W1H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1월 16일은 지구인들의 우주역사에서 의미있는 날이다. 외계인의 존재를 찾기위한 작은 몸짓을 시도한 날이기 때문이다. 1974년 11월 16일 푸에르토리코의 아레시보 천문대에서 인류는 최초로 외계 지적 생명체를 대상으로 한 전파 메시지를 발송했다. 이 메시지는 이때부터 '아레시보 메시지(Arecibo message)'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당시 코넬 대학교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가 작성하고, 칼 세이건 등 과학자들의 협력을 통해 완성됐다. 1. 아레시보 메시지를 보낸 이유와 의미 아레시보 메시지는 외계 지적 생명체와의 교신을 위한 진지한 시도라기보다는, 당시 과학 기술의 발전을 기념하고 과시하기 위한 목적이 더 컸다. 메시지가 향한 허큘리스 대성단(M13)은 지구로부터 약 2만5000광년 떨어져 있어, 단순계산으로도 메시지가 도달하는 데만 2만5000년이 소요되며, 응답을 받기까지는 총 5만년이 걸린다. 실질적인 교신보다는 인류의 기술적 성과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벤트였다. 메시지는 2380MHz 주파수 대역으로 초당 10비트의 속도로 전송됐으며, 총 전송 시간은 약 3분이었다. ​​ 메시지는 총 1,679비트의 이진수로 구성

[The Numbers] 제주항공, 3분기 550억원 영업손실…무안공항 참사 여파 '재무리스크'로 휘청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제주항공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55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3883억원에 그쳤고, 환율 상승과 경쟁 심화가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올해 3분기 평균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항공기 임차료와 정비비 등 달러 결제 비용이 크게 늘었고, 중·단거리 노선에서 항공사 간의 공급 과잉으로 가격 경쟁이 치열해진 점이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지난해에 비해 일본 노선이 지진설 여파로 성수기 효과를 보지 못하고, 10월에 추석 연휴가 포함된 점도 실적 저하에 한몫했다.​ 재무적 타격은 3분기 실적에만 그치지 않는다. 2024년 12월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항공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이 부각됐다. 승객과 유족에 대한 보상 한도는 약 1조4720억원(10억 달러 상당)으로 책정됐으며, 이는 비행기 사고 관련 국제 약관인 몬트리올 협약에 따른 최고 한도액이다. 제주항공 측은 초기 예매금액 환불과 더불어, 약 2421억원(1억6500만 달러)에 달하는 단기 차입금 상환 부담까지 겹치며 단기적인 현금 유동성 위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