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8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The Numbers] 방역 1위 '세스코', 매출·현금자산 사상최대…국내 '장악' 해외 '글쎄'

국내방역 1위, 매출 4236억원…영업이익 333억원
코로나19 이후 수익성↑…잉여금 3030억
당기순이익 329억원, 이자수익 211% 늘어난 84억원
법인세 158억원으로 2배 '쑥'
용역매출, 2022년 3925억원→2023년 403억원 '뚝'
현금성자산, 1110억원→1340억원 증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고급 레스토랑,  동네 중국집, 특급호텔·백화점 화장실 어디를 가도 우리의 눈에 확띄며, 자주 보이는 기업로고가 있다. 바로 생활방역, 위생환경 전문기업인 세스코(대표이사 전찬혁). 

 

세스코의 기업성적표는 코로나19 전과 후로 나뉜다. 코로나19의 최대 수혜기업으로 평가받으며 방역소독, 상품판매등이 급성장했다. 종합 생활환경 위생기업으로 해충방제, 방역소독, 바이러스케어, 식품안전, 공기질안심관리, 환경위생 솔루션을 제공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국내 1위 방역업체 세스코(CESCO)가 매출 실적을 또 다시 갈아치웠다. 코로나19 이후 수익성이 ‘퀀텀점프’한 이후 이익잉여금도 무려 3000억원을 돌파했다. 국내 1만여개 이상의 업체가 난립하는 방역시장에서 압도적인 시장점유율로  국내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의 세스코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매출은 4236억원으로, 전년비 3988억원보다 6.2%늘었다. 반면 영업이익은 333억원으로 전년(374억원)보다 11.0%(41억원) 감소했다.

 

당기순이익 329억원으로 전년 301억원보다 증가했다. 영업외 수익 중 이자수익은 전년 27억원보다 211% 늘어난 84억원을 기록했다. 법인세도 2022년 86억원에서 지난해 158억원으로 2배가량 크게 증가했다.

 

매출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상품매출액 60억원, 용역매출액 403억원, 제품매출액 14억원, 렌탈매출액 129억원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2년 전체 매출액 3989억원 중 용역매출은 3925억원을 기록, 전체 매출에서 98.4%를 차지했다. 이는 직접 직원들이 현장에 나가서 방제해 벌어들인 돈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뜻이다. 사실상 인력중심으로 운영되는 회사라는 것을 방증한다. 

 

특이한 점은 2023년 매출액 중 용역매출액은 403억원(9.5%)을 기록, 1년새 용역매출액이 3522억원 감소했다는 것이다.

 

이외에 접대비는 14억원으로 전년 9억원보다 늘었다. 반면 광고선전비는 89억원으로 전년 124억원보다 28% 감소했다. 

 

최근 5년간 매출을 살펴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매출은 2790억원->3634억원->3847억원->3989억원->4236억원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코로나19가 발발한 2020년부터 3000억원을 넘어서며 방역기업으로서의 전문성을 확인시키며 급성장했다.

 

영업이익은 2019년 246억원, 2020년 611억원, 2021년 505억원, 2022년 374억원을 기록한 후 지난해 333억원을 기록했다.

 

질적 지표인 영업이익은 다소 주춤하지만, 양적 지표인 매출은 꾸준히 성장하며 기업가치도 고공행진중이다.

 

지난해 말 총자산 4020억원에 이익잉여금이 2700억원→3030억원으로 불어났다. 현금성자산도 1110억원→1340억원으로 증가하며 현금 유동성도 양호하다. 그래서 2021년부터 무차입경영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외 지사의 경우 아직 뚜렷한 성과는 내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각각 세스코 상하이 21억원, 세스코 베이징 18억원, 세스코 베트남 41억원을 기록했다. 그외 투자기업인 더밸류 4억8000만원, 아이스퀘어 6억4500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세스코는 2003년에 처음으로 중국으로 진출해 상하이에 법인을 설립했지만, 중국 진출 20년에 접어든 지금까지도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이지는 못하고 있다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베트남에서도 상황은 마찬가지. 세스코는 2014년에 베트남에 진출해 사업 10년 차에 돌입했으나 성과는 미비한 것으로 분석된다.

 

 

 

세스코는 서울 강동구 상일동에 지하 6층~지상 12층 규모의 세스코터치센터 사옥과 지하 6층~지상 10층짜리 세스코멤버스시티 건물도 소유하고 있다. 임직원은 전국 3345명이며, 본사 사무직만 400여명에 이른다. 

 

사옥 건설을 위해 2015년 차입금이 414억원에 이르기도 했지만 2021년에 가서는 전액 상환했다. 83.9% 수준이던 부채비율도 32.4%로 낮아졌다.

 

세스코는 1935년 강원도 정선 태생의 전순표 총회장이 1976년 8월 23일에 (주)전우방제로 창립, 2000년 4월 1일에 상호를 (주)세스코로 변경했다. 동국대에서 농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은 후 농림부에서 식물방역 업무를 했고, 이후 농업경제연구소 등에서 근무했다. 1960년대 곡식을 갉아 먹는 쥐 피해가 심각했던 시절, 쥐잡기 업무담당 경험이 사업의 발판이 됐다는 분석이다.


전순표 총회장은 2017년 2월 경영일선에 물러났다. 창업주의 2남1녀(전찬민·전찬혁·전민영) 중 차남 전찬혁 회장이 가업을 물려받아 경영중이다. 전찬혁 회장의 세스코 지분율은 거의 100%에 가까운 지분 99.84%를 소유하고 있다. 나머지는 전 창업주와 부인 김귀자씨가 각각 0.08% 절반씩 가지고 있다. 전 회장은 유일(唯一) 등기임원이다.

 

전순표 총회장은 일찌감치 후계구도를 정리하며, 동생에게 밀린 맏아들 전찬민에게 지분 80%를 갖고 있는 살충제 업체 팜클을 넘겨줬다. 팜클의 나머지 지분 20%는 전순표 총회장과 부인 김귀자씨가 갖고 있다.

 

팜클의 전신은 세스코의 제약사업 부문이다. 전찬민 대표는 2002년부터 팜클을 맡아서 운영해왔다. 만성적자에 시달렸던 팜클은 2014년부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전순표 총회장 부부가 전찬혁 회장에게 형 기업인 팜클을 적극 도와주도록 독려했을 것으로 보고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살펴보면, 팜클 매출의 절반은 세스코에서 나온다. 최근 5년간 팜클 매출에서 세스코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52.9%(192억3500만원 중 101억6700만원), 2019년 47.7%(202억1900만원 중 96억4300만원), 2020년 39.4%(272억5400만원 중 107억3800만원), 2021년 51.8%(245억5300만원 중 127억2200만원), 2022년 50.3%(261억4700만원 중 131억4600만원)다. 

 

전찬민 대표는 건물과 근린상가 등을 보유한 임대사업자이기도 하다. 모친인 김귀자 부회장으로부터 서울 강남구 개포동 소재 빌딩 한 채를 넘겨 받았다. 전 대표 소유의 숙박시설 35억원 및 근린상가 18억원은 팜클 차입금의 담보로 들어가 있다.

 

팜클 외에 오너일가의 관계사로 씨비티(CBT)가 있다. 세스코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세스코의 씨비티 제품 매입액은 57억원으로, 20년 49억원, 19년의 43억원보다 계속 늘어나고 있다. 2009년 설립된 씨비티는 세스코에 해충 방제용 약제 등을 납품하는 회사다. 전순표 회장 부인인 김귀자 세스코 부회장이 지분 100%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스코 감사는 물론 세스코 관계사인 해충방제용 제약사 씨비티(CBT)의 감사도 겸하는 조병찬 감사는 전찬혁 회장과 막역한 사이인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은 세스코 감사 외에도 조 감사가 경영하고 있는 에스제이씨오(SJCO)를 통해 협력관계를 가지고 있다.

 

조병찬 감사는 국내 전기밥솥 1위 가전업체인 쿠쿠전자의 쿠쿠 압력밥솥과 정수기를 생산하는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인 나노마이크로텍의 주주다.  에스제이씨오는 현재 쿠쿠의 공식총판으로 알려졌다.

 

구본학 쿠쿠전자 대표(구자신 창업주의 장남), 전찬혁 세스코 회장,  조병찬 에스제이씨오(SJCO) 대표는 69년생 동갑이며, 고려대 경영학과 동문이다.

 

최근 세스코는 ESG경영((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도 열성적이다. 이런 노력덕분에 ESG 경영과 노사협력 성과를 인정받아 5월 10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18회 국가지속가능 ESG 컨퍼런스’에서 고용노동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이번 시상은 지속가능한 ESG 경영을 모범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우수기업을 포상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급변하는 세계 경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고자 추진됐다. 한국언론인협회와 고려대 ESG연구원이 주최하고, 기획재정부·외교부·보건복지부·환경부·고용노동부·공정거래위원회·금융위원회·식품의약품안전처·동반성장위원회 등 9개 정부 중앙행정기관이 후원했다.


세스코는 남녀 평등한 인사정책, 높은 정규직 비율과 안정적인 고용, 정년 보장과 중장년층 신규 고용, 상호존중 조직문화와 체계적인 내부 교육 프로그램, 사내 소통 채널 구축과 전담부서 강화, 시나리오플래닝 기반의 입스탐클스(IPSToMCLS) 및 팀 시스템으로 일하는 문화, 임직원들의 ESG 경영 참여를 위한 기본 지킴이 가이드 마련 등의 노력을 인정받았다.


세스코는 해충방제, 식품안전,환경가전, 이물분석, 시험분석 등의 환경위생 분야에서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문기업이다. 방역소독업계 최초로 5대 주요 표준경영인증(ISO9001·14001·45001·27001·27701)을 취득하고, 친환경 해충방제 시스템과 약제를 개발하는 등 ESG 역량을 강화해왔다.


세스코는 “근로자의 업무 만족도 향상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에 노력해왔는데, 이번 수상으로 의미가 깊다”며 “앞으로도 안팎의 의견에 귀 기울여, ESG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이 되겠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강남비자] 잠실은 동잠실·서잠실·신잠실 vs 반포는 동반포·서반포…반포대로 경계로 東 자이 vs 西 래미안 '장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지금 이순간에도 강남으로의 이주를 꿈꾸며 ‘강남 환상’ 혹은 '강남의 찐가치'에 사로잡혀 있는 비강남 사람들에게 진실된 모습을 알리고자 한다. 때론 강남을 우상화하고, 때론 강남을 비화하는 것처럼 느껴질 지도 모르지만, 언젠가 강남의 가치가 급등해 비자를 받아야하는 시대가 올 수도 있겠다는 생각에서 '강남VISA'라 명명한다. 나아가 강남과 강북간의 지역디바이스를 극복하는데 일조하고 이해의 폭을 넓혀 허상도 파헤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한 개인의 사적인 의견이니 오해없이 그냥 가볍게 즐겨주길 바란다. 잠실(蠶室)에 동잠실, 서잠실, 신잠실이 있다면, 반포(盤浦)에도 동반포, 서반포가 있다. 잠실이라는 지명은 조선시대 왕실의 '누에를 치는 방'이다. 송파구 잠실동이 원래 잠실로서 동잠실이라면, 지금의 서대문구 연희동 쪽에 서잠실이 있었다. 서초구 잠원동의 잠실은 송파구 잠실보다 늦게 생겼으므로 '신잠실'이라고 불렀다. 이후에 이곳과 혼동되지 않도록 잠실리의 '잠(蠶)'자와 인근 신동면(新東面) 신원리(新院里)의 '원(院)'자를 따서 지금의 '잠원동(蠶院洞)'으로 바꿨다. 서울 서초구 반포동이 ‘반

6명 숨진 부산 반얀트리 리조트 화재, 뇌물·회유 '인허가 비리' 드러나…시행사 대표·소방직원 등 2명 구속·29명 입건

[뉴스스페이스=김헤주 기자] 부산 기장군 오시리아 관광단지 내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리조트 신축 공사장에서 2025년 2월 발생한 대형 화재로 6명의 노동자가 숨진 가운데, 경찰 수사 결과 인허가 과정에서 뇌물과 회유 등 각종 비리가 있었던 사실이 드러났다. 미완공 상태서 ‘준공’ 둔갑…수천만원 뇌물 오가 경찰에 따르면, 사고 당시 리조트의 공정률은 91%에 불과했으나, 시행사 측은 감리업체 직원과 공무원들에게 수천만원의 현금과 호텔 식사권 등 뇌물을 제공하며 ‘공사 완료’ 허위보고서를 꾸미고, 사용승인을 받아냈다. 이로 인해 미완공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법적으로는 ‘준공’ 처리가 이뤄진 것이다. 감리업체·공무원 등 29명 입건, 2명 구속 경찰은 시행사 대표와 감리업체 소방 담당 직원 등 2명을 뇌물공여 및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하고, 기장군청·기장소방서 공무원 등 29명을 건축법 위반, 업무상과실치사상 등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 앞서 화재 원인과 관련해 시공사 대표 등 6명도 ‘안전관리 소홀’ 책임으로 구속된 바 있다. 화재 원인은 안전관리 부실, 스프링클러도 무용지물 이번 화재는 2월 14일 오전 10시 51분께 공사 중이던 리조트 B동 1층 PIT실

[공간사회학] 드라마 '협상의 기술'에 등장한 '포도호텔'…제주 7대 건축물·이타미 준·비오토피아·포도뮤지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종영된 Jtbc 이제훈 주연의 드라마 '협상의 기술'에 제주도 고급리조트인 '포도호텔'이 등장에 관심을 끌었다. 극 중에서 제주도 고급 리조트로 등장하는 '다도 호텔'은 송 회장이 딸 송지오에게 선물한 호텔로 설정되어 있다. 이 설정은 실제 사례인 SK그룹 최태원 회장과 김희영 티앤씨재단 이사장의 사건과 일부 유사점이 있어 시청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실제로 최태원 회장은 김희영 이사장에게 제주도에 위치한 포도뮤지엄 운영을 맡긴 바 있으며, 이는 SK그룹이 회사 차원에서 해당 공간을 인수하고 리뉴얼한 뒤 김희영 씨에게 총괄을 맡긴 사례와 유사하다. 드라마 속 설정은 이러한 실제 사건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포도호텔은 SK그룹의 자회사인 SK핀크스가 소유하고 있다가 2020년 '휘찬'(SK(주) 자회사)이 인수했다. 원래 일본 기업 핀크스가 소유했던 이 호텔은 SK네트웍스가 2010년에 인수했으며, 이후 제주 서귀포 지역의 럭셔리 리조트로 자리 잡았다. 2001년에 개관한 포도호텔은 세계적인 건축가 이타미 준(유동룡)이 제주의 오름과 민가의 초가집에서 영감을 받아 설계했으며, 지역성과 자연 친화성을 극대화한 '풍토건축'

[공간사회학] “세금으로 특정 브랜드 확장?”…평창군 ‘작심 스터디카페'에 가맹점주·자영업자 '발끈', 왜?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이종화 기자] 강원 평창군이 공공 예산을 투입해 ‘작심’ 브랜드의 직영 스터디카페를 설치·운영할 예정인 가운데 가맹점주와 관련업계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거센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관련 기사([공간사회학] 공공자금으로 추진되는 평창의 '작심 스터디카페'…가맹점주들이 우려하는 까닭 https://www.newsspace.kr/news/article.html?no=6878)에는 게재 수시간 만에 수십 건의 비판 댓글이 달리며, “공공의 이름을 빌린 특정 브랜드 지원 아니냐”는 의혹과 형평성 문제 제기가 쏟아졌다. ◆ “공모·입찰도 없었다”… 절차적 공정성 도마위에 평창군과 아이엔지스토리는 최근 협약을 맺고 평창읍 중심부에 231㎡ 규모의 스터디카페를 개소했다. 이 공간은 독립형 독서실, 스터디룸, 공용 학습 공간 등을 갖추고, 향후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이다. 평창군은 “지역 내 학습 공간 부족을 보완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지만, 선정 과정에서 공모나 경쟁 입찰 없이 민간 브랜드와 직접 협약을 체결해 절차적 공정성 논란이 불거졌다. 현재 작심 브랜드는 전국 약 700여 개 가맹점을 보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례가 다른 지

메타몽·보노보노 등 추억의 캐릭터들 잠실 롯데타운 '점령'… 롯데월드타워·몰 5월의 축제 '후끈'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롯데월드타워·몰이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소중한 사람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도록 다채로운 이벤트와 할인 행사를 마련했다. ◆ 어른도 아이도 즐거운 캐릭터와의 만남…화려한 꽃들의 여정까지 롯데월드타워 일대는 메타몽에 점령당했다. 12개 계열사가 참여한 '포켓몬타운 2025 위드 롯데'의 주인공은 모든 포켓몬으로 변신할 수 있는 '메타몽'이다. 메인 행사장인 롯데월드타워 월드파크 잔디광장에는 메타몽 100여 마리와 메타몽 세계관 체험 부스, 대형 포토존 등이 마련됐다. 행사장에 마련된 뽑기 기계를 돌리면 메타몽 썬캡도 받을 수 있다. 석촌호수 동호에는 메타몽이 변신한 초대형 피카츄와 라프라스가 변신이 완벽하게 되지 않은 얼굴로 미소 짓고 있다. 이외에도 롯데월드몰과 롯데백화점 잠실점에서 포켓몬 카드 전시, 경품 이벤트 등에 참여할 수 있으며, 행사는 오는 18일까지 진행된다.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에서는 6월 1일까지 '보노보노 친구들과 아쿠아리움 나들이'가 열린다. 매일 3회(오전 10시·오전 11시 30분·오후 4시) 아쿠아리움 정문에서 보노보노가 직접 환영 인사를 건네고, 다양한 구역에 설치된 보노보노 조형물과 함께 기념 사

[The Numbers] 스터디카페 '작심' 아이엔지스토리, 200억 전환상환우선주로 '구사일생'…소송 5건·누적결손 377억·부채 410%·낮은 유동성 '첩첩산중'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스터디카페 작심 브랜드를 운영하는 아이엔지스토리(대표이사 강남구)는 2024년 200억원 전환상환우선주 전환과 함께 흑자 전환이라는 긍정적 신호를 보였으나, 누적 결손과 높은 부채, 낮은 유동성, 5건의 법적 소송 등 구조적 리스크가 여전히 상존한다. 기업 재무분석 전문가는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에도 불구하고, 이익잉여금(결손금)은 여전히 마이너스 377억원에 달한다. 과거 누적 손실이 상당해 자본잠식 위험이 상존한다"면서 "게다가 부채비율이 410%로 높고, 유동비율이 59%로 낮아 재무구조가 취약하다. 또 단기차입금과 유동부채 부담이 크고, 현금성자산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또 "RCPS 전환은 당장의 재무건전성 개선에 기여했으나, 주가 변동성과 고부채 구조가 결합되면 이중리스크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면서 "사업 확장과 구조조정의 효과가 중장기적으로 재무구조 개선과 수익성 안정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고 분석했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제출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아이엔지스토리의 2024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203억원으로 전년(171억원) 대비 18.8%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억6892만원으로 전년(

[공간사회학] 공공자금으로 추진되는 평창의 '작심 스터디카페'…가맹점주들이 우려하는 까닭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스터디카페 업계 1위 브랜드 ‘작심’을 운영하는 아이엔지스토리(대표 강남구)가 최근 강원도 평창군(군수 심재국)과 함께 추진한 공공직영 스터디카페 사업이 업계 내 논란을 낳고 있다. 교육 격차 해소와 지역 학습 인프라 확충이라는 명분 아래 출발한 이번 협업은, 공공 정책과 민간 브랜드의 협력 모델이라는 측면에서 주목받는다. 반면, 기존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들 사이에서는 "영업권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해당 사업은 평창읍 중심부에 231㎡ 규모로 신축되는 학습 공간으로, 작심 본사가 직영 운영을 맡는다. 오픈형·독립형 독서실, 스터디룸, 공용 학습 공간 등을 갖추며, 향후 지역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도 제공될 예정이다. 사업 추진 배경에는 공공도서관 외 별도 학습 공간이 부족하다는 평창군의 문제의식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민간 운영사를 선정하고, 본사 직영 시스템을 적용해 지속 가능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기존 민간 가맹점과의 상생 구조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작심 브랜드는 전국 700여 개 이상의 가맹점을 기반으로 성장해왔으며, 상당수는 지방 중소도시에 입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