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2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이슈&논란] "그록의 스파이시 모드, 클릭 한 번에 '테일러 스위프트' 누드 합성"…머스크 AI의 무단 딥페이크 '논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xAI의 인공지능 생성기 '그록(Grok) AI'가 세계적 유명인에 대한 딥페이크 누드 이미지를 별도의 요청 없이 자동으로 생산해내며 전 세계적인 거센 비판에 직면했다.

 

특히 테일러 스위프트를 직접 대상으로 한 노골적 합성물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장면이 보도되면서, AI 기술의 규제 공백과 시스템적 한계를 드러냈다고 The Verge, BBC, CommonDreams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그록 AI '스파이시 모드', 클릭만으로 노골적 합성…연예인·정치인 망라한 딥페이크 확산


xAI가 2025년 8월 새롭게 론칭한 Grok Imagine의 '스파이시(Spicy) 모드'는 X(옛 트위터) 프리미엄 가입자라면 누구나 네 가지 프리셋 중 하나로 손쉽게 선택 가능하다.

 

미국 IT 저널 The Verge의 취재 결과, 해당 모드는 사용자가 "테일러 스위프트가 남자들과 코첼라 페스티벌을 축하하는 모습"처럼 지극히 평범한 이미지를 요청하고 단지 '스파이시' 옵션 선택만으로 완전히 노출된 상반신 영상과 노골적인 딥페이크 이미지가 자동 생성됐다.

 

이는 "AI에게 속옷을 벗기도록 요청하지도 않았다"는 사용자의 진술에서 더욱 충격을 안겼다.

 

실제로 X(트위터) 상에선 'Taylor Swift Grok Images' 등 검색어 조차 차단된 상태지만, 올해 1월 스위프트의 합성 누드 사진이 단 17시간 만에 약 4700만회를 넘게 조회됐다가 삭제되는 사건도 있었다. 이는 유명인 딥페이크의 압도적 확산속도를 입증하는 수치다.

 

심지어 2023년 발표된 'State of Deepfakes' 보고서에 따르면, 온라인에서 생성·유포되는 딥페이크 중 99%가 음란물이고, 피해자의 98~99%가 여성으로 집계됐다.

 

구멍투성이 '안전장치'…연령 인증도 허술, 글로벌 규제 한계 여전


xAI의 그록 AI는 명목상 “인물의 외모를 음란하게 묘사하는 행위”를 금지한다는 허용 사용 정책(acceptable use policy)을 명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실증 테스트에선 별다른 추가 검증이나 제재 없이 유명인 누드 딥페이크 생성이 가능했고, 연령 확인 역시 단 한 번, 증명서 업로드조차 요구하지 않는 등 "어린아이도 우회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유럽연합(EU) 및 미국 정부기관도 X플랫폼 및 AI출력물에 대한 콘텐츠 조정 실태에 대해 공식적인 우려와 조사를 진행 중이다.

 

규제 강화 목소리 고조…미국 'Take It Down Act' 등 입법 움직임


이번 사태에 대해 미국 의회는 초당적 법률 제정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 상하원은 2025년 4월, AI가 생성한 비동의 딥페이크 포르노를 연방 범죄로 규정(최대 징역형 포함), 피해 신고 즉시 48시간 내 삭제를 의무화한 'Take It Down Act'를 통과시켰다.

 

테일러 스위프트 사건 역시 법안 도입의 계기가 됐다. 미국 10여 개 주(州)는 이미 비동의 딥페이크 포르노를 형사처벌 대상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피해자에게 민사소송권을 보장하는 주도 늘고 있다. 영국 등 일부 유럽 국가는 이미 2023년부터 딥페이크 포르노의 생성·유통 자체를 불법화했다.

 

여론도 압도적으로 '불법화 찬성'…비상식적 확산에 우려 커져

 

2024년 미국 인공지능 정책연구소의 설문에 따르면, 미국 유권자 84%는 ‘비동의 딥페이크 포르노’가 불법이어야 한다고 답했다. BBC 등 외신 및 학계 조사에서도 2019년 대비 2023년 딥페이크 음란물 생성이 550% 급증했다는 통계가 발표됐다. 여성이 대상인 경우가 99% 이상으로 확인돼 성별 불균형 문제도 심각하다.

 

"딥페이크는 클릭 세 번이면 현실"…윤리·법적 파장, 실시간 확산


AI기술의 급진적 확산과 규제 미비, 허술한 가드레일이 결합하면서 "진짜와 가짜의 경계가 무너지고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는 상황이다.

 

미국 NCOSE(National Center on Sexual Exploitation, 국립성착취방지센터) 전문가들은 "딥페이크 영상·이미지의 생성·확산속도가 인간의 상식을 압도한다"고 지적하며, 관련 기술 기업에 보다 강력한 자율규제 및 책임을 요구했다.

 

"코드 한 줄 잘못, 버튼 한 번의 선택이 수백만 피해자를 낳을 수 있는 시대"라는 비판이 나오는 배경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트럼프 행정부, 틱톡 매각 수십억 달러 수수료 챙긴다…전례 없는 ‘정부 통행세’ 논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권 매각을 둘러싼 협상 과정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투자자들로부터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수수료를 요구, 막대한 수익을 챙길 것으로 예상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25년 9월 19일 복수 소식통을 인용해 미국 정부가 틱톡 매각 협상에 개입하는 대가로 수십억 달러 규모의 ‘거래 수수료’를 투자자들로부터 받을 예정이며, 이는 기업 간 일반적인 인수합병 거래에서 볼 수 없는 전례 없는 규모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9월 18일 영국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엄청난 수수료를 추가로 받는다”고 직접 언급했고, 19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에서도 “우리가 뭔가를 얻을 것”이라며 수수료 수익 확보를 공식화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이 수수료는 거래 규모뿐 아니라 정부가 협상과정에서 투입한 노력과 비용을 고려했을 때 당연한 보상이라는 입장이다. 통상적으로 인수합병에 관여하는 투자은행들은 거래 금액의 1% 미만을 자문 수수료로 받으며, 거래 규모가 클수록 수수료율은 더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틱톡 미국 사업 부문의 가치는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반면, 트럼프 행정부가 요구하

[지구칼럼] "소에게 얼룩말 무늬만 칠해도 흡혈파리 공격 차단" 이그 노벨상…환경친화 방식으로 경제이익까지 '혁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본 연구진이 소에게 얼룩말 무늬 줄무늬를 칠함으로써 흡혈 파리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연구를 통해 2025년 이그 노벨 생물학상을 수상했다. The Scientist Magazine, CBS News, bbc, PLoS ONE, NHK에 따르면, 연구팀은 9월 18일(현지시간) 보스턴 대학교에서 2025년 이그 노벨 생물학상을 수상하며 유머와 실용적인 농업 혁신을 결합한 독특한 과학적 성취를 기록했다. 이들은 기존의 농약이나 화학적 방제법 없이 환경친화적인 방식으로 가축 건강과 농가의 경제적 이익을 동시에 실현하는 혁신적 대안을 제시했다. 아이치 농업 연구소의 고지마 토모키 박사팀은 흑소에 흰색 줄무늬를 칠한 결과, 흡혈 파리 개체수가 원래보다 절반 이상 줄었고 소의 머리 흔들기, 꼬리 젓기 등 방어 행동도 25~50% 감소했다고 밝혔다. 실제 실험에서는 소에 검은색 줄무늬만 칠하거나 아무것도 칠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얼룩말 무늬를 칠한 소에 파리의 착지 및 물림 빈도가 현저히 낮았다. 이러한 성과는 실험실을 넘어 일본 현지 축산 농가에서도 실제 적용 중이다. 농민들은 한 달 이상 지속될 수 있는 내구성 페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