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10년 전 이마트 주식에 1억원을 투자했다면 현재 어느정도의 자산이 축적됐을까.
최근 유튜브 한 계정(@young_ant97)에는 ‘10년 전 이마트에 1억원을 투자했다면?"이라는 숏폼 영상이 화제가 되고 있다.
해당 영상에서는 2015년 1월 24일 기준으로 매년 가격추이(배당 미포함)를 정리한 내용을 올렸다.
2015년 1억원어치 주식을 샀다면, 2016년엔 -20% 떨어진 7921만원, 2017년 8937만원, 2018년에는 34% 급등한 1억1986만원에 달했다.
2019년 -25% 떨어진 8891만원, 2020년엔 -38% 떨어진 5450만원으로 원금 대비 반토막수준으로 급감했다.
2021년엔 무려 47%급등해 8036만원, 2022년엔 -22%떨어진 6212만원, 2023년 -21% 떨어진 4872만원, 2024년 -33%떨어진 3256만원까지 떨어졌다. 2025년 1월 24일 기준 -10% 떨어진 2923만원 수준이다.
1억원어치의 이마트 주식을 보유한 10년 기간 동안 원금이 1/3토막나며 -7000만원의 손실을 가져왔다.
비슷한 기간(2014년 1월 VS 2024년 11월) 10년동안 삼성전자 주가는 1억원에서 1.9억원, 애플 주식은 1억원이 15.8억원, 비트코인의 경우 1억원이 무려 294억원으로 자산이 늘어난 것과 대비된다.
삼성전자의 주가는 1주당 2만5600원에서 4만9900원으로 올랐다. 애플의 주가는 같은 기간 19.5달러(2만7000원·현재 환율 기준)에서 228.2달러(31만8400원)로 상승했다.
가장 상승폭이 큰 자산은 비트코인이었는데, 같은 기간 398달러(55만5300원)에서 8만6854달러(1억2100만원)로 뛰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