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3 (목)

  • 맑음동두천 11.3℃
  • 맑음강릉 10.9℃
  • 황사서울 11.8℃
  • 맑음대전 12.5℃
  • 맑음대구 13.3℃
  • 맑음울산 9.6℃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0.7℃
  • 구름조금고창 8.9℃
  • 흐림제주 12.7℃
  • 맑음강화 8.5℃
  • 맑음보은 10.6℃
  • 맑음금산 10.3℃
  • 맑음강진군 12.3℃
  • 맑음경주시 9.3℃
  • 맑음거제 11.0℃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공간파일] '에이스침대' 고배당 잔치 '빈축'…115억원 오너일가 주머니 '쏙' · 자녀승계용 자금?

실적 소폭 반등에 배당금 더 늘려…2024년 매출 3260억원 추정
안성호 대표 등 가족 지분 80%…115억원 오너일가 주머니로 '쏙'
두 아들 승계 자금 마련이란 '시각'도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이종화 기자] 에이스침대가 실적 개선을 이유로 배당금을 또 늘렸다. 하지만 오너 일가가 전체 지분의 80% 가까이 보유한 상황이라 결국 '오너일가 배불리기' 배당정책으로 빈축을 사고 있다.

 

에이스침대는 지난 2월 3일 보통주 1주당 1450원의 현금 결산배당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은 소액주주보다 150원 적은 1300원으로 차등배당된다. 배당금 총액은 139억8421만7750원이다.

 

이번 배당 결정이 비난을 받는 이유는 에이스침대 지분 구조에 있다. 현재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은 회사 지분의 79.55%를 보유하고 있다. 안성호 대표가 70.06%, 안성호 대표의 누나인 안명숙씨가 4.99%, 안 대표의 아들 2명(안진환, 안승환)이 각각 2.25%씩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배당금 총액 139억원 중 약 115억원이 오너 일가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

 

이번 배당금 확대로 에이스침대는 3개년 연속 배당금이 증가하게 됐다. 2021년 1330원(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1000원), 2022년 1330원(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1000원), 2023년 1400원(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1200원), 2024년 1450원(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1300원)이다. 배당총액도 2021년 107억2347만원에서, 2022년 111억2912만원, 2023년 130억1525만원, 2024년 139억8421만원으로 늘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일반주주 대상 배당금과 오너일가가 수취하는 배당금의 격차가 매년 줄고 있어 차등배당이 무색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즉 오너일가가 수취하는 배당금이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차등배당을 도입할 초기에는 주당배당액 격차가 400원에 달했지만 2022년 330원, 2023년 200원, 2024년 150원으로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과 비교해 2024년 일반주주 대상 주당배당액은 450원 늘어났지만 오너일가 대상 주당배당액은 640원이나 증가했다. 

 

결과적으로 2024 결산배당 덕분에 안성호 대표는 무려 101억원, 안명숙 씨는 7.2억원, 진환·승환 씨도 각각 3.2억원을 받게 됐다.

 

 

배당금 인상이유는 실적 개선에 있다. 에이스침대의 2024년 매출은 전년 대비 6.4%(195억원) 늘어난 3260억원으로 잠정집계됐다. 에이스침대는 2018년 2450억원, 2020년 2895억원, 2021년 3463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후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역성장의 힘겨운 시기를 보내다 3년 만에 V자 반등에 성공한 것으로 추산된다.

 

전반적인 업황 악화로 임직원 초과근무 수당을 삭감하고, 탄력 근무제를 도입하는 등 비용 절감에 나섰지만, 오히려 오너일가의 배당금은 늘렸다는 점이 비난의 대상으로 꼽히고 있다.

 

몇년 전부터 에이스침대는 업계 최고 수준인 오너 및 등기이사 연봉과는 반대로 직원 평균 연봉이 동종 가구업계인 한샘, 현대리바트, 신세계까사보다 훨씬 낮은 편에 속했다. 고(故) 안유수 에이스침대 회장의 보수는 에이스침대 직원평균 연봉보다 무려 40배나 많았다.

일각에서는 안 대표이사가 두 아들(장남 안진환, 차남 안승환)의 지분인수 및 증여용 경영 승계 자금 마련을 위해 배당액을 늘리는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1968년생인 안 대표에게 70%가량의 지분이 몰려 있는 만큼 미리 승계 자금 마련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다.

 

즉 오너 기업들이 배당을 통해 증여세를 마련하고, 다시 배당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승계를 진행하는 사례로 보고 있는 것이다. 안 사장은 이미 자신의 보유 지분 중 2.5%씩을 두차례에 나눠 안진환, 안승환 씨에게 각각 증여한 바 있다.

 

2022년 에이스침대는 소유주 일가와 자사주가 차지하는 물량이 전체 주식의 90% 수준에 다다르면서 관리 종목에 지정되기도 했다. 코스닥 상장규정 제53조에 따르면 소액주주의 보유주식수가 유동주식수의 20%에 미달하면 주식분산기준 요건에 따라 관리종목 지정 사유가 된다.

 

이에 에이스침대는 일부 자사주를 매각하면서 급한 불은 껐지만, 투자자들은 회사가 주가 부양을 위해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023년 말 기준 소액주주 비중은 12.17%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5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제주삼다수 변신은 무죄"…임영웅發 시장점유율 40% "소비자 일상 속으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제주삼다수가 2025년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추진한다. 브랜드의 정서적 유대감을 강화하고 소비자와의 공감을 확대하기 위해 보다 다각적인 마케팅 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제주삼다수는 2025년 1월 오프라인 시장 점유율 40.5% 기록하였다. 출시부터 현재까지 국내 생수 시장 1위를 유지하는 비결은 한라산 단일 수원지의 경쟁력과 27년간 변함없는 품질, 공기업이 생산하는 신뢰성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브랜드 가치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주삼다수는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에 맞춰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아우르는 유연한 판매 전략을 구축하며 최근 5년간 온라인 매출을 약 3배 성장시켰다. 2019년 출시한 ‘제주삼다수 가정배송 앱’을 통해 전국 117개 대리점을 기반으로 정기배송 및 선물하기 서비스를 도입해 고객 편의성을 강화했다. 이러한 성과에는 제주삼다수 모델 ‘임영웅’의 영향이 컸다. 제주개발공사는 지난해 3월 임영웅을 브랜드 모델로 발탁한 이후 2주간 공식 앱 ‘제주삼다수 가정배송’ 신규 가입 고객 수가 약 5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50대 여성 고객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으며, 같은 기간 주문 건수도 108.5% 증가했다. 신

여기어때, 동반성장委 위원장상…"쓰봉크럽, 플로깅 여행 등 여행 통한 지속가능 사회공헌 호평"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여기어때가 한국언론인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가 공동 주최 하는 ‘2025 행복더함 사회공헌 우수기업’에서 사회공헌 부문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상을 수상했다. 지속가능한 여행 문화를 만드는 여기어때는 대표적 사회공헌 활동인 ‘쓰봉크럽’을 포함한 그간 공로를 인정 받았다. 여행·여가 플랫폼으로서 여행지의 환경을 보호하겠다는 사회적 책임감이 주목 받았다. 쓰봉크럽은 여기어때가 비정부기구(NGO), 서비스 이용자, 임직원과 함께 여행지를 청소하는 프로그램이다. 국내 주요 여행 자원을 보존하는 데 힘을 보태고 현지 여행 콘텐츠를 체험하는 게 핵심이다. 첫번째 캠페인에서는 유명 유튜버와 함께 쓰레기 1600리터를 수거했고, 두번째 행사는 약 1000명이 참여했다. 순천, 강릉으로 여행을 다녀온 최근 행사는 약 2000명의 참가 신청서를 제출해 사회적 관심을 증명했다. 여기어때는 비즈니스 전반에 친환경 가치를 반영해, 친환경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고 있다. 또, 임직원의 텀블러 사용을 독려하고 개인 컵을 지참한 사내 카페 이용자는 음료 가격을 할인하는 정책도 시행한다. 김용경 여기어때 브랜드실장은 “여행 자원의 보존되어야 여기어때의 비즈니스도 지

오스템임플란트, 덴탈업계 최초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과기부의 엄격한 검증 통과"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오스템임플란트 중앙연구소가 들어선 서울 강서구 마곡 트윈타워에 ‘안전관리 우수연구실’이 첫 탄생했다. 오스템임플란트(대표 김해성)는 △임플란트연구소의 ‘피로실험실’ △스캐너연구소의 ‘3D프린터실’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의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을 획득, 지난 12일 인증서 수여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안전관리 우수연구실 인증제’란 과학기술 분야 연구실의 안전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표준 모델을 발굴·확산한다는 취지로 제정됐다. 연구실 안전환경 시스템, 안전환경 활동 수준, 안전관리 관계자 안전의식 등 3개 분야, 29개 항목에 걸쳐 엄격한 심사와 평가를 통과해야 비로소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덴텔업계에서는 오스템임플란트가 처음으로 인증 획득에 성공했다. 오스템임플란트는 규정 및 표준 제정을 비롯해 연구실 안전관리 운영원칙을 구축하고 사전에 유해 위험 요인을 파악해 지속적으로 보완하며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해왔다. 비상 상황에 대비한 대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소 인원들이 참여하는 훈련 및 의사소통 개선 프로그램을 꾸준히 운영했고 전사 임직원 대상의 안전보건의식 교육도 정기적으로 진행했다. 오스템임플란트 관계자는 “연구소

타이어 회사가 탄소감축 지속가능평가서 인정…한국타이어, 기후변화대응 평가 ‘리더십 A등급’ 획득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한국앤컴퍼니그룹의 글로벌 선도 타이어 기업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가 세계적인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 이하 CDP)에서 발표한 2024년 기후변화대응 평가 부문 최고 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 CDP는 매년 세계 주요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 경영전략, 온실가스 감축 노력 등에 대한 정보공개를 요구하고 이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한다. CDP의 정보는 다우존스지속가능경영지수(DJSI)와 함께 가장 공신력 있는 ESG 평가지표로 인정받으며, 한국타이어는 직전 등급에서 한 단계 상승한 리더십 A등급을 받았다. 한국타이어는 지속가능성 강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쳐오고 있다. 2023년에는 글로벌 탄소중립 연합기구인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로부터 2030년 단기 온실가스 감축 목표 및 2050년 넷제로(Net-Zero) 목표 승인을 받으며 탄소 중립 로드맵을 구축했다. 또한, 지속가능 원료 사용 확대, 에너지 절감 및 탄소 배출 저감 기술 도입 등 친환경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연구개발과 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