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심정지 사건 발생은 요일과 명절·공휴일 등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월요일과 일요일, 그리고 각종 휴일에서 위험이 크게 높아지는 경향을 드러냈다.
질병관리청·서울신문·국립보건연구원·PMC(BMJ)·ScienceDirect 등의 연구결과와 해외보도를 취합해 심정지 사건 발생과 요일별, 계절별 연관성을 알아봤다.
부산대·서울대 공동연구팀이 질병관리청 자료(2015~2019년 전국 ‘병원 밖 심정지’ 8만9164건)를 분석한 결과, 월요일과 일요일의 심정지 발생 위험은 기준일인 수요일보다 각각 1.9%, 1.5% 높았다. 나머지 요일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월요일이 됐을 때 기대와 현실의 괴리, 주말 동안 흐트러진 생체리듬, 갑작스러운 업무 시작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심정지 위험을 높인다”고 설명한다. 일요일 역시 '늦잠·폭음'을 비롯한 생활 리듬 변화가 부담으로 작용한다.

명절·공휴일, ‘휴일 심장 증후군’
휴일에는 평일 대비 최소 6%, 일반 공휴일 평균 9.9%로 심정지 위험이 급등한다.
크리스마스가 9.6%로 가장 높고, 설날 8.2%, 새해 첫날/추석 각 6% 순이었다. ‘휴일 심장 증후군’은 폭음, 과식, 수면 부족, 이동 스트레스, 가족 모임에서의 갈등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미국·유럽·일본 등에서도 월요일, 공휴일의 심정지 위험도가 일상적 스트레스·생활리듬 변화와 연관돼 월요일에 집중되는 특성이 반복 확인된 바 있다.
월별 심정지, 겨울철 위험 최고조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월별로는 12월(9.5%)에 심정지 발생률이 가장 높고, 6월(7.6%)이 가장 낮다. 우리나라는 겨울에, 해외는 통상적으로 추운 계절에 심정지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오전 6~12시 사이, 활동이 가장 시작되는 시간대에 사고가 집중된다. 성별·연령별로 남성·65세 이상·도시민에서 휴일이나 월요일 심정지 위험이 특히 두드러진다.

해외 사례, 월요병 ‘심장 쇼크’ 글로벌 현상
독일, 미국, 일본 등 주요국 연구에서도 월요일 심정지 사건이 평균적으로 더 높았다. 각국 연구자들은 ‘업무 복귀 스트레스와 생체리듬 변화, 과음·과식·수면 부족’ 등이 원인으로 지목했다. 한편 아시아권에서도 명절·공휴일 집중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세브란스병원 강석민 교수는 “심혈관 질환 위험이 있으면 휴일·명절 폭음·과식을 피하고, 생활리듬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 심장 건강에 중요하다. 갑작스런 리듬 변화가 교감신경을 자극, 심박수·혈압을 높여 치명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