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The Numbers] 테슬라코리아, 매출·이익 '사상최대'에도 회계·재무 '빨간불'…순이익보다 많은 배당 379억·소송 4건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이종화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 수장까지 맡고 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전세계적으로 이슈몰이 중인 가운데, 한국에서 테슬라의 성적표가 나왔다.

 

테슬라코리아의 판매실적은 매출, 이익 모두에서 최고의 성적을 냈으나, 회계와 재무측면에서 경고등이 들어왔으며, 자금유동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지배회사로 400억원에 육박하는 배당금 지급은 아쉬운 대목이다.

 

테슬라코리아 유한회사(대표이사 데이비드존파인스타인, 케네스어니스트무어)는 2015년 11월 13일 설립돼 전기차 판매·충전 판매 및 인프라 구축·에너지 저장 시스템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테슬라의 한국법인이다. 

 

현재 자본금은 53억원이며, 네덜란드 법인 Tesla International B.V.가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테슬라코리아는 지난해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에서 최대 실적을 기록했지만, 회계감사에서 5년 연속 '한정의견'을 받으며 회계 투명성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테슬라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은 1조6975억원으로, 전년(1조1438억원) 대비 48.3% 급증했다. 영업이익은 259억원, 순이익은 216억원으로 각각 51.1%, 80.7% 증가하며 외형과 수익측면에서  모두 성장을 거뒀다.

 

하지만 성과와 달리 회계에는 여전히 문제가 있었다. 테슬라코리아는 이번에도 감사의견 한정을 받았다. 이는 2020년부터 5년 연속으로 동일한 감사의견을 받은 셈이다.

 

핵심은 국세청으로부터 2022년에 추징당한 법인세 251억원을 '미수금'으로 계상한 처리 방식때문이다. 테슬라코리아측은 이를 소송 등을 통해 환급 가능하다고 보고 자산으로 잡았다. 하지만, 감사인은 이를 뒷받침할 충분한 증거를 확보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감사보고서를 통해 태성회계법인은 "환급 가능성에 대한 감사 증거가 부족하다"며 제한적 감사결론을 냈다.

 

 

이외에도 리스크 요소가 눈에 띈다.

 

우선 계류중인 소송이 4건(특허권 분쟁 2건, 소비자 계약 분쟁 2건)이 있다.

 

게다가 부채비율이 1000%가 넘고, 유통비율감소로 유동성압박과 현금성 자산 부족사태에도 불구하고 2024년 중간배당금으로 총 379억원이 지급됐다. 액면배당률은 714%에 달하고 배당성향도 175%에 이른다.

 

즉 순이익은 216억원인데, 순이익보다 훨씬 많은 금액이 배당금으로 지급됐다는 의미다. 

 

 

이익잉여금에 당기순이익 216억원이 반영됐으나, 배당으로 인해 이익잉여금은 291억원으로 전년(454억원) 대비 36% 감소했다. 미처분이익잉여금은 자본잉여금(142억원)과 함께 재무건전성 강화를 위한 유보자금으로 활용된다.

 

2024년 말 기준 총부채는 5585억원, 자본총액은 486억원으로, 부채비율은 1149%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310%p 증가한 수치로, 장기선수수익 증가(186억원)와 유동부채 확대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유동자산 4905억원 대비 유동부채 4575억원으로 계산된 유동비율은 107%다. 전년(185%) 대비 78%p 하락했으며, 단기차입금 감소(22.3%↓)에도 선수금 감소와 미수금 증가가 유동성 압박으로 작용했다.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196억원으로 전년(519억원) 대비 62% 감소했다. 이는 중간배당금 지급(379억원)과 건설중인자산 투자등으로 현금유출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판매관리비는 716억원(전년 680억원 대비 5.3%↑)으로 급여비 193억원, 임차료 143억원, 지급수수료 45억원, 광고선전비 40억원이 사용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오픈AI 샘 올트먼, '머지랩스'로 머스크 '뉴럴링크'에 도전장…AI 활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경쟁 '후끈'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일론 머스크의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와 정면 경쟁을 벌일 새로운 벤처기업 '머지 랩스(Merge Labs)'를 공동 설립하고, 총 2억5000만 달러(약 345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나선다. 파이낸셜타임스, 테크크런치, 쿼츠등의 보도에 따르면, 머지 랩스는 현재 약 8억5000만 달러(약 1조1700억원) 가치로 평가받고 있으며, 대다수 투자금은 오픈AI의 벤처팀이 부담할 예정이다. 올트먼은 일상 경영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고 공동 설립자이자 주요 후원자로서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머지 랩스는 첨단 AI 기술을 활용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구축, 인간의 뇌와 기계를 더욱 원활하고 고도화된 방식으로 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뉴럴링크가 2016년 창립된 후 첨단 뇌 이식 칩을 개발해 주로 직접 뇌에 이식하는 방식을 추진하는 것과 달리, 머지 랩스는 덜 침습적인 방법을 모색하며 AI를 적극 결합해 뇌 신호 해독과 컴퓨터 상호작용을 혁신적으로 확장하는 데 집중한다. 뉴럴링크는 최근 60억 달러 이상 투자 유치와 함께 이미 인간 임상시험을 진행하며, 중증 마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