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토교통부가 2025년 건설업체 시공능력평가 순위를 7월 31일 공개했다. 올해 역시 삼성물산은 시공능력평가액 34조7219억원으로 12년 연속 1위에 오르며 건설업계 ‘절대강자’의 위상을 입증했다.
현대건설(17조2485억원)과 대우건설(11조8969억원)이 각각 2위와 3위를 유지, 이른바 ‘톱3’ 체제에 변화가 없었다.
이와 함께 중위권에선 DL이앤씨(11조2183억원), GS건설(10조9454억원)이 각각 4위와 5위로 한 계단씩 상승했다. 반면 현대엔지니어링은 올해 초 연이은 대형 중대재해 사고(세종~안성 고속도로 교량 붕괴 등)로 기업 이미지와 수주 경쟁력에 큰 타격을 입으며, 지난해 4위에서 올해 6위(공사실적 9조3027억원)로 밀려났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중대재해처벌법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차원의 안전 이슈가 시공능력평가에도 점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7위는 포스코이앤씨 9조8973억원, 8위는 롯데건설 7조4021억원, 9위는 SK에코플랜트 6조8493억원, 10위는 HDC현대산업개발로 조사됐다.
시공능력평가제는 전국 7만3657개 건설사를 대상으로 매년 7월 시행, 실적·경영·기술·신인도 등을 종합 정량평가해 공시하는 제도로, 주요 발주처의 입찰 요건·신용·보증심사 등 각종 기준에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업종별 2024년 실적에서 건축은 삼성물산(12조3184억원), 현대건설(9조4246억원), 현대엔지니어링(9조3027억원) 순이었다. 토목은 대우건설(2조4573억원), 산업·환경설비는 삼성E&A(13조2514억원), 조경은 제일건설(726억원)·삼성물산(651억원) 순이었다.
주택건설시장도 개선세를 보였다. 2024년 전체 주택 착공실적은 30만5331호로 2023년(24만2188호) 대비 26.1% 증가했고, 특히 아파트 준공은 10% 가까이 늘어나며 수요 회복 뚜렷했다. 주요 아파트 공사실적 상위사는 현대건설(6조2871억원), GS건설(6조528억원), 대우건설(4조9898억원) 순이었다.
건설업계 안팎에선 “안전경영, 해외수주 역량, 신용건전성, 신기술 경쟁력이 시공능력평가의 핵심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특히 중대재해 사고와 같은 예외적 ‘리스크’가 기업 가치와 순위, 외부 평판에 미치는 영향력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