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오픈AI, 국제수학올림피아드 금메달 ‘충격’…"인간 수학을 넘어선 새역사·인간문명에 도전장"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7월, 인공지능(AI)이 또 한 번 역사를 썼다. 오픈AI(OpenAI)가 개발한 범용 추론 언어 모델이 세계 최고 고등학생 수학 경진대회인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 ‘금메달 수준’ 성적을 공식 인증받았다.

 

Business Insider, TechCrunch, Engadget 등의 매체와 Simon Willison’s Weblog, lesswrong.com, THE-DECODER.com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 모델은 인간과 동등한 조건(두 번의 4.5시간 시험 세션, 인터넷∙계산도구 미사용)에서 출제된 6개 문제 가운데 5개를 완벽히 풀어내며, 42점 만점에 35점을 획득해 금메달 기준점을 넉넉히 넘었다.

 

IMO는 630명의 참가자 중 약 67명(전체의 10% 정도)만이 금메달을 따는 세계에서 가장 까다로운 대회로 알려져 있다. 오픈AI의 모델은 이 대회에서 실제 인간 수상자들과 같은 방식, 동일한 평가지침 아래서 전직 IMO 메달리스트 심사위원 3인에 의해 각각 채점됐고, 만장일치로 점수가 확정됐다.

 

“단일 과업 특화 모델 아니다”…범용 AI의 본격 도약


이번 성과는 전문 수학 프로그램이 아닌 일반 범용 대화형 AI가 달성했다는 점이 더욱 충격적이다.

 

연구원 Alexander Wei는 이번 성과가 “특정 과업 최적화가 아니라, 범용 강화학습과 시험 시 컴퓨팅 확장(test-time compute scaling)의 신기술을 적용한 결과”라고 밝혔다. 모델은 인간처럼 문제를 자연어(영어)로 서술해가며 해설했고, 기존 LLM(대규모 언어 모델)과 달리 시험 중 답을 내기까지 ‘수 시간’을 집중적으로 고민하는 접근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오픈AI 연구원 Noam Brown은 “최고의 인간과 AI의 약간 차이는 엄청난 차이”라고 강조했다.

 

경쟁 모델과 격차 ‘수치로 입증’


최근 MathArena.ai가 주요 상용 및 연구 모델(Gemini 2.5 Pro, Grok-4, o3 등)을 동일한 IMO 2025 문제로 평가한 결과, 최고 성적을 기록한 Gemini 2.5 Pro가 13점(42점 만점, 약 31%)에 그치며 동메달 커트라인(19점)에도 미달했다는 점은 AI 간 ‘성능 격차’의 현실을 수치로 단적으로 드러낸다.

 

심지어 일부 모델은 논리적 오류, 불완전한 해설, 심지어 없는 정리까지 만들어내는 등 한계를 노출했다는 것이 해외 IT매체들의 지적이다.

 

“곧 출시될 GPT-5와는 다른 연구 성과”…일반 공개는 미정


오픈AI는 “이 모델은 실험적으로만 개발된 연구용 시스템으로, 수 개월 내에라도 대중에 공개할 계획이 없다”고 못박았다. 대신 곧 공개될 예정인 GPT-5는 별도 팀이 개발 중인 소비자용 모델로, 이번 수학 올림피아드 금메달 성능과는 직접 관련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AI 추론력의 한계 돌파…수학을 넘어 ‘문명 패러다임’ 바꿀까

 

AI의 수학 고차원 문제 해결력은 그 자체로 미래 문명의 ‘패러다임 시프트’ 신호탄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성과가 단순 수치 향상을 넘어 ▲범용 추론력 강화 ▲복잡한 창의 문제 해결 ▲증명 중심의 자연어 의사소통 등 인간 학습과정의 핵심 단계마저 기계가 넘기 시작한 기점으로 해석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푸틴·트럼프 ‘해저 평화터널’ 현실화?…러시아 극동-알래스카 113㎞ 해저터널, 머스크 ‘더보링컴퍼니’가 건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러시아 국부펀드 러시아 직접투자펀드(RDIF) 최고경영자이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특사인 키릴 드미트리예프가 미국 알래스카와 러시아 극동 추코트카를 잇는 113㎞ 길이의 해저터널 건설을 일론 머스크의 터널 건설 기업 더보링컴퍼니(TBC)에 제안했다. 그는 이 터널을 ‘푸틴-트럼프 터널’로 명명하며, 미주와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상징적인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Al Jazeera, cnbc, reuters, Fox News, The Independent에 따르면, 드미트리예프는 전통적인 공법으로는 이 사업에 650억 달러(약 92조원)가 넘는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하지만, TBC의 혁신적인 기술을 적용하면 80억 달러(약 11조원) 이하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 공사는 약 8년 내 완공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구상은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소련 지도자 니키타 흐루쇼프 간 냉전 시기 검토된 ‘세계 평화 다리’ 구상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케네디-흐루쇼프 다리는 북태평양을 횡단해 양국을 연결하는 구상으로, 최근 미 의회에서 공개된 문서에도 등장해 주목받고 있다. 드미트리예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