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The Numbers] '본죽' 본아이에프, 가족지분 100% '3년간 93억 배당'…단기 차입금·퇴직 위로금·관계사 일감 '옥의티'

프랜차이즈 불황 속 매출 10%, 영업이익 11% 성장
본아이에프, 지난해 매출 4510억원, 영업이익 207억원
본죽 매장수, 1172개(2017년 기준)였으나 651개(2023년기준)로 '반토막'
단기차입금 증가는 '재무건정성' 빨간불
3년 연속 30억 이상씩 총 93억 배당금 지급...가족 주주 '배불리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본죽' '본비빔밥' '본도시락'을 운영하는 본아이에프(대표 김철호)가 연매출 4000억원과 영업이익 200억원을 돌파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가족이 지분 100%를 보유한 가족기업이 전년(2022년) 30억원에 이어 2023년에도 7% 증가한 33억원을 배당금으로 지급한 부분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주주 100% 모두가 가족 구성원이라 배당금 33억원은 김철호 회장 가족 5명에게 모두 돌아갔다. 지분구조는 김철호 회장 66.47%, 배우자 최복이 31.13%, 자녀 김지혜 0.8%, 김조은 0.8%, 김율민 0.8%를 보유중이다.

 

본아이에프 오너인 창업주 김철호 회장 부부와 자녀들은 지난 2014년 15억원, 2017년 13억원, 2021년 30억원, 2022년 30억원, 2023년 33억원을 배당금으로 수령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우수한 경영성과를 바탕으로 맺게 된 과실인 이익 잉여금을 주주에 돌려주는 것이 배당의 본래 목적"이라며 "비상장인 데다 김철호 회장 부부와 세 자녀가 주주로 구성된 가족회사가 고배당을 실시하는 것은 다소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고 지적했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본아이에프는 지난해 매출 4510억원, 영업이익 207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4113억원에서 9.7%, 영업이익은 전년 187억원에서 10.7% 늘었다. 영업이익률 역시 4.6%를 기록하며 고속성장중이다. 당기순이익 역시 전년 130억원보다 늘어난 142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 2월, 2023년 2월 연이어 가격인상을 단행했다. 공교롭게도 임영웅을 모델로 발탁한 시점과 인상시기가 겹치면서, 일부 소비자들 사이에선 "광고 모델료를 소비자들에게 전가한 셈"이라는 지적도 받았다. 특히 '부르는게 값'이라는 몸값 비싼 임영웅을 모델로 기용해 '제품가격 올려 탑스타 모델값 낸다'라는 비난까지 받았다.

 

게다가 경쟁업체인 ‘죽이야기’와 ‘맛깔참죽’등은 기존 가격을 동결한 상황에서, 죽의 주요 원재료인 ‘쌀’ 원자재 가격까지 내려간 2022년에 '본죽'만 가격인상을 단행해 거센 비난을 자초했다.

 

실제로 본아이에프는 실적이 반토막 수준까지 떨어지며 경영상황이 악화된 상황에서 신사옥 매입으로 인한 금융이자 등으로 수익성 난조는 심화됐다. 하지만 본아이에프는 심각한 경영난에도 배당금과 연봉 등 오너 일가의 배만 채운다는 문제로 이슈화된 바 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경기 불황과 물가 상승에도 슬그머니 가격을 올리더니 어느새 '죽값 2만원 시대'를 열었고, 가맹점과의 상생의 이미지도 사라진 느낌이다"고 말했다.

 

판매 및 관리비는 전년 630억원에서 652억원으로, 급여액도 전년 246억원에서 271억원으로, 기부액은 전년 8.2억원에서 9.9억원으로 증가했다. 특히 광고선전비는 전년 45억원에서 66억원으로 47% 급증했다.

 

본그룹의 외형은 '본아이에프(본죽 등 프랜차이즈 사업)', '본푸드서비스(단체급식·식자재유통·컨세션)',  '순수본(이유식 전문기업)' 삼각편대로 각각의 장점을 특화시켜 영업중이다. 2022년 본아이에프에 지주부문이 신설돼 사실사 지주사 역할도 담당한다.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정보 제공시스템 상 공개된 수치에 따르면, ​매장 수(2022년 기준)는 본죽 748개, 본죽&비빔밥 837개, 본도시락 436개, 본설렁탕 52개, 본우리반상 11개, 멘지11개(2024년 기준), 만나계 1개(2024년 기준)로 파악됐다.

 

본죽 매장 수는 2017년 1172개였으나 2022년 748개로 줄었다. 2023년 기준으로는 651개로 더 줄었다. 본죽 매장의 수는 계속 줄고 있는 셈이다. 즉 신규 점포는 안늘고, 폐점 점포가 더 늘고있다는 방증이다.

 

 

감사보고서 내용을 살펴보면, 특수관계자에 해당하는 관계기업들(본오션스, 본월드, 만나계)과의 거래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서는 가족경영을 앞세워 일감몰아주기라는 의혹의 시선도 있다.

 

이에 대해 본아이에프 관계자는 "본오션스의 경우 전복 수급을 위한 양식 사업 연구, 만나계는 신규 브랜드 테스트 목적의 투자를, 본월드는 해외사업을 위한 별도 법인이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해 359억원에 달하는 단기 차입금도 눈에 띈다. 이에 대해 회사측은 "단기차입금의 경우 2018년에 사옥을 매입하면서 발생한 비용"이라고 해명했다.

 

2019년 단기 차입금은 70억원,  2020년 87억원, 2021년에는 436억원, 2022년 390억원, 2023년 359억원을 기록했다. 단기차입금은 보통 1년 이내 상환해야 할 유동 부채를 말한다. 자본 총계 대비 차입금 비중이 높은편이라 재무건전성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편 김철호 대표 부부는 지난 2006년 9월부터 2013년 5월까지 ‘본도시락’·‘본우리덮밥’·‘본비빔밥’ 등의 상표를 회사가 아닌 자신들의 명의로 등록해 상표 사용료와 상표양도대금 28억2900여만원을 챙겨 회사에 손해를 끼친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배임)로 기소됐다. 

 

또 최복이 전 대표는 지난 2014년 11월 퇴직하며 특별위로금 명목으로 회사자금 50억원을 받아 회사에 피해를 끼친 혐의도 있다.

 

재판부는 ‘본도시락’·‘본비빔밥’ 등 상표에 대한 배임 혐의를 무죄로 판단했다. 하지만 본우리덮밥 상표에 대해서는 유죄를 인정했다. ‘본우리덮밥’ 상표의 경우 본아이에프와 용역 계약을 맺은 기간에 창작한 결과물인 만큼 최 전 대표 명의로 등록한 것은 업무상 의무를 위배했다는 판단이다.

 

최복이 전 대표의 퇴직위로금 50억원 지급건에 대해 본아이에프측은 "2심 재판부가 '임원 처우에 관한 규정과 법률에 비춰봤을 때, 이 사건 특별위로금 규정이 없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판결한 바 있다"며 "경영 과정에서 적법하게 지급된 건이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혼쭐위원회] ‘안전불감증’ 또 드러난 쿠쿠, 무신고 오븐팬 '1.7만개 전량 회수'…밥솥 중금속 검출·정수기 세균 검출·허위과장 광고에 '소비자 외면'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가 경남 양산의 대표 가전업체 쿠쿠전자가 수입신고 없이 국내에 반입·판매한 전자레인지 오븐팬 총 1만6827개에 대해 전량 회수 조치에 나섰다. 쿠쿠전자는 이미 과거에도 식품용품 관리 부실, 허위·과장광고, 품질 논란 등으로 여러 차례 도마에 오른 바 있어, 이번 사태가 ‘안전불감증 기업’이라는 오명을 더욱 짙게 하고 있다. 무신고 수입 오븐팬, 1만6827개 유통…식약처 ‘즉각 회수’ 명령 식약처는 7월 1일, 쿠쿠전자가 2022년 12월 20일부터 2023년 12월 4일까지 중국에서 제조한 전자레인지 오븐팬(모델명 CMOS-A4410B, CMW-CO3010DW, CMW-C3020OEGW)을 수입신고 없이 국내에 들여와 판매한 사실을 적발했다고 밝혔다. 해당 오븐팬은 제빵, 구이 등 고온 조리용 식품기구로, 무려 1만6827개가 시중에 유통됐다. 식약처는 “무신고 수입은 식품위생법 위반에 해당한다”며, 즉각적인 판매 중단과 전량 회수를 명령했다. 소비자들에게는 “해당 제품 사용을 즉시 중단하고, 구입처에 반품할 것”을 당부했다. 무신고(미등록) 제품 사용시, 무슨 문제? 무신고(미등록) 전자제품을 사

[혼쭐위원회] 공정위 이어 중기부도 '교촌치킨'에게 칼 뺐다…갑질논란·가격인상 '후폭풍’에 ‘비싼 치킨·나쁜 기업' 이미지 고착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치킨 프랜차이즈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가 연이은 논란과 실적 부진으로 점주와 업계의 집중 포화를 받으며 소비자들에게 '비싼 치킨, 나쁜 기업' 이미지가 고착화되어 가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7월 1일, 교촌에프앤비가 협력사 유통마진을 일방적으로 0원으로 낮춘 행위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에 검찰 고발을 요청했다. 이로써 교촌은 지난해 공정위의 과징금 처분에 이어 형사 고발이라는 중대한 위기를 맞게 됐다. ‘마진 0원’ 일방 통보…협력사 대상 '갑질' 횡포 교촌에프앤비는 2021년 가맹점 전용 식용유를 공급하는 업체와의 계약에서 공급마진을 캔당 1350원에서 0원으로 일방적으로 인하했다. 이로 인해 협력사가 약 7억원의 손해를 입은 것으로 추산되며, 공정위는 지난해 10월 재발방지 명령과 함께 2억8300만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중기부는 “교촌이 거래상 우월적 지위를 남용해 중소기업에 피해를 입혔다”며, "사회적 신뢰 회복과 중소기업 보호를 위해 엄중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교촌 측은 “가맹점주 이익 개선을 위한 조치였고, 유통업체와의 협의에 따라 진행된 계약”이라며, 공정위 처분에 불복해 행정

[혼쭐위원회] 하이트진로 이사진에 390억 소송폭탄…경제개혁연대·소액주주 “부당 내부거래·박문덕 회장 고액보수 책임 묻는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경제개혁연대와 하이트진로 소액주주들이 6월 30일 서울중앙지법에 하이트진로 이사들을 상대로 총 390억원의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주주대표소송을 제기했다. 이번 소송은 부당 내부거래로 인한 회사 손해와 박문덕 회장에 대한 과도한 보수 지급을 문제 삼아, 회사에 끼친 피해를 책임지라는 취지다. 1. 소송 배경 및 청구 취지 경제개혁연대(소장 김우찬 고려대 교수) 등 소액주주들은 “하이트진로그룹의 부당 내부거래에 따른 과징금, 부당지원금액, 그리고 박문덕 회장 고액보수 지급으로 인한 회사 손해를 회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상법상 절차에 따라 5월 12일 하이트진로 감사위원회에 소송 제기를 요청했으나 회사 측이 거부해 직접 소송에 나섰다. 2. 하이트진로 ‘통행세·우회지원’ 10년간 총수일가에 134억 손해…공정위·법원 “경영권 승계 목적” 인정 공정거래위원회는 2018년 3월, 하이트진로가 총수일가 소유회사 서영이앤티(서영)를 직접 또는 삼광글라스를 통해 2008년 4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장기간 부당지원한 사실을 적발했다. 공정위 조사 결과, 하이트진로는 서영이앤티에 ▲맥주 캔 등 포장자재 ‘통행세 거래’ ▲전문인력

특급호텔에서 영어공부한다고?…반얀트리 서울x영국문화원, '키즈클럽 영어캠프' 운영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에이블현대호텔앤리조트가 운영하는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이하 반얀트리 서울)이 여름방학을 맞아 주한영국문화원과 함께 ‘키즈클럽 여름방학 영어캠프’를 운영한다. 이번 영어캠프는 반얀트리 서울의 우수한 시설과 검증된 글로벌 교육 기관인 주한영국문화원의 커리큘럼 및 전문 강사진을 바탕으로, 언어 습득의 결정적인 시기에 있는 어린이들의 영어 실력을 자연스럽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획됐다. 교육 효과는 물론, 놀이와 체험이 결합된 프로그램으로 학부모들 사이에서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올해 영어캠프는 오는 8월 4일(월)과 6일(수), 7일(목), 8일(금) 총 4일간 반얀트리 서울 키즈클럽에서 진행되며, 참가 대상은 6-7세의 어린이다. 하루 5교시 수업으로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통학형으로 운영된다. 교육 프로그램은 주한영국문화원의 유아 영어 전문가들이 자체 개발한 ‘내 친구 티미(Timmy Time)’ 스토리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아이들은 노래, 역할극, 워크시트 작성과 같은 참여 중심형 활동을 통해 새로운 단어와 표현을 학습한다. 또한, 자연스러운 영어 발음 형성을 돕는 파닉스(Phonics) 프로그램도 포함된다

KCC, 대리점 가공·시공 품질 강화로 소비자 신뢰 높인다…"교육설비 3억 투자·교육 확대·품질 협약 체결"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KCC가 대리점 창호 가공·시공(이하 가시공) 품질 강화를 위한 실무형 교육을 확대하고, 품질 협약을 체결하는 등 소비자 신뢰 구축에 힘을 쏟고 있다. KCC는 최근 프리미엄 하이엔드 창호 브랜드 ‘Klenze(클렌체)’의 가시공이 가능한 대리점 네트워크인 ‘Klenze 이맥스 클럽(e-MAX Club)’ 회원사를 대상으로 ‘Klenze 가시공 아카데미’를 진행했다. 이맥스 클럽은 KCC가 대리점의 창호 가공 기술, 사후관리(A/S) 역량, 설비 기준 등 엄격한 심사기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인증하는 프로그램으로, 특히 ‘Klenze 이맥스 클럽’은 이맥스 클럽 회원사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의 기술력이 요구되는 Klenze 제품 가시공 능력이 탁월한 곳 만을 선정한 프리미엄 대리점 네트워크다. 최초 인증 후에도 정기적인 재평가를 통과하고 본사 교육을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이맥스 클럽 자격을 이어갈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품질 관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번 Klenze 가시공 아카데미에서는 ▲Klenze 제품 기능 및 사양 이론 교육 ▲실제 가시공 시연 및 실습 ▲고객 응대 서비스 마인드 교육 등이 진행됐다. KC

K-뷰티, 수출로 미국 제치고 세계 2위 등극…강관·조선·음식료 ‘정책+글로벌’ 모멘텀에 증시 활기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2025년 상반기 한국 증시는 K-뷰티(화장품) 업종의 글로벌 약진과 강관·조선·음식료 등 주요 테마주의 동반 강세 속에 투자 심리가 뚜렷이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피는 3거래일 만에 상승 전환해 3071.70에 마감했고, 코스닥은 소폭 약보합세로 마쳤다. 특히 한국 화장품 수출이 사상 처음 미국을 추월하며 세계 2위에 올라선 점이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K-뷰티, 사상 첫 美 추월…세계 2위 수출국 등극 2025년 1~4월 한국 화장품 수출액은 36억609만 달러로, 같은 기간 미국(35억7069만 달러)을 앞질렀다. 이는 지난해 독일을 제치고 3위에 오른 데 이어, 프랑스에 이어 세계 2위로 올라선 것이다. K-뷰티의 저력은 한류 확산, 기능성 제품 혁신, OEM·ODM 경쟁력, 글로벌 유통망 확장에 기반한다. 업계는 신생 브랜드 발굴과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날 증시에서는 한국콜마, 잉글우드랩, 실리콘투, 삐아 등 화장품 관련주가 일제히 강세를 보였고, 한국콜마는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강관·피팅·밸브, 한미정상회담·LNG 프로젝트 기대감에 강세 7월 말 한미정상회담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