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6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머스크 "그록, 양자컴퓨터가 비트코인을 깨뜨릴 수 있을까?" 물었더니…취약한 비트코인 보안과 양자컴퓨팅 '논쟁'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양자 컴퓨터가 암호화폐의 SHA-256 해싱 알고리즘을 해독할 수 있을까?

 

2025년 8월 2일,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AI 챗봇 '그록(Grok)'에게 "양자컴퓨터가 비트코인의 SHA-256 해싱 알고리즘을 장기적으로 깨뜨릴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X(구 트위터)에 게시하며, 양자컴퓨팅이 암호화폐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위협에 대한 글로벌 논쟁이 다시 본격화됐다고 Cointelegraph, CoinGape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그록(Grok)의 분석에 따르면, 향후 5년 내 양자컴퓨터가 SHA-256을 깨뜨릴 확률은 "0%에 가깝고", 2035년까지도 10% 미만에 머물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 IBM, 다양한 전문가 평가를 근거로 "실제로 공격이 가능하려면 수백만 개의 오류정정 큐비트(logical qubit)가 필요하며, 이는 당분간 실현되기 어렵다"는 것이 객관적 결론이다.

 

IBM, Google, Microsoft의 '양자 전쟁'…보안에 미칠 파장 커져


이 논쟁의 배경에는 IBM의 야심찬 양자컴퓨팅 로드맵 발표가 있다. IBM은 2033년까지 2000 큐비트(논리 큐비트 기준)의 'Blue Jay' 시스템을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2029년 완공 예정인 'Starling' 시스템(200 논리 큐비트)과 더불어, 뉴욕 푸킵시에 위치한 양자 데이터센터에서 양자 슈퍼컴퓨터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IBM은 최근 논문을 통해 새로운 오류정정 방식을 제안, 물리 큐비트 수를 90% 줄여 대규모 양자 컴퓨터 실현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고 강조한다.

 

현재 IBM, Google(Willow), Microsoft(Majorana 1) 등은 각각 1000 수준의 '노이즈 큐비트'를 구현했으나, 전문가들은 "비트코인 등 블록체인 보안을 현실적으로 위협할 만한 수준의 시스템은 적어도 10년 이상 남았다"고 입을 모은다.

 

비트코인 개발자 진영은 필요시 SHA-3, SHA-512 등 더 강력한 알고리즘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테슬라의 1만1509 BTC…암호화폐 '보안'에 쏠린 투자자 관심


테슬라는 2025년 2분기 기준, 약 1만1509 BTC(시가 13억1000만 달러 상당)를 보유 중이다. 스페이스X도 약 8억5000만 달러 규모를 탑재했다. 머스크는 개인적으로도 비트코인을 소유하고 있음을 공식화했다. 올해 2분기 테슬라는 비트코인에서만 2억8400만 달러의 미실현 평가이익을 거두며, 핵심 자동차 사업의 부진을 상쇄했다.

 

2025년부터 개정된 미국 회계 기준(FASB)에 따라, 테슬라는 분기별로 암호화폐 시가 평가이익을 실적에 반영함으로써 자산가치 변동을 더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실제 위협은 '오래된 지갑'…최대 25% 비트코인 양자공격 취약

 

하지만 낙관만 할 상황은 아니다. 딜로이트 등 국내외 전문가들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블록체인 상 약 25%의 비트코인이 '양자공격'에 취약하다. 주로 공개키가 노출된 옛 지갑(P2PK, 재사용된 P2PKH)이나 한 번이라도 출금한 주소가 대상인데, 여기에 400~600만 BTC(시가 40억-50억 달러 상당)가 잠들어 있다.

 

상당수는 사토시 나카모토 등 초기 채굴자가 보유한 미이동 코인으로, 실질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낮지만, 기술 혁신이 현실화되면 '양자 해킹의 표적'이 될 수 있다. 이에 비트코인 개발자들은 잠재적 취약 주소 동결, 신규 주소 강제 사용(BIP 제안), 포스트-양자 암호체계 도입 등 예방책 마련에 분주하다.

 

"진짜 위협은 최소 10년 뒤"…그러나 준비는 '지금'


글로벌 전문가 및 AI의 객관적 평가, 주요 기관의 투자를 모두 종합하면 '실질적인 양자 위협'은 최소 10년 이상 남았다는 게 대체적 견해다. 그러나 IBM 등 빅테크의 혁신이 가속화되고, 블록체인(비트코인) 투자에 막대한 자금이 걸려 있는 만큼, 업계와 투자자 모두는 사전 대비책과 정보 모니터링을 놓쳐선 안 된다.

 

향후 10년은 블록체인 보안과 슈퍼컴퓨팅 기술, 그리고 글로벌 규제 논의가 맞물려 '디지털 자산 미래'에 있어 결정적 시기로 남을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구글 딥마인드 CEO "AI 전환, 산업혁명 뛰어넘는 10배 규모의 경제·사회 혁신 예고”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구글 딥마인드의 CEO 데미스 하사비스가 AI 혁명이 산업혁명보다 10배 더 크고 10배 빠르게 진행될 것이라 단언하며, 전 세계가 향후 10년 내에 전례 없는 경제·사회 변화를 맞이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았다. 하사비스는 48세의 영국 출신 과학자로, 2014년 구글에 인수되기 전 딥마인드의 공동 창립자다. 그는 최근 WIRED, CBS 60 Minutes 등 다수의 국제 인터뷰에서 AI가 인간의 사고 능력을 증폭·대체하는 점에서 과거 산업혁명과 본질적으로 다르다고 분석했다. 산업혁명이 인간 근육의 기계를 보강하며 100년에 걸쳐 사회를 변화시켰다면, AI 혁명은 인간의 두뇌 역할을 10년이라는 짧은 기간에 10배 이상의 속도로 진화시키고 있다는 설명이다. 하사비스는 “100년이 걸릴 변화를 10년 내에 구현할 것”이라며 “이로 인해 사회 전반에 100배의 영향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기술혁신 가속도와 경제적 파급력을 동시에 강조한 표현이다. 경제·고용 측면에서도 AI가 초래할 변화는 파급력 강하다. CBS 뉴스에 따르면 현재 AI는 약 25%의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으나, 대부분 직무가 완전 대체되기보다 ‘보강’되는

[이슈&논란] 술에 강한 사람, 진화 덕분?…"조상 ‘발효 과일 습성’이 알코올 분해력 40배 높였다”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인류가 ‘술꾼’으로 태어날 수밖에 없었던 비밀이 진화 연구로 확인됐다. 미국 다트머스대와 영국 세인트앤드루스대 공동 연구진이 발표한 최근 논문(ADH4 진화, 발효 과일 섭취 분석)과 BBC, Nature등의 보도에 따르면, 인류의 조상은 나무에서 생활하다가 땅에서 떨어진 발효 과일을 자주 섭취하는 습성이 있었고, 이 결과 아프리카 유인원보다 알코올 분해 효소(ADH4) 활성도가 40배 이상 폭발적으로 향상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땅에 떨어진 ‘발효 과일’이 만든 숙련된 알코올 분해자 연구진에 따르면, 약 1000만년 전 인류 조상이 땅에서 열매를 주워 먹기 시작하면서 자연발효된 과일의 알코올에 노출되는 빈도가 비약적으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알코올 대사에 관한 효소(ADH4)가 강하게 선택적으로 진화해, 기존 아프리카 영장류에 비해 40배나 강력한 알코올 분해 능력을 갖추게 됐다. 특히 인간은 침팬지 등 나무 위 생활에 특화된 영장류보다 발효 과일 알코올을 더 빨리, 더 많이 대사하는 대사 경로를 갖추고 있다는 점이 실험으로 확인됐다. 진화사의 ‘술친구’…현대인 음주 문화와의 관계 연구 논문에서 “자연적으로 바닥에 떨어진 열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