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2℃
  • 맑음강릉 8.9℃
  • 흐림서울 3.2℃
  • 구름조금대전 6.6℃
  • 맑음대구 9.5℃
  • 연무울산 11.2℃
  • 맑음광주 8.7℃
  • 연무부산 13.6℃
  • 구름조금고창 8.0℃
  • 흐림제주 13.5℃
  • 구름많음강화 2.0℃
  • 구름조금보은 5.4℃
  • 구름조금금산 6.7℃
  • 구름조금강진군 9.6℃
  • 맑음경주시 10.6℃
  • 맑음거제 13.4℃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94분기 연속 흑자 기업 10개…삼성전자는 55분기만에 적자

CEO스코어, 개별 재무제표 기준 대기업 352곳 실적 분석
10개사만 올해 2분기까지 23년 이상 연속 흑자 

국내 500대 기업 중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352곳의 실적(개별 재무제표 기준)을 조사한 결과,  94분기 연속 흑자 상위20개 기업 [CEO스코어]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500대 기업 가운데 10개 기업이 2000년부터 올해 2분기까지 94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는 국내 500대 기업 중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352곳의 개별 재무제표 기준으로 실적을 조사한 결과 10개 기업이 94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해당 기업은 △KT&G △SK텔레콤 △한섬 △고려아연 △에스원 △CJ ENM △신세계 △현대모비스 △유한양행 △국도화학 등이다. 이들 기업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유럽 재정위기, 코로나19 팬데믹 등 글로벌 경제 위기를 이겨내고 23년 이상 분기별 흑자를 이어왔다.

 

이 중 KT&G의 평균 영업이익률이 35%로 가장 높았다. 이어 SK텔레콤(18.1%), 한섬(14.8%), 고려아연(13.2%), 에스원(12.1%), CJ ENM(11.5%), 신세계(10.7%), 현대모비스(10%), 유한양행(9.2%), 국도화학(5.6%) 등이다.

 

연속 흑자를 기록한 기업은 △삼성화재(93분기) △금호석유화학(91분기) △광동제약(90분기) △고려제강(90분기) △LG생활건강(89분기) △엔씨소프트(88분기) △GS EPS(89분기) △LS일렉트릭(87분기) △네이버(96분기) △카카오(86분기) △현대건설(96분기) △포스코인터내셔널(86분기) 등이다.

 

이중 삼성화재와 GS EPS, 네이버는 분기보고서를 제출하기 시작한 이후 매 분기 흑자를 기록하고 있고, LG생활건강과 현대백화점도 설립(분사) 이후 흑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이들 기업을 포함해 최근 10년(40분기) 연속 흑자를 기록한 기업은 모두 69개다.

 

반면 장기간 흑자 기조를 이어오던 기업 중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글로벌 경기 침체, 반도체 경기 한파 등으로 적자전환한 곳은 총 17곳으로 나타났다. 한국을 대표하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도 지난해 하반기 이후 적자 전환하면서 분기연속 흑자 행진에 제동이 걸렸다.

 

한국기업 1위 삼성전자는 연속 흑자 기록이 깨진 대표기업으로 꼽혔다. 지난해 4분기 별도기준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421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대비 적자 전환한 것으로 55분기 연속 흑자기록이 깨졌다.

 

삼성전자(55분기)를 비롯해 △LX하우시스(54분기) △현대엔지니어링(53분기) △TKG태광(45분기) △풀무원식품(45분기) △하나증권(40분기) △SK하이닉스(39분기) △신한투자증권(35분기) △GS건설(35분기) △유진증권(34분기) △삼성증권(33분기) △다올투자증권(33분기) △이베스트투자증권(28분기) △도이치모터스(26분기) △대창(23분기) △하이투자증권(21분기) △현대지에프홀딩스(21분기) 등이다.

 

한편 지난 2분기 기준 조사 대상 352개 기업 중 17%인 60개 기업이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특히 △한화오션(11분기) △한국전력공사(10분기) △지역난방공사(9분기) △LG에너지솔루션·HL만도(8분기) 등은 2년 이상 매 분기 적자 행진을 계속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유진홈센터, ‘에이스하드웨어 PL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 공식 획득…세계 70개국 에이스하드웨어 파트너 중 최초 획득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유진그룹(회장 유경선) 계열 유진홈센터(대표이사 유순태)가 미국 에이스하드웨어(Ace Hardware) 본사로부터 PL(Private Label, 자체상표)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을 공식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전 세계 70여 개국의 에이스하드웨어 파트너 가운데 PL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을 부여받은 것은 유진홈센터가 최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유진홈센터는 에이스하드웨어 브랜드 제품을 기획, 생산, 유통하는 글로벌 파트너십 모델을 구축하게 됐다. 양사는 에이스하드웨어 PL 상품을 공동으로 개발해 에이스하드웨어 매장뿐 아니라 국내 도매 채널까지 공급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데일 페넬(Dale Fennel) 에이스 인터내셔널(ACE International) 사장은 유진홈센터의 뛰어난 브랜드 개발 역량과 포트폴리오 전략 수립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유진홈센터의 공구부터 라이프스타일에 이르는 전 제품군의 높은 기획 수준을 언급하며, 향후 ACE와 유진홈센터 간의 협력 관계 발전에 대한 기대를 내비쳤다. 특히 유진홈센터의 자체 브랜드 ‘SEE’에 대해선 “누구나 구매하고 싶을 정도로 상품력이 뛰어나다”는 의견을 전달하며 높은

[The Numbers] DSR·LTV도 대감집 머슴에게 '딴세상'…사내대출, ‘부동산 규제 우회 통로’로 급부상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국내 대기업과 공공기관들이 운영하는 사내대출 제도가 ‘부동산 규제 우회 통로’로 급부상하고 있다. 시중은행 가계대출 규제가 한층 강화되면서, 삼성, 현대차, 네이버, 카카오, SK하이닉스, 두나무 등 유수의 기업들은 직원 복지 수단으로 사내대출 한도와 금리를 대폭 상향·인하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두나무는 최근 집값 안정 대책에도 불구, 사내대출 한도를 기존 3억원에서 5억원으로 늘리고 금리 역시 무이자에 가깝게 운용해 ‘역대급 복지’ 논란의 중심에 섰다.​​ DSR·LTV 적용 없는 사내대출, 실제 규모 5년 새 63% 급증 사내대출이 ‘근로복지기금’으로 취급된다는 사실은 돈줄이 막힌 실수요자들에게 큰 매력이다. 회사가 직접 대출을 시행할 경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나 LTV(주택담보인정비율) 등 금융권 규제와 관계없이 한도 산정이 자유롭고, 신용점수에도 영향이 없다. 실제 2020년 연간 대출액은 2조원대에서 2023년 3조392억원까지 63%나 늘었고, 공공기관을 포함한 상위 7개 기관의 사내대출 잔액도 최근 5년간 500억원 이상 증가했다.​ 국내 대표적인 사내복지가 우수한 회사별 사내대출 한도와 금리는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