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구름조금동두천 14.0℃
  • 맑음강릉 17.5℃
  • 구름많음서울 15.1℃
  • 맑음대전 14.9℃
  • 맑음대구 14.9℃
  • 맑음울산 15.1℃
  • 맑음광주 15.8℃
  • 맑음부산 16.1℃
  • 맑음고창 14.1℃
  • 구름많음제주 18.4℃
  • 구름조금강화 14.9℃
  • 맑음보은 12.9℃
  • 맑음금산 13.6℃
  • 맑음강진군 15.3℃
  • 맑음경주시 12.8℃
  • 맑음거제 15.7℃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국내 백화점 매출 순위 TOP20…신세계 강남·롯데 잠실·롯데 본점·신세계 센텀·현대 판교 順

롯데, 신세계, 현대, 갤러리아, AK 등 빅5 백화점 70개 점포 매출, 39조6543억원
상위 12개 점 전체 매출의 50.6% 차지
신세계百 강남점, 국내 연매출 3조원 돌파…백화점 단일점포 '최초'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5대 백화점 70개 점포에서 매출 1위는 어디일까. 


2023년 매출 기준으로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 현대백화점, 갤러리아백화점, AK백화점 등 국내 5대 백화점 70개 점포 중에서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이 전국 1위를 차지했다. 특히 국내 백화점 중에서 최초로 2023년 ‘3조 클럽’에 입성했다. 단일 점포 3조원은 세계 유수의 백화점 중에서도 영국 해러즈 런던, 일본 이세탄 신주쿠점 등 소수 점포만 기록한 드문 성적이다.

 

소비 한파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신세계 강남점은 3조1025억원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신세계 강남점은 특히 2019년 국내 백화점 최초 2조원 돌파에 이어, 4년 만인 2023년 3조원을 최초로 돌파하는 또 한 번의 기록을 세웠다. 게다가 국내 백화점 매출 1위를  7년 연속 지키고 있다.

 

탄탄한 VIP층을 기반으로 성장을 이어갔고, 백화점 주요 고객으로 떠오른 2030세대와 엔데믹 이후 외국인 고객 공략에 성공하며 3조원의 위업을 달성했다. 박주형 신세계백화점 대표는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백화점으로서, 신세계는 고객의 삶에 쇼핑 그 이상의 가치를 제공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또 한 걸음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2위는 2조7569억원 매출의 롯데 잠실점, 3위는 롯데 서울 중구 본점(2조129억원), 4위는 신세계 부산 해운대 센텀시티점(2조51억원), 5위는 현대 분당 판교점(1조6670억원)를 차지했다.

 

6위~10위는 신세계 대구점, 현대 무역센터점, 롯데 부산 본점, 현대 압구정 본점, 신세계 중구 본점으로 나타났다.

 

11위~15위는 갤러리아 명품관, 현대 여의도 '더현대서울', 신세계 대전점, 신세계 광주점, 롯데 인천점이 차지했다.

 

16위~20위는 갤러리아 대전 타임월드점, 신세계 용인 수지의 경기점, 현대 목동점, 신세계 영등포 타임스퀘어점, 갤러리아 수원 광교점으로 나타났다.

 

2023년 기준 롯데, 신세계, 현대, 갤러리아, AK 등 국내 5대 백화점 70개 점포의 매출을 합산한 결과, 총 39조6543억원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다.

 

3위인 롯데 본점과 4위인 신세계 센텀시티점은 각각 3.7%, 6.9%의 성장세를 나타내며 처음으로 2조원 클럽에 진입했다. 연 매출 2조원 이상 규모의 백화점은 4개로 늘어났다.

 

또 더현대 서울이 오픈 3년 만에 1조원의 매출을 돌파하며 새롭게 '1조 클럽'에 진입했다. 2023년 1조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점포는 12개로 나타났다. 신세계와 현대가 각각 4개, 롯데가 3개, 갤러리아가 1개 점포다. 


매출성장측면의 전년비 신장율에서는 현대백화점이 발군의 활약을 보였다. 현대 판교점과 현대 여의도점(더현대서울)이 각각 14.7%, 16.6%의 신장률을 기록했다. 젊은 MZ세대를 겨냥한 영 콘텐츠와 럭셔리 패션에 대한 강화, 백화점 공간에 대한 선입견을 깨뜨린 파격적인 공간혁신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점유율은 역시 유통공룡 롯데가 34.7%로 가장 높았다. 32개 점포에서 총 13조7447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잠실점, 중구 본점 등 우량 점포들의 실적은 좋았지만, 중하위권의 비효율 점포들의 실적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2위는 신세계로 30.7%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13개 점포에서 12조1786억원을 기록했다. 강남점, 센텀시티점, 대구점 등 우량 점포들의 실적이 좋았던 영향이다. 3위 현대는 24.2%로 전년보다 전년과 비슷한 점유율이다. 16개 점포에서 전년보다 약 2100억원 늘어난 9조6160억원을 기록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이재용 8년 비상경영 끝내고 ‘뉴삼성’ M&A 속도전...글로벌 전장·AI·반도체 시장 주도권 공략 '잰걸음'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8년간 이어온 비상경영 체제를 마무리하고, 대형 인수합병(M&A)을 재가동하며 ‘뉴삼성’ 재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7년 하만 인수 이후 7년간 멈춰 있었던 대규모 M&A 활동을 올해부터 다시 적극 추진하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11월 7일 임시 조직이던 사업지원TF를 상설 조직인 ‘사업지원실’로 격상했으며, 13일에는 전사적 M&A 전담팀을 신설하면서 중장기적인 투자와 사업 재편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사업지원실은 전략팀, 경영진단팀, 피플팀 등 3개 팀 체제에서 M&A팀이 추가되어 총 4개 팀 체제로 운영된다. M&A팀장은 2017년 약 80억 달러 규모 하만 인수를 이끌었던 안중현 사장이 맡아 신사업 개척과 글로벌 빅딜 추진을 총괄한다. 사업지원실장에는 재무·전략 전문가인 박학규 사장이 임명됐다. 그는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과 DS부문(반도체·디스플레이) 경영지원실장을 거친 기획과 운영 전문가로, 안정적인 비상경영 체제에서 공격적 변환과 확장을 설계하는 ‘뉴삼성’의 중심이 될 것으로 평가받는다. 반면 이 회장의 최측근으로 꼽히던 정현호 부회장은 회장 보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