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공간혁신] “나무로 하늘을 뚫다"…美 밀워키 세계 最高 31층 목조 빌딩, 친환경 혁신의 상징

콘크리트 대신 나무…세계 최고 목조 빌딩, 미국 밀워키서 2027년 탄생
웰니스·커뮤니티·지속가능성, 나무로 세운 미래형 도시공간의 탄생
‘뉴트럴 1005N 에디슨 스트리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에 세계에서 가장 높은 목조 하이브리드 빌딩 ‘뉴트럴 1005N 에디슨 스트리트(Neutral 1005 N Edison St)’가 2027년 완공된다.

 

이 건축물은 31층, 약 114미터 높이로, 총 350세대의 주거 공간과 7200평방피트의 상업 공간을 품는다. 단순한 목재가 아니라, 나무의 결을 직각으로 교차시켜 접합한 ‘합성목(매스팀버, Mass Timber)’ 기술이 적용되어 건축계의 패러다임을 뒤흔들고 있다.

 

합성목, 콘크리트의 9배 강도와 친환경성


이 빌딩의 구조적 핵심은 CLT(Cross-Laminated Timber) 패널과 글루램(Glulam) 기둥과 보.

 

각각의 목재층을 직각으로 교차해 접합함으로써, 일반 콘크리트보다 9배에 달하는 압축강도를 자랑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 기술은 건물의 내구성을 극대화할 뿐 아니라, 기존의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비해 에너지 소비를 44% 이상 줄이고,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45% 이상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목재 자체가 CO₂를 흡수하는 친환경 소재라는 점도 부각된다.

 

공간의 혁신: 웰니스와 커뮤니티 중심의 설계


‘뉴트럴 에디슨’은 단순한 주거용 고층 빌딩이 아니다. 건물 전체가 ‘웰니스’와 ‘커뮤니티’에 초점을 맞춘 미래형 공간 구조물로 설계됐다.

 

한 층 전체가 피트니스센터, 헬스클리닉, 스파, 수영장, 사우나 등 건강과 휴식을 위한 시설로 채워진다. 1층에는 카페와 오가닉 그로서리, 코워킹 스페이스가 들어서며, 최상층에는 커뮤니티 가든과 엔터테인먼트 공간이 마련된다. 입주민은 물론, 지역사회와의 연결을 강화하는 공간 구성이 돋보인다.

 

 

지속가능성의 상징: 패시브하우스·리빙빌딩 인증 도전


이 빌딩은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효율 인증인 PHIUS 2021 패시브하우스(Passive House)와 ‘리빙 빌딩 챌린지 4.0’ 인증을 목표로 한다. 이는 건물의 단열, 공기질, 에너지 절감, 거주 쾌적성 등에서 최고 수준의 기준을 충족해야만 받을 수 있는 인증이다.

 

‘뉴트럴 에디슨’이 단순한 친환경을 넘어, 거주자와 도시의 미래까지 고려한 공간임을 보여준다.

 

설계는 HPA, 시공은 C.D. 스미스 컨스트럭션…시행 및 총괄은 뉴트럴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에 들어서는 31층 목조 빌딩 ‘뉴트럴 1005N 에디슨 스트리트(Neutral 1005 N Edison St)’는 시카고에 본사를 둔 건축설계사 하트쇼른 플런카드 아키텍처(Hartshorne Plunkard Architecture, HPA)가 설계를 맡았다.

 

HPA는 지속가능성과 혁신적 디자인에 강점을 가진 건축사무소로, 이번 프로젝트에서 매스팀버(합성목)와 하이브리드 구조를 적극적으로 도입해 친환경 고층건축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시공은 위스콘신주에 기반을 둔 대형 건설사 C.D. 스미스 컨스트럭션(C.D. Smith Construction)이 담당한다. C.D. 스미스는 이번 프로젝트에서 목재와 콘크리트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구조물의 설치를 직접 수행하며, 북미에서 가장 높은 매스팀버 빌딩 시공이라는 기록에 도전하고 있다.

 

프로젝트의 시행 및 총괄은 매디슨에 본사를 둔 부동산 개발사 뉴트럴(Neutral)이 맡고 있다. 건설사와 설계사는 개발사인 뉴트럴(Neutral)과 긴밀히 협업해, 패시브하우스 인증 등 최고 수준의 에너지 효율과 지속가능성을 실현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도시와 환경, 그리고 삶을 바꾸는 ‘나무 마천루’


‘뉴트럴 1005N 에디슨 스트리트’는 단순히 새로운 빌딩이 아니다. 도시의 미래와 건축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상징적 공간이다.

 

목재로 하늘을 뚫는 이 도전은, 친환경과 웰빙, 커뮤니티를 결합한 새로운 도시생활의 모델을 제시하며, 전 세계 건축계와 도시계획에 신선한 충격을 주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공간혁신] 한강버스, 11월 1일 운항 재개…내년 3월부터 출퇴근 급행노선 신설 및 운항횟수 두배로 확대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서울시가 11월 1일 오전 9시부터 한강버스의 운항을 재개한다. 한강버스는 마곡에서 잠실까지 연결되는 7개 주요 선착장(마곡, 망원, 여의도, 압구정, 옥수, 뚝섬, 잠실)을 하루 16회, 1시간 30분 간격으로 운항한다. 운항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 37분(도착 기준)까지이며, 주중과 주말 모두 동일한 일정으로 운영된다.​ 서울시는 약 한 달간 선박 안전성과 운항 품질 강화를 위해 300회 이상의 무승객 시범 운항을 실시했다. 선박의 접안, 교각 통과 등 실제 운항 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 반복 훈련을 통해 안전성을 높였으며, 운항 중 발생한 3건의 경미한 사고는 모두 조치 완료했다. 예비선 1척을 상시 대기시켜 기계 결함으로 인한 결항도 원천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요금은 기존과 동일하게 성인 편도 3,000원, 청소년 1,800원, 어린이 1,100원이며, 기후동행카드 ‘한강버스 권종’을 이용하면 5,000원 추가 충전으로 무제한 탑승이 가능하다. 실시간 운항 정보 및 결항 여부는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등 주요 모빌리티 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내년 2026년 3월부터는 운항 횟수를 하루 32회로 두 배 확대할 계획

[공간혁신] 젠슨 황·이재용·정의선 ‘깐부치킨’ 성지순례 '등극'…부자·성공 氣받기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5년 10월 30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의 ‘깐부치킨’에서 열린 젠슨 황(엔비디아 CEO), 이재용(삼성전자 회장), 정의선(현대차그룹 회장)의 ‘치맥(치킨+맥주) 회동’이 국내외 언론과 경제계에서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 회동은 단순한 친목 모임을 넘어 첨단 AI 반도체 및 미래 모빌리티 협력을 위한 3대 기업 총수들의 전략적 소통의 장으로, 한국 치맥 문화를 글로벌 무대에 알리고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상징적 사건이 됐다.​ 치맥 회동 이후 ‘깐부치킨’은 회동 이튿날부터 ‘성지순례’ 현장과도 같이 변모했다. 오후 3시 문을 열자마자 10명이 넘는 손님이 몰려들면서 치맥 회동 자리 경쟁이 벌어질 정도였다. 66세 김영숙 씨는 “젠슨 황이 앉았던 자리에 앉아 기운을 받으려 3시간 넘게 기다렸다”고 밝혔으며, 방문객들은 포스터 앞에서 인증샷을 찍는 등 축제 분위기를 자아냈다. 가게 측은 이 같은 방문객 급증을 예상해 청소 및 물량 확보에 만전을 기했다.​ 회동 당일 깐부치킨에서 테이블 7개를 예약해 3마리의 치킨과 치즈스틱 등을 포함해 270만원 상당의 식사를 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계산은 1차는 이재용 회장이, 2차는 정

[공간사회학] '슬픔·아픔의 역사' 이태원, Tolerance·Openness 갖춘 다인종·다문화 공존의 공간 '재탄생'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이태원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역사적으로 복합적인 의미를 가진 공간이다. 현재 이태원(梨泰院)의 이름은 한자만 3번 변했을 정도로 파란만장함을 담고있다. 조선 초에는 '오얏나무 李'를 써서 '李泰院' → 임진왜란 이후에 '異胎院(다른 민족의 태를 가지고 있는 곳)' →효종 이후에는 '배나무가 많은 역원'이라는 뜻의 '梨泰院'으로 글자와 의미가 변했다. 이는 당시 왜군이 주둔하며 저지른 만행과 그 후에 남은 왜군과 조선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들이 이곳에 모여 살았기 때문이라는 역사적 배경이 있다. 당시 한양에 들어 온 '가등청정(加籐淸正)'은 이태원(梨泰院)에 주둔(駐屯)한다. 주둔중에 '가등청정과 부대'는 온갖 만행을 저지르기 시작한다. 대부분 여자들은 피난을 가버린 상황이라 겁탈(劫奪)의 대상은 피난을 가지 못한 여자와 이태원 황학골에 있는 '운정사'의 비구니들이 주 대상이었다. 불교 신자인 가등청정은 여승들을 겁탈하고 운정사까지 불살라 버린다. 왜놈에게 겁탈당한 부녀자등이 애를 낳고 기를 보육원을 지어 정착케 하였는데, 당시 왜병들의 피가 많이 섞인 곳이라 하여 이태원(異胎圓, 다른 민족의 태를 가지고 있는 곳)이라 부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