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AI 안경, 미래 핵심 인터페이스 부상"…저커버그 "AI 안경 없으면 인지적 불리함 직면할 것" 경고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CEO가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 안경이 미래의 핵심 인터페이스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그는 "AI 안경이 없는 사람들은 향후 인지적 불리함(cognitive disadvantage)에 직면할 것"이라는 강한 경고를 내놨다.

 

CNBC, PYMNTS, TechCrunch, BrandXR 등의 매체에 따르면, 저커버그의 이 같은 메시지는 2025년 2분기 실적 발표 자리에서 공개됐으며, 웨어러블 AI 시장의 글로벌 경쟁 구도와 더불어 폭발적인 성장세가 확인되는 시점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저커버그 "AI 안경 없으면 인지적 불이익"… 차세대 플랫폼의 주도권 선점 선언

 

저커버그는 "안경이 AI를 위한 이상적인 폼팩터(form factor)”라며, “하루 종일 사용자의 시각·청각 정보를 AI가 실시간으로 분석·상호작용하고, 음성대화와 맥락 인식까지 가능해질 것”이라고 피력했다.

 

이와 함께 “시력을 교정하지 않으면 불편하듯, 향후 AI 안경이 없으면 업무와 일상, 경쟁에서 심각한 인지적 불이익에 처하게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는 안경이라는 웨어러블이 스마트폰 이후의 컴퓨팅 플랫폼을 선점할 것이란 메타의 장기 전략을 반영한다.

 

실적으로 입증된 폭발적 성장… 매출 3배 급증, 200만대 판매 돌파

 

실제 메타가 패션 브랜드 에실로룩소티카(EssilorLuxottica)와 공동 개발한 ‘레이밴 메타(Ray-Ban Meta)’ AI 스마트 안경은 2025년 상반기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3배로 급증했다. 누적 판매 대수는 2023년 10월 출시 이후 200만대를 돌파했다. 2025년 상반기 에실로룩소티카의 전 세계 매출은 162.5억 달러(약 21조4000억원)를 기록하며, 이 중 레이밴 메타 안경이 큰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기의 가격은 기본형이 299달러, 편광렌즈 329달러, 트랜지션(변색렌즈) 379달러, 도수 추가 시 160~300달러가 붙으며, 글로벌 15개국 이상에서 판매된다. 메타는 2026년부터 연 최대 1000만대 생산체계를 구축해 수요 증가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레이밴 메타 안경은 12MP 카메라로 1인칭 사진·영상 촬영, 실시간 방송, 오디오·뮤직·통화·메시지 등 AI 기반 멀티모드 서비스, 4시간 사용과 32시간 충전 케이스 제공, 실시간 4개 국어 번역·음악 인식 등의 기능을 탑재했다.

 

리얼리티랩스의 심각한 누적 손실… 미래를 건 도박


메타 리얼리티랩스(Reality Labs) 부문은 AI 안경·VR사업을 총괄하지만, 2025년 2분기 3억7000만 달러 매출에도 불구하고 영업손실만 45억3000만 달러에 달했다. 2020년 말 이후 누적 손실은 700억 달러에 육박한다. 그럼에도 저커버그는 “AR/AI 안경 개발에서 수년은 앞서 있다”며, ‘홀로그램 인터페이스’와 실시간 AI 지원이 가능한 미래형 스마트 안경을 메타가 가장 먼저 대중화할 것임을 자신한다.

 

구글, 애플, 오픈AI까지… AI 안경 전쟁 '불붙는다'


시장의 지각변동 역시 본격화되고 있다. 애플은 2026년 출시를 목표로 ‘애플 AI 스마트 글래스’를 준비 중인데, 카메라·마이크·AI 탑재와 시리(Siri) 연동, 음성 비서·음악·통화·실시간 번역 등 메타와 유사한 기능을 구현할 계획이다. 애플은 이미 올해 말까지 대량 프로토타입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한편 오픈AI는 아이폰 탄생을 이끈 조니 아이브의 하드웨어 스타트업을 65억 달러에 인수하며, AI 중심의 차세대 소비자 기기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 오픈AI와 아이브의 첫 제품은 콘텍스트 인지형 AI 기기로, 기존 웨어러블과 차별화되는 혁신적 사용자경험을 예고했다.

 

글로벌 AI 안경 시장, 2030년 82.6억 달러로 뛴다

 

AI 안경을 포함한 글로벌 AR 글래스 시장은 2024년 19억3000만 달러에서 연평균 27.3% 성장해 2030년에는 82억6000만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메타가 현재 6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며 독주 중이지만, 애플·구글·오픈AI 등 빅테크들의 진입이 본격화되며 18개월 안에 경쟁이 극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테슬라, 오토파일럿 치명사고로 4600억원 배상 첫 판결…"대규모 집단소송 가능성"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플로리다 연방 배심원단이 테슬라의 자율주행차 '오토파일럿' 시스템을 둘러싼 2019년 치명적 사고와 관련해, 테슬라에 3억2900만달러(한화 약 4600억원) 배상을 명령했다. BBC, CNBC, CNN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미국 연방법원에서 반자동(부분 자율) 운전자 보조기술 관련해 테슬라가 배상 책임을 공식적으로 진 첫 사례로, 자율주행차 산업과 교통안전법, 테슬라의 미래까지 미칠 파장이 상당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사고 경위 및 법원의 판단 2019년 4월 25일, 플로리다 키 라르고에서 조지 맥기가 운전하던 테슬라 모델S는 오토파일럿 모드로 주행 중 휴대폰을 줍기 위해 한눈을 판 사이 교차로를 시속 62마일(약 100km)로 진입해 정지 신호와 빨간 점멸등을 무시, 주차된 SUV(쉐보레 타호)를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당시 22세였던 나이벨 베나비데스 레온이 사망했고, 남자친구인 딜런 앙굴로는 수차례 골절과 뇌 손상, 심각한 정신적 트라우마를 입었다. 피해자 측 법률팀은 "테슬라가 오토파일럿을 고속도로 전용으로 설계했음에도 불구, 일반도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방치했다"며 "마케팅에서도 '인간보다 더 안전하다'고

[빅테크칼럼] "연구원 없애고 엔지니어만" xAI 직함 파격 개편…머스크發 실리콘밸리 조직문화 ‘지각변동’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에서 ‘리서처(Researcher, 연구원)’라는 전통적 직함을 공식적으로 삭제하고, 모든 기술 직원을 “엔지니어(Engineer)”로 통일한다고 선언한 조치가 글로벌 기술업계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머스크의 결정은 빅테크 업계 내 연구-엔지니어 직함 경계의 폐지라는 최근 조직문화 트렌드와 맞물려 있다. xAI, 연구자와 엔지니어 구분 공식 폐지…”이원화, 실질적 의미 없다” americanbazaar online, ndtv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변화는 xAI 엔지니어 아디트야 굽타가 X(트위터)에 “리서처와 엔지니어를 모집한다”고 공지하자, 머스크가 직접 “이건 잘못된 명칭”이라며 공개적으로 정정한 뒤 즉각 적용됐다. 머스크는 “’연구자’라는 명칭은 본질적으로 2단계 엔지니어링 시스템을 부드럽게 포장한 것”이라며 “이제 모든 기술 인력은 오직 ‘엔지니어’로만 통칭한다”고 밝혔다. 그는 연구자 직함을 “책임이 낮고 허세스러운 학계 용어”라고 비판했고, 실제 스페이스X의 엔지니어링 중심 조직 모델이 혁신 추진에 효과적이었다고 강조했다. AI 산업계, “경계 무너진다”

[빅테크칼럼] 머스크의 뉴럴링크, BCI 임상 영국 '상륙'…뇌신경 혁명 가속에 몸값 90억달러 '돌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뇌신경 인터페이스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미국에 이어 영국에서 본격적으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칩 임상실험에 착수했다. 블룸버그, 텔레그래프, CNBC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영국 의료 규제당국의 승인을 득한 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병원(UCLH) 및 뉴캐슬 어폰 타인 병원 NHS 트러스트 등과의 파트너십으로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중증 척수 손상 또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등으로 전자기기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한 신경계 장애 환자들로, 최대 7명이 대상이다. 뉴럴링크 N1 칩, 머리카락보다 얇은 128개 실로 '생각'을 잡다 임상시험의 핵심인 뉴럴링크 N1 칩은 10펜스짜리 동전 크기 수준이지만, 칩에 연결된 128개의 머리카락보다 얇은 실(threads)이 뇌 속 신경세포에 연결된다. 각 실에는 총 1000개 이상의 전극이 장착돼 뇌에서 발생하는 신경 신호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이를 디지털 명령으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환자들은 오직 생각만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전자기기의 커서 이동, 타이핑, 심지어 비디오게임 플레이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