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11월 17일 밤 부산 김해공항을 이륙하여 필리핀 세부를 향하던 진에어 LJ073편 여객기 내부에서 승객이 승무원을 폭행하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고는 항공안전과 보안에 중대한 위협으로 평가되며, 관련 법규에 따라 엄중 처벌될 예정이다.
사건 개요와 피해 상황
항공업계에 따르면, 폭행은 부산 출발 후 약 1시간 만인 오후 11시경에 벌어졌다. 승객 A씨는 다른 승객과의 말다툼 도중 제지하던 승무원 사무장을 때려 피를 흘리고 멍이 드는 심각한 부상을 입혔다고 한다. 해당 승무원은 즉시 의료조치를 받고, 사고 당시 피를 흘리며 멍든 모습이 언론에 보도됐다.
법적 대응과 규제 현황
한국 항공보안법 제43조는 항공기 내에서 승무원 등을 폭행한 경우 최대 징역 10년에 처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이번 사건 역시 법적 엄정 조치를 예고하고 있다. 진에어는 “이번 사안은 항공 안전과 보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범죄로, 관련 법규에 따라 강력하게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내외 항공기 내 폭력사태 증가와 통계
이와 유사 사건은 최근 몇 년간 국내외에서 늘어난 추세로 나타나고 있다.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항공기 내 불법행위는 연평균 300건 이상 발생하며, 폭행, 폭언, 성추행, 소란 등의 사례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2012년 이후 항공기 내 폭력·사건 적발 건수는 약 1,400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되어 항공안전의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해외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보고되고 있는데, 2016년 아시아나항공의 외국인 승객 폭행 사건과 2024년 인천국제공항 아시아나 항공기 내 외국인 승객 폭행 사건 등, 국내외 항공사들이 승무원과 승객 간 충돌로 인해 큰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분석과 전망
이번 부산-세부행 진에어 사건은 항공기 내 폭행 사고가 늘고 있는 현상과 맞물려,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승객의 무분별한 행동은 항공 안전뿐 아니라 항공사 전체의 신뢰 하락으로 직결되며, 정부와 항공사 모두 강력한 법적, 제도적 대응을 검토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엄격한 법적 조치는 항공기 내 폭력 예방과 안전 강화를 위한 주요 수단이 되며, 앞으로도 승무원과 탑승객 간 충돌 방지와 충돌 시 신속 대응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이 항공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전반적인 법적·제도적 보완책 마련에 더욱 힘쓰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