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오픈AI의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이 최근 스탠퍼드 대학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AI 개인화가 심화됨에 따라 새롭게 대두되는 보안 위험에 대해 경고했다. 점차 사용자 개개인의 데이터를 학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기술이 민감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는 AI 분야의 다음 발전 단계에서 가장 중대한 보안 과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트먼은 특히 사용자가 AI와의 대화 기록, 연결된 외부 서비스(이메일, 쇼핑 등)를 통해 AI가 개인 생활을 폭넓게 ‘기억’하게 되는 점을 지적했다. 이러한 개인화 기능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지만, 동시에 모델이 개인의 프라이버시 정보를 해킹이나 데이터 탈취 공격에 노출될 위험도 커진다고 경고했다. 예를 들어, AI 비서가 이전 대화에서 수집한 의료 정보를 온라인 구매 과정에서 무심코 노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올트먼은 “사람은 맥락을 이해하지만 AI는 사적인 정보와 일반적인 맥락을 구분하기 어렵다”며, “개인 모델에서 모든 것을 알고 있는 정보를 빼내가는 데이터 유출을 완벽히 방지하는 것은 AI 보안에서 가장 어려운 목표 중 하나”라고 말했다. 더욱이, AI 시스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에릭 슈미트 전 구글 CEO가 최근 공개한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중국의 오픈소스 AI 모델들이 우수한 품질 때문이 아닌 비용 부담이 적기 때문에 전 세계에서 표준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그는 특히 서방 국가들이 주로 폐쇄형(closed-source) AI 모델에 투자하는 반면, 중국은 장대한 오픈소스 AI 생태계를 구축해 많은 국가들이 무료로 접근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타임스오브인디아, 비즈니스인사이더, 마켓코리아, 블룸버그, SCMP에 따르면, 슈미트는 “미국과 서구권은 대형 AI 모델을 폐쇄형으로 운영하며 상당한 비용이 든다. 반면 중국은 최대 AI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급하며 이들은 무료다. 자금력이 부족한 다수 국가들은 품질이 아닌 가격 때문에 중국 모델을 채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운로드 수로 드러난 중국 AI 생태계 성장 중국 알리바바의 대표 AI 모델인 Qwen 시리즈는 개발자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서 올해 누적 다운로드 3억8530만건을 기록하며 메타의 Llama(3억4620만건)를 앞섰다. 현재 허깅페이스에서 중국산 파생 언어모델이 전체 신규 모델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메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가 감독형 완전자율주행(FSD: Full Self-Driving) 시스템을 한국 시장에 곧 공식 출시할 예정이라고 2025년 11월 12일 밝혔다. 이는 테슬라가 아시아에서 한국을 첫 번째 FSD 상용화 국가로 선택한 것으로, 국내 자율주행 시장에 새로운 파장이 예상된다. 해외매체와 NHTSA Reports, Tesla Safety Report에 따르면, 테슬라코리아는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서울 도심에서 FSD 감독형 시스템으로 주행 시험하는 영상을 공개하며, “FSD 감독형, 다음 목적지는 한국. 곧 출시”라고 발표했다. 공개된 영상에서는 차량이 자율적으로 목적지까지 운전하며 차선 변경, 주차까지 사람 개입 없이 수행하는 모습이 담겼다. 현재 한국 도로교통법은 자율주행 기술을 레벨 2까지만 허용하고 있어, FSD의 완전한 기능을 활용하는 데는 규제라는 벽이 존재한다. 예컨대, 운전자가 손을 완전히 떼고 차선 변경, 교차로 판단을 차가 스스로 하는 기능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또한, 자율주행차량의 영상·위치 데이터가 해외로 반출되는 것도 불가해 테슬라의 미국 서버 기반 AI 학습과 충돌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2025년 10월 중국 내 판매량에서 큰 타격을 입으며 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로이터 통신 및 중국자동차시장정보연석회(CPCA) 자료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 10월 중국에서 2만6,006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35.8% 감소했다. 이는 3년 만에 가장 낮은 월 판매량으로, 직전 달인 9월(7만1,525대)과 비교하면 63.6% 급감한 수치다. 이로 인해 테슬라의 중국 전기차 시장 점유율은 9월 8.7%에서 10월 3.2%로 급락했다. 주요 원인은 경쟁 심화와 수요 부진에 있다. 테슬라가 8월 말 출시한 6인승 SUV 모델 Y L의 초기 기대와 달리 판매 모멘텀이 약화됐다. 가장 인기 있는 모델인 모델 Y의 10월 판매량은 전년 대비 46% 하락한 1만9,488대에 그쳤으며 9월 대비로는 62% 감소했다. 모델 3 판매량도 6,518대로 전달 대비 감소했다. 반면, 테슬라의 주요 경쟁자인 중국 기업 샤오미는 10월 전기차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보였다. 샤오미는 SU7 세단과 YU7 SUV를 앞세워 중국 내 4만8,654대를 판매했으며, 특히 YU7의 3만3,662대는 테슬라 모델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올해 아마존, 알파벳,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등 다섯 대형 빅테크 기업이 총 930억 달러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해, 지난 3년간 채권 발행액을 단숨에 뛰어넘는 기록을 세웠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무디스, JP모건,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는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센터 인프라 구축에 대한 투자 확대에 따른 것으로, 자본 조달을 위한 채권 발행이 채권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메타가 10월 말 300억 달러의 회사채를 발행하며 올해 미국에서 가장 큰 고등급 회사채 발행 기록을 세웠고, 알파벳은 11월 초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총 250억 달러를 조달했다. 오라클 역시 9월에 180억 달러 규모의 채권을 발행해 AI 인프라 구축과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했다. 이러한 대규모 채권 발행은 무디스 수석 신용 담당자인 에밀 엘 넴스가 언급한 바와 같이 "AI 컴퓨팅 수요 증가에 따른 용량 제약에 대응하기 위한 명확한 추세"로 분석된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데이터에 따르면 9월과 10월 두 달 간에만 750억 달러의 AI 관련 부채가 새로 발행됐으며, 이는 과거 10년간 연평균 발행액의 두 배 이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메타의 최고 AI 책임자이자 세계 최연소 자수성가 억만장자인 알렉산더 왕(Alexandr Wang)은 10대 청소년들에게 인공지능(AI) 도구를 활용한 ‘바이브 코딩(vibe-coding)’ 실습에 수천 시간을 투자할 것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 Fortune, Business Insider, Forbes, CNBC에 따르면, 2025년 9월 메타 컨넥트 2025 행사 기간 TBPN 팟캐스트에서 왕은 “만약 지금 13살이라면 모든 시간을 바이브 코딩에 쏟아야 한다”며, “이는 빌 게이츠와 마크 저커버그가 프로그래밍을 배웠던 순간과 같은 결정적 기회”라고 말했다. 그는 “이 도구들과 함께 성장하는 사람들은 미래 경제에서 엄청난 이점을 갖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바이브 코딩은 자연어로 AI 코딩 어시스턴트에게 명령을 내리며 코드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2025년 2월 오픈AI 공동 창업자 안드레이 카르파시(Andrej Karpathy)가 처음 제시했다. 콜린스 사전은 2025년 올해의 단어로 선정하며 “자연어로 코드를 작성하는 AI 활용 행위”로 정의했다. 구글의 순다 피차이 CEO 역시 Cursor, Replit 등의 바이브 코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이 2025년 10월, 보유 중이던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 주식 3210만주를 총 58억3000만 달러(한화 약 8조5000억원)에서 5.83억 달러로 매각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CNBC, Reuters, Bloomberg, Investing.com, Fortune에 따르면, 이 자금은 인공지능(AI) 분야인 오픈AI 등과 같은 대규모 AI 투자에 활용될 예정이다. 소프트뱅크는 앞서 T모바일 주식 일부도 9조1700억원에 매각해, 2025년 2분기에 순이익 2조5000억엔(약 23조7000억원)을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은, AI 분야 투자 확대를 위해 기존 엔비디아 지분을 포함한 자산을 매각하며 AI 스타트업 오픈AI에 225억 달러의 추가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이번 엔비디아 지분 매각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며, 2017년 40억 달러 규모로 엔비디아 지분에 투자한 후 2019년 1월 전량 매각한 바 있다. 이번 매각 관련 소프트뱅크 재무관리책임자( CFO) 요시미쓰 고토는, 투자자 대상 발표에서 “엔비디아 지분 매각은 AI 투자 자금 확보를 위한 자산 모니터라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AI 대부' 얀 르쿤 뉴욕대 교수가 2013년부터 메타(페이스북 모회사)에서 '최고 AI 과학자' 부사장으로 이끌어온 기초인공지능연구소(FAIR)를 떠나 자신의 스타트업을 설립한다. 이는 메타의 AI 연구 재편과 맞물린다. 마크 저커버그 CEO가 초지능(superintelligence) 개발에 집중하며 범용인공지능(AGI) 중심 전략에서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한 데 따른 것이다. 최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보도에 따르면 르쿤 교수는 신생 기업 설립을 위한 자금 조달 협상을 진행 중이며, 이 스타트업은 ‘세계 모델(World Model)’ 연구와 구현에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르쿤 교수는 현재 LLM(대형 언어 모델)에 기반한 AI가 인간 수준의 추론과 계획 능력을 갖추기 어렵다고 보고, AI가 직접 세계를 관찰·학습하며 예측·추론하는 세계 모델이 차세대 AI 핵심이라고 판단한다. 메타는 지난 6월 AI 스타트업 스케일AI에 143억 달러(약 19조 6천억원)를 투자하며 젊은 천재 개발자 알렉산더 왕을 최고 AI 책임자(CAIO)로 영입해 ‘메타초지능연구소’를 이끌게 했다. 이에 맞춰 AI 조직을 4개 팀(대형언어모델 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