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3 (일)

  • 구름많음동두천 14.4℃
  • 흐림강릉 15.0℃
  • 구름많음서울 13.9℃
  • 구름조금대전 15.4℃
  • 구름많음대구 15.7℃
  • 맑음울산 17.4℃
  • 맑음광주 15.6℃
  • 맑음부산 17.1℃
  • 맑음고창 16.0℃
  • 맑음제주 19.3℃
  • 구름많음강화 13.7℃
  • 맑음보은 13.5℃
  • 맑음금산 15.0℃
  • 맑음강진군 16.6℃
  • 맑음경주시 17.4℃
  • 맑음거제 14.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딱 걸린 저커버그, 베이조스 약혼녀 가슴 '힐끔'…"그도 남자였다"

마크 저커버그,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
옆자리에 아마존 창업자 약혼녀 로렌 산체스 앉아
저커버그, 산체스 의상 힐끗 보고 어색 웃음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최고경영자)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식에서 아마존 회장 약혼녀 가슴을 훔쳐보는 듯한 모습이 포착됐다.

 

20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 뉴욕포스트(NYP) 등 외신에 따르면 저커버그는 이날 국회의사당 로툰다에서 열린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에 참석해 트럼프 일가 바로 뒤 두 번째 줄에 앉았다. 그의 옆자리에는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의 약혼녀 로렌 산체스가 있었다.

 

그런데 저커버그는 산체스의 의상 속을 연신 흘깃대는 모습을 보였다. 당시 산체스는 흰 정장 안에 란제리처럼 보이는 레이스 상의를 입은 상태였고, 가슴 부분이 드러나 있었다.

 

당시 상황이 담긴 영상에는 저커버그가 대화에 대답을 하면서도 산체스 얼굴을 쳐다보거나 옷 안을 쳐다보는 장면이 잡혔다. 이후 산체스에게서 곧장 시선을 돌리거나 어색한 듯 웃어 보였다.

 

이 장소에는 저커버그의 아내인 프리실라 챈도 함께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데일리메일은 저커버그의 아내 챈이 남편과 산체스의 대화에는 참여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도 두 사람에게서 등을 돌렸다고 덧붙였다.

 

 

이 모습은 엑스(X·옛 트위터)에서 화제를 모았다. 누리꾼들은 저커버그가 산체스의 가슴을 반복적으로 응시했다고 비난했다.

 

영상을 접한 누리꾼들은 "이건 저커버그가 졌다" "저커버그 오늘 집에 못 들어가는 거 아니냐" " 저커버그도 결국 어쩔 수 없는 남자네"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 등 반응을 보였다.

 

이날 취임식에는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 1위에 오른 일론 머스크를 비롯해 2위 제프 베이조스 그리고 3위 마크 저커버그가 참석했다. 

 

이외에도 LVMH의 회장이자 프랑스 최고 부자인 베르나르 아르노, 알파벳 공동 창업자 세르게이 브린, 라스베이거스 샌즈 코퍼레이션의 대주주인 미리암 아델슨,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팀 쿡 애플 CEO, 저우서우쯔 틱톡 CEO 등 거물급 기업인이 다수 참석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내궁내정] "온수 수돗물은 중금속 덩어리, 요리는 반드시 냉수로"…WHO와 EPA 경고 "온수 수돗물, 끓여도 중금속 제거 안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온수 수돗물로 요리하거나 음용하는 행위에 대해 강력히 경고하고 있다. 온수는 보일러나 온수기 내부 배관을 거치면서 배관 내에 고인 오래된 물과 혼합되는데, 이 과정에서 배관에서 녹아 나온 납, 구리, 니켈, 철, 아연 등 중금속이 용출될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 반면, 냉수는 정수장에서 처리된 깨끗한 물이 가정으로 직접 공급되어 상대적으로 안전하다.​ 온수 수돗물이 중금속을 함유하는 이유는 온도의 상승과 관련이 깊다. 화학적으로 온수가 냉수보다 중금속을 더 빠르게 용해시켜 물 속 중금속 농도를 높인다. 특히 오래된 배관일수록, 금속 용출 위험은 더 커진다. 유해한 중금속은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