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메타 AI 스마트안경 510만대 호황에 에실로룩소티카 주가·매출 '사상 최고'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프랑스-이탈리아 합작 안경업체 에실로룩소티카(EssilorLuxottica)의 주가가 2025년 10월 17일(현지시간), 메타(Meta)와 공동 개발한 AI 기반 스마트 안경 ‘레이밴 메타(Ray-Ban Meta)’의 급증하는 수요 덕분에 사상 최고치인 308유로를 기록하며 11% 이상 급등했다.

 

Reuters, CNBC, EssilorLuxottica 공식, Bloomberg, Omdia, MarketResearch, Yahoo Finance, Channel News Asia, TipRanks에 따르면, 3분기 매출은 68억7000만 유로(약 80억2000만 달러)로, 고정 환율 기준 전년 동기 대비 11.7% 증가해 2018년 그룹 결성 이래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

 

이는 애널리스트 예상치인 67억5000만 유로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로, 북미 및 유럽-중동-아프리카(EMEA) 지역에서 각각 12.1%, 12.7%의 고성장을 기록하며 글로벌 성장세를 견인했다.​

 

특히 에실로룩소티카의 CFO인 스테파노 그라시(Stefano Grassi)는 메타와 협업한 AI 스마트 안경 사업이 분기 매출 성장의 4%포인트 이상을 차지했다고 밝히며, 수요 증대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능력 확장도 예정보다 앞당겨 추진 중임을 밝혔다. 레이밴 메타와 함께 출시된 새로운 AI 글래스 모델은 미국에서 379달러부터 799달러(디스플레이 탑재 플래그십 모델) 가격대로 판매 중이며, 2026년 초에는 캐나다,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등 주요 시장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시장 조사 기관 오미디아(Omdia)에 따르면, 2025년 글로벌 AI 스마트 안경 출하량은 전년 대비 158% 증가해 510만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026년에는 1000만대를 넘어설 전망이다.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이 47%에 달해 스마트 안경이 웨어러블 산업의 핵심품목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

 

바클레이스 애널리스트는 스마트 안경이 휴대전화 이후 가장 혁신적인 신기술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하며, 2035년까지 전 세계 판매량이 6000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애널리스트들은 에실로룩소티카의 성장 잠재력에 긍정적 반응을 보이며, UBS는 목표주가를 280유로에서 291유로로 상향 조정했으며, JP모건과 바클레이스도 투자 의견을 유지하면서 스마트 안경 부문의 ‘핵심 성장 동력’ 부상에 주목했다. 최신 주가 전망에 따르면, 12개월 내 평균 목표주가는 약 283~304유로 사이로 시장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에실로룩소티카는 2026년까지 연간 중간 한 자릿수 매출 성장 목표를 재확인했으며, 조정 영업이익률은 19~20%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웨어러블과 시력 관리, 선글라스 부문에서 고른 성장세로 4분기까지 강한 모멘텀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푸틴·트럼프 ‘해저 평화터널’ 현실화?…러시아 극동-알래스카 113㎞ 해저터널, 머스크 ‘더보링컴퍼니’가 건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러시아 국부펀드 러시아 직접투자펀드(RDIF) 최고경영자이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특사인 키릴 드미트리예프가 미국 알래스카와 러시아 극동 추코트카를 잇는 113㎞ 길이의 해저터널 건설을 일론 머스크의 터널 건설 기업 더보링컴퍼니(TBC)에 제안했다. 그는 이 터널을 ‘푸틴-트럼프 터널’로 명명하며, 미주와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상징적인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Al Jazeera, cnbc, reuters, Fox News, The Independent에 따르면, 드미트리예프는 전통적인 공법으로는 이 사업에 650억 달러(약 92조원)가 넘는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하지만, TBC의 혁신적인 기술을 적용하면 80억 달러(약 11조원) 이하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 공사는 약 8년 내 완공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구상은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소련 지도자 니키타 흐루쇼프 간 냉전 시기 검토된 ‘세계 평화 다리’ 구상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케네디-흐루쇼프 다리는 북태평양을 횡단해 양국을 연결하는 구상으로, 최근 미 의회에서 공개된 문서에도 등장해 주목받고 있다. 드미트리예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