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500대 기업의 지난 3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에 그쳤으나, 영업이익은 22.4%나 늘어났다. 반도체 업황 호조로 SK하이닉스가 역대 최대 분기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지난해 유가 약세로 적자를 본 석유화학 업종은 흑자전환했으며, 조선‧기계‧설비 업종도 전년 동기 대비 72.3%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11월 1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국내 매출 500대 기업 중 지난 14일까지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339개사를 대상으로 올 3분기(7월~9월) 실적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3분기 영업이익은 73조2047억원으로 전년동기(59조7992억원) 대비 13조4055억원(22.4%) 증가했다.
이들 기업의 3분기 매출액도 831조1613억원으로 전년동기(785조8194억원) 대비 45조3419억원(5.8%) 늘었다.
기업별로 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 규모가 컸다. 특히 이들은 반도체 업황 호조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9조1834억원) 대비 2조9827억원(32.5%) 늘어난 12조1661억원을 기록했다. 2위는 전년 동기보다 영업이익이 무려 4조3534억원(61.9%) 늘며 11조3834억원을 기록한 SK하이닉스였다. SK하이닉스는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내며 창사 이래 처음으로 영업이익 10조원을 넘겼다.
이어 한국전력공사(5조6519억원), 현대자동차(2조5373억원), 기아(1조4623억원), 한화(1조3442억원), 삼성물산(9934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8564억원), 한국투자증권(8353억원), 삼성생명(8158억원) 순으로 영업이익 규모가 컸다.
반면 3분기 영업손실 규모가 가장 컸던 기업은 삼성SDI(-5913억원)였다. 이어 아시아나항공(-1977억원), 포스코이앤씨(-1947억원), 롯데케미칼(-1326억원), HD현대케미칼(-1031억원), 한화토탈에너지스(-992억원), 티웨이항공(-955억원), 제주항공(-550억원), 여천NCC(-423억원), 하이브(-422억원) 순이었다.

전년과 비교해 올 3분기 영업이익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SK하이닉스로 조사됐다. D램과 낸드 가격 상승, 고대역폭메모리(HBM)을 필두로 한 인공지능(AI) 서버용 고성능 제품의 출하량이 늘어나며 SK하이닉스의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4조3534억원(61.9%)이나 급증했다.
삼성전자는 3분기 영업이익 증가액 2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2조9827억원(32.5%) 늘었다.
또 한국전력공사(2조2558억원·66.4%), 한화(8188억원·155.8%), GS칼텍스(7250억원·흑자전환), SK에너지(6719억원·흑자전환), S-Oil(6441억원·흑자전환), LG디스플레이(5116억원·흑자전환), HD현대오일뱅크(4593억원·흑자전환), 한국투자증권(4518억원·117.8%) 순으로 영업이익이 크게 늘었다.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가장 크게 감소한 곳은 기아였다. 기아의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1조4190억원(49.2%) 줄었다. HMM의 3분기 영업이익도 전년동기 대비 1조1646억원(79.7%) 감소했다.
이어 현대자동차(-1조436억원·-29.1%), 한국수력원자력(-8069억원·-50.4%), 삼성SDI(-7212억원·적자전환), 대한항공(-5082억원·-76.3%), SK텔레콤(-4849억원·-90.9%), 아시아나항공(-3745억원·적자전환), 포스코이앤씨(-2413억원·적자전환), DB손해보험(-1877억원·-29.8%) 순으로 영업이익 감소폭이 컸다.
한편, 조사대상 기업의 3분기 업종별 영업이익 증가율은 석유화학(3조39억원)이 흑자전환했다. 이어 조선·기계·설비(72.3%)가 뒤를 이었다.
이밖에는 제약(63.6%), 에너지(61.1%), 철강(42.7%), 증권(42.6%), IT전기전자(41.7%), 서비스(30.4%), 유통(29.5%), 건설‧건자재(29.2%), 공기업(11.6%), 보험(9.9%), 식음료(2.2%), 생활용품(0.8%), 여신금융(-0.5%), 상사(-21.5%), 자동차‧부품(-28.4%), 통신(-39.8%), 운송(-69.2%) 순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