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前 왓츠앱 보안 책임자, 메타 상대로 50억 달러 소송…"1500명 엔지니어, 세계 개인정보 무제한 접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메신저 시장 20억 사용자 규모를 자랑하는 왓츠앱의 전(前) 보안 책임자 아타울라 바이그가 2025년 9월, 메타를 상대로 미국 연방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메타가 체계적으로 사이버보안 규정을 위반하고, 그가 핵심적인 보안 실패를 보고한 것에 대해 보복했다고 주장했다.

 

Sift Q3 Digital Trust & Safety Index, FTC Press Release 및 Facebook 개인정보 침해 자료, Citizen Lab 스파이웨어·악성 PDF 취약점 분석 보고서를 비롯해 The New York Times, CNBC, BBC, The Register, TechXplore 등에 따르면, 샌프란시스코 연방 법원에 접수된 115페이지 분량의 소장에서 휘슬블로워는 사용자 성장만을 우선시하는 회사를 "컬트와 같은 문화"로 묘사했다.

 

바이그는 2021~2025년 왓츠앱 보안 수장을 맡으면서, 약 1500명 엔지니어가 적절한 감독 없이 사용자 데이터에 무제한 접근하는 구조와, 2020년 미 정부의 50억 달러 벌금 부과 및 연방거래위원회(FTC) 합의의 '개인정보 보호 조치'의 지속적 위반 정황을 밝혀냈다.

 

바이그는 "내부 보안 테스트 결과, 엔지니어들이 연락처, IP 주소, 프로필 사진 등 민감 정보를 감사 기록 없이 이동하거나 탈취할 수 있었다"고 증언했으며, FTC의 '데이터 접근 및 보관 로그 필수 기록' 규정을 위배한 주요 근거로 제시했다.


왓츠앱의 전 보안 책임자 아타울라 바이그가 월요일에 연방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바이그는

 

50억 달러 벌금 이후 여전한 보안 허점…계정 해킹·잠금 피해, 실태는 충격적


바이그 소장에 따르면 2022년에는 하루 평균 10만명, 2023년에는 하루 최대 40만명의 왓츠앱 이용자가 계정 탈취·잠금 피해를 입는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Sift의 2023 Q3 '디지털 신뢰&안전 인덱스'는 미주 성인 22%가 계정보안 침해(ATO) 피해를 경험했고, 전 세계적으로 멀티 해킹 및 비밀번호 재사용으로 인한 피해율은 72%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바이그는 내부 고발을 통해 추가 로그인 인증 도입, 프로필 사진 다운로드 제한 등 개선책을 제안했지만, 메타 경영진은 "사용자 성장 저해"를 이유로 거부했다고 전했다.

 

데이터 스크래핑, 사칭 위험 방치


메타가 방치한 또 다른 보안 취약점은 연간 약 4억건에 달하는 사용자 프로필 이미지·이름의 원본 데이터 스크래핑이다. 이 과정에서 수백만 명의 이름과 사진이 사칭 범죄에 악용됐고, 사설 보안 기관(Citizen Lab 등)은 왓츠앱의 보안 허점을 이용해 악성 PDF, 원격 스파이웨어 등이 침투하는 사례를 다수 보고했다.

 

보복과 해고, 내부고발자의 운명


바이그는 메타 수뇌부(윌 캣카스 WhatsApp 대표, 마크 저커버그 CEO 등)에 내부 보고 후 성과 악화 평가, 구두 경고, 2025년 2월 해고 등 지속적인 보복과 인사 불이익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해고 직전, 바이그는 SEC, OSHA 등 연방 규제기관에 관련 자료를 제출했다.

 

그러나 메타 측은 "성과 부족인 직원의 왜곡 주장"이라며, 미 노동부 OSHA의 고발 기각 사실까지 공개했다. 메타는 바이그의 직책에 대해서도 보안책임자가 아닌 하위 엔지니어였다고 반박했다.

 

법적·규제 위험, 지속적 부담

 

이번 소송은 2040년까지 유효한 2020년 Cambridge Analytica 개인정보 침해 합의(벌금 50억 달러, 세계 최대 규모) 이후 메타가 지속적으로 법적·규제 위험에 노출돼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페이스북·인스타그램·왓츠앱을 아우르는 '데이터 보호' 국면에서 전 세계 거대 플랫폼 기업의 책임과 투명성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美에너지부에 슈퍼컴 7대 구축·6G 통신 추진…미국내 반도체 리더십 강화 기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그래픽처리장치(GPU) 선도기업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와 긴밀한 협력 아래, 첨단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와 차세대 6G 통신망 구축을 추진하며 미전역의 첨단 과학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본격화했다. 이번 행사는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최초의 개발자 행사(GTC)로, 글로벌 기술 리더십 확장과 미국 내 반도체·통신 산업 회복을 동시에 노리는 모양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10월 28일(현지시간) 워싱턴DC 월터 E.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개발자행사(GTC) 기조 발표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AI 슈퍼컴퓨터 구축으로 핵심 연구 역량 강화 엔비디아는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인 아르곤 국립연구소와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에 quantum 기반 AI 슈퍼컴퓨터 7대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 슈퍼컴퓨터들은 각각 강력한 연산 능력을 갖춘 양자컴퓨팅 시스템으로, 핵무기와 핵 에너지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며, 미국 국방 및 국가 안보 분야의 핵심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전망이다. 황 CEO는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역량을 에너지 증진과 국방 강화를 동시에 지원하는 '게임체인저'"라고 평가했다. 6G 통신망

[빅테크칼럼] 플라스틱 폐기물, 배터리 재료로 변신…"탄소화 기술로 환경·에너지 두마리 토끼 사냥"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전 세계적으로 매년 3억9000만톤 이상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지만, 이 중 약 9%만이 재활용되고 있어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는 심각한 환경 이슈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 첨단 탄소화 기술의 발전으로 폐기된 플라스틱을 차세대 배터리 및 슈퍼커패시터용 고성능 탄소 기반 소재로 전환하는 혁신적 방법들이 속속 공개되면서 플라스틱 문제를 에너지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길이 열리고 있다.​ EurekAlert, sciencedaily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광저우 에너지 전환 연구소의 Gaixiu Yang 박사가 주도한 연구는, 플라스틱에서 탄소를 회수해 그래핀, 탄소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등 다양한 고기능성 탄소 소재로 변환하는 여러 탄화 기술을 총망라했다. 특히 플래시 줄 가열(flash Joule heating) 기술은 킬로그램당 0.1kWh 미만의 낮은 에너지 소비로 밀리초 단위에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그래핀으로 전환하며, 촉매 없이 혼합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도 가공 가능해 매립 플라스틱 처리에 적합하다.​ 이같은 폐플라스틱 유래 탄소 소재들은 단순히 폐기물 저감 효과에 그치지 않고, 에너지 저장 성능 측면에서도 탁월한 결과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