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빅테크

"돈 앞에 장사 없네" AI인재 ‘1300억원 몸값’에 옮겼다…오픈AI 핵심 두뇌, 메타로 대이동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5년 인공지능(AI) 업계의 최대 화두는 ‘인재 전쟁’이다. 그 중심에 메타(Meta)와 오픈AI(OpenAI)의 극한 스카우트 경쟁이 있다.

 

최근 메타가 오픈AI 유럽 전초기지였던 취리히 오피스의 설립 멤버 3인을 통째로 영입하며, AI 주도권을 둘러싼 글로벌 인재 쟁탈전이 본격화되고 있다.

 

메타, 오픈AI 취리히팀 ‘통째로’ 영입…슈퍼인텔리전스팀 전격 합류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오픈AI 취리히 오피스 설립 멤버이자 구글 딥마인드 출신인 루카스 베이어(Lucas Beyer), 알렉산더 콜레스니코프(Alexander Kolesnikov), 샤오화 자이(Xiaohua Zhai) 등 3명이 메타의 슈퍼인텔리전스(Superintelligence) 프로젝트팀에 합류했다.

 

이들은 오픈AI의 핵심 연구진으로, 챗GPT 등 첨단 언어모델 개발에도 깊이 관여해온 인물들이다.

 

오픈AI는 “3인이 퇴사한 것이 맞다”고 공식 확인했다. 메타는 공식 논평을 내지 않았으나, 업계에서는 마크 저커버그 CEO가 직접 이적을 주도한 것으로 보고 있다.

 

‘1인당 1억 달러’…저커버그의 초고강도 ‘인재 사냥’

 

이번 영입전의 배경에는 저커버그 CEO의 전례 없는 공격적 스카우트 전략이 있다. 그는 수백 명의 AI 연구자들에게 왓츠앱(WhatsApp) 메시지를 직접 보내고, 팔로알토와 레이크타호 자택에서 ‘리크루팅 파티(Recruiting Party)’라는 이름의 디너 모임을 열며 인재 영입에 총력을 기울였다.

 

특히 메타는 1인당 최대 1억달러(약 1300억원)에 달하는 보상 패키지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초고액’ 제안은 AI 업계 최고 수준으로, 연봉과 스톡옵션, 계약 보너스 등이 포함된다.

 

저커버그는 “메타에서는 자금이나 컴퓨팅 파워 걱정 없이 일할 수 있다”며, 막대한 광고수익과 AI 칩 확보력을 내세워 최고의 연구환경을 보장한다고 강조한다.

 

AI 인재전쟁, ‘문화와 미션’ vs ‘머니파워’ 구도


오픈AI 역시 이에 맞서 핵심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해 자체 보상책과 미션 중심의 조직문화를 강조하고 있다.

 

샘 올트먼(Sam Altman) 오픈AI CEO는 팟캐스트와 인터뷰에서 “메타가 우리 팀의 많은 사람에게 1억 달러의 보너스와 그 이상의 연봉을 제안했지만, 지금까지 우리 최고의 인재 중 누구도 그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밝혔으나, 이번 취리히팀 이탈로 그의 발언은 무색해졌다.

 

올트먼은 “메타가 AGI(범용인공지능) 실현이라는 사명보다는 직원 보상에 초점을 맞추면 훌륭한 문화를 만들지 못할 것”이라며, 오픈AI의 ‘미션 드리븐’ 문화를 재차 강조했다. 실제로 오픈AI는 장기적 수익참여제(PPU) 등으로 인재의 ‘충성심’과 ‘공동체 의식’을 고취시키고 있다.

 

메타, 스케일AI CEO까지 영입…‘슈퍼인텔리전스’ 승부수


메타는 최근 AI 데이터 스타트업 스케일AI(Scale AI)에 143억 달러(약 19조원) 투자와 함께 CEO인 알렉산드르 왕(Alexandr Wang)까지 영입, 슈퍼인텔리전스팀의 수장으로 앉혔다.

 

또한, 오픈AI 공동창업자인 일야 슈츠케버(Ilya Sutskever), 존 슐만(John Schulman) 등에도 직접 영입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메타의 목표는 단순한 AI가 아닌, 인간을 뛰어넘는 ‘슈퍼인텔리전스’ 실현이다. 저커버그는 “메타의 광고 비즈니스가 AI 개발을 위한 수십억 달러의 자금을 자급자족할 수 있다”며, 장기적 투자를 선언했다.

 

글로벌 AI 인재전쟁, 결국은 머니파워?

 

글로벌 AI 인재전쟁은 이제 ‘머니파워’와 ‘미션·문화’의 대결 구도로 전개되고 있다.

 

AI 연구자들은 “전 세계에서 최첨단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인재는 수백~수천 명에 불과하다”며, 이들을 둘러싼 보상과 조건, 조직문화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한다.

 

메타와 오픈AI의 인재 쟁탈전은 AI 기술력뿐 아니라, 기업의 철학·문화·비전 경쟁으로 확장되고 있다. 누가 더 많은 ‘슈퍼스타’ 연구자를 확보하느냐가 AGI, 슈퍼인텔리전스 시대의 승자를 가를 핵심 변수로 부상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텔레그램, ‘추적 불가’ 신화 깨졌다…한국경찰에 95% 정보제공, 디지털범죄 검거 급증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추적당하지 않는 메신저’로 악명 높았던 텔레그램이 2024년 8월 창업자 파벨 두로프 체포 이후 정책을 전면 수정, 한국 경찰의 수사 요청에 95% 이상 응답하며 디지털 범죄 검거에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가입자 정보·IP 기록 등 핵심 자료가 제공되며, 딥페이크·마약·성착취 등 각종 범죄 검거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텔레그램, ‘범죄 안전지대’에서 ‘수사 협조’로 급선회 2024년 8월, 텔레그램 창업자 겸 CEO 파벨 두로프가 프랑스에서 아동 음란물 유포, 마약 밀매, 자금 세탁 방치 등 혐의로 체포된 것이 결정적 전환점이 됐다. 이후 텔레그램은 개인정보 보호 정책을 변경하고, 한국 경찰 등 수사기관의 자료 요청에 적극적으로 응답하기 시작했다. 경찰청에 따르면, 2024년 10월 이후 텔레그램은 한국 경찰의 자료 요청에 95% 이상 응답하고 있다. 실제로 2025년 6월 기준, 경찰이 제공받은 자료는 1000여 건에 달한다. 요청이 들어오면 텔레그램은 자사 정책 및 국제법 위반 여부를 검토한 뒤, 가입자 정보와 IP 기록 등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나머지 5%도 요청서를 보내고 기다리는 상태로, 사실상 거의 모든 요청이 받

[공간사회학] 148년 역사 윔블던, AI 심판 도입…'전통 상징' 테니스 ‘혁신의 서막’ 열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6월 30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올잉글랜드클럽에서 개막한 ‘윔블던 챔피언십’이 148년 만에 사상 최초로 ‘AI 심판’ 시스템을 전면 도입했다. 1877년 창설 이래 ‘전통의 상징’이었던 윔블던이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하며 스포츠 혁신의 한복판에 섰다. AI 심판, 148년 만에 선심을 대체하다 BBC, Sky News의 보도에 따르면, 올해 윔블던의 가장 큰 변화는 ‘인간 선심’이 완전히 사라지고, AI 기반 라인 판독 시스템이 모든 코트에서 인·아웃 판정을 맡는다는 점이다. AI 심판은 코트 주변에 설치된 고성능 카메라와 센서를 통해 공의 궤적을 실시간으로 추적,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인’과 ‘아웃’을 즉각적으로 판정한다. BBC와의 인터뷰에서 윔블던 조직위원회는 “기술의 발전이 경기의 공정성과 신속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AI 심판 도입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이미 2023년 US오픈, 2024년 호주오픈 등 일부 메이저 대회에서 부분적으로 도입된 바 있으나, 윔블던처럼 모든 코트에서 선심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AI 심판은 판정의 일관성과 신속성, 그리고 인간 오심 논란을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