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3.9℃
  • 맑음강릉 10.2℃
  • 흐림서울 3.8℃
  • 구름조금대전 7.8℃
  • 구름많음대구 9.9℃
  • 구름조금울산 12.0℃
  • 구름많음광주 8.5℃
  • 맑음부산 14.4℃
  • 구름많음고창 9.8℃
  • 흐림제주 13.4℃
  • 흐림강화 2.6℃
  • 구름조금보은 7.1℃
  • 흐림금산 6.9℃
  • 흐림강진군 9.8℃
  • 구름조금경주시 11.8℃
  • 맑음거제 14.2℃
기상청 제공

빅테크

저커버그와 젠슨 황, 외투 바꿔입고 '찰칵'···메타·엔비디아 '악수' 암시?

"AI 역사에 남을 세기의 사진"이라며 찬사

마크 저커버그 메타플랫폼스 최고경영자(CEO)(왼쪽)가 27일(현지시간) 인스타그램에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외투를 바꿔입고 촬영한 사진을 올렸다. [저커버그 인스타그램]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AI 선도 기업 엔비디아·메타의 최고경영자들의 ‘투샷’ 사진이 화제다. 저커버그가 젠슨 황과 외투를 바꿔입고 촬영한 사진을 놓고 인스타그램 이용자들은 "AI 역사에 남을 세기의 사진"이라며 찬사를 보냈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가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외투를 바꿔입고 찍은 사진을 공개했다. 이를 두고 인공지능(AI) 산업혁명을 이끄는 두 미국 빅테크 기업의 'AI동맹'을 암시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플랫폼스 최고경영자(CEO)는 27일(현지시각) 소셜미디어를 통해 "유니폼 교환(Jersey Swap)"이라며 젠슨 황과 외투를 바꿔입고 찍은 사진을 올렸다.

 

저커버그는 젠슨 황의 검은색 가죽점퍼, 젠슨 황은 저커버그의 황토색 머스탱 재킷을 입었다. 검은색 가죽점퍼는 젠슨 황의 상징과 같다. 그는 20여년간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포함한 공개 석상마다 검은색 가죽점퍼를 입었다.

 

사진 속 젠슨 황이 입은 황토색 머스탱 재킷은 저커버그가 지난달 28일 방한 당시 입었던 외투다. 저커버그는 이 외투를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방문 일정에서 입었다.

 

커버그는 인스타그램에서 젠슨 황을 가리켜 "누구냐"고 묻는 댓글에 "기술업계의 테일러 스위프트"라고 소개했다. 황을 미국의 정상급 팝스타에 빗대어 AI를 포함한 정보기술(IT) 시장을 선도하는 빅테크계의 슈퍼스타라는 의미다.

 

저커버그는 또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인 H100을 구매할 것이냐는 질문에 "B100을 살 것"이라고 대답했다. B100은 엔비디아에서 연내 출시될 예정인 차세대 AI 칩으로, 연산 속도가 H100보다 2.5배 빠른 것으로 전해졌다.

 

젠슨 황도 지난 18일 이 제품을 처음 공개하면서 "B100은 모든 산업에서 AI 구현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우리 회사 역사상 가장 성공한 제품이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젠슨 황과 저커버그는 지난해부터 시작된 AI 활황에서 산업을 선도하는 CEO로 꼽힌다. 엔비디아는 미국 시장분석업체 컴퍼니스마켓캡닷컴에서 시가총액에서 2조2560억 달러로 세계 3위, 메타는 1조2590억 달러로 7위다. 두 기업의 합산 시총은 3조5000억 달러를 넘겨 세계 1위인 마이크로소프트(3조1310억 달러)를 넘는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혈당을 넘어 당뇨병 합병증 근본 해결"…NYU 연구진, 염증 원천 표적하는 혁신 약물 RAGE406R 개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최근 미국 뉴욕대학(NYU) 랭곤 헬스 연구진이 혈당 조절과 무관하게 당뇨병 합병증의 근본 원인을 표적하는 혁신적 저분자 화합물 RAGE406R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이 약물은 당뇨병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염증과 조직 손상, 특히 상처 치유 지연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는 2025년 11월 14일 생화학 분야의 권위지 ‘Cell Chemical Biology’에 발표됐다.​ 현재 당뇨병 치료제는 주로 혈당 수치를 낮추는데 집중되어 있으나,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만성 염증과 같은 합병증에 직접 작용하는 치료법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 RAGE406R은 당뇨병 환자의 세포 내에서 염증 신호를 촉발하는 RAGE(최종당화산물 수용체)와 DIAPH1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는 기전으로 작동한다. 이 상호작용이 억제되면서 염증 매개물질 CCL2의 분비가 현저히 줄어들어 대식세포 내 염증 반응이 완화됐다.​ 특히, 비만형 제2형 당뇨병 생쥐에 국소 적용된 실험에서 RAGE406R은 상처 치유 속도를 대폭 높여, 치유 지연으로 고통받는 당뇨환자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증명했다. 남녀 당

[빅테크칼럼] 테슬라, 美 전기차 생산서 중국산 부품 전면 배제…"미중갈등 지정학 리스크 대응차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글로벌 전기차 선두주자 테슬라가 미국 내 생산 전기차에 사용되는 부품에서 중국산을 전면 배제하는 전략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는 미·중 간 고조된 지정학적 긴장과 무역 분쟁에 따른 공급망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평가받는다. 월스트리트저널, 로이터, CBS, 배터리테크온라인, 테슬라매그에 따르면, 테슬라와 주요 공급업체들은 이미 미국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에 들어가는 일부 중국산 부품을 현지 혹은 타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대체했으며, 앞으로 1~2년 내에 모든 중국산 부품을 중국 외 지역에서 조달한 부품으로 교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같은 결정은 2025년 초 확정됐으며, 공급망 다변화의 일환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중국산 부품 수급 차질 경험과 올해 들어 미국 정부가 중국산 품목에 고율 관세를 부과한 영향이 컸다.​ 특히 테슬라가 대체에 가장 난항을 겪는 부문은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다. 기존에 중국 CATL이 주요 공급사였던 LFP 배터리는 미국 내 판매 차량의 세액공제 대상에서 중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이 제외되면서 사용이 중단됐다. 이에 테슬라는 네바다주에 10GWh 규모의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