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미국 기업 ‘연봉킹’ 머스크 아니었다…美 CEO 보상 판도 바꾼 액손의 '릭 스미스' 2300억원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4년 미국 기업 최고경영자(CEO) 연봉 1위의 주인공은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도, 애플의 팀 쿡도 아니었다.

 

지난해 S&P500 상장사 CEO 중 유일하게 1억 달러를 넘는 보상을 받은 인물은 테이저건·바디캠 등 공공안전 솔루션 기업 액손 엔터프라이즈(Axon Enterprises)의 공동 창업자 겸 CEO 릭 스미스(Rick Smith)였다. 그의 연간 보상액은 무려 1억6450만 달러(약 2300억원)에 달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보도에 따르면, 릭 스미스는 2024년 S&P500 상장사 CEO 중 단연 압도적인 보상을 기록했다. 이는 GE 에어로스페이스의 래리 컬프(8740만 달러), 애플의 팀 쿡(7460만 달러), 블랙스톤의 스티븐 슈워츠먼(8400만 달러) 등 다른 대형 기업 CEO들을 멀찌감치 따돌린 수치다.

 

스미스의 보상 패키지는 대부분이 주식 보상으로, 2024~2030년까지 액손의 주가와 실적 목표를 달성해야만 실제로 받을 수 있는 구조다. 회사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면 이 보상은 ‘0’이 될 수도 있다.

 

액손은 2024년 30% 이상의 매출 성장과 사상 최대 연간 순이익(3억7700만 달러)을 기록했고, 주가도 1년 새 160% 급등해 시가총액 500억 달러를 돌파했다. 이 같은 실적이 스미스의 초고액 보상을 뒷받침했다.

 

반면,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는 2024년 공식 보수 ‘0달러’로, S&P500 CEO 중 최하위에 머물렀다. 2018년 체결된 560억 달러 규모의 성과 기반 스톡옵션 보상안이 법원 판결로 무효화돼, 머스크는 지난해 한 푼도 받지 못했다.

 

머스크의 보상안은 테슬라의 시가총액과 매출, 영업이익 등 12개 목표 달성 시 단계적으로 스톡옵션을 받는 구조였으나, 델라웨어 주 법원은 이사회 승인 과정의 절차적 문제를 지적하며 이를 취소했다. 테슬라와 머스크는 현재 항소 중이다.

 

2024년 S&P500 CEO의 보상 중간값은 1710만 달러(약 235억원)로, 전년 대비 약 10% 증가했다. 주식 보상이 전체 보상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실적과 주가 등 성과에 연동되는 구조가 확고해졌다.

 

GE, 애플, 블랙스톤, 캐리어글로벌, 넷플릭스 등 주요 기업 CEO들도 대부분 보상의 상당 부분을 장기 주식 보상으로 받고 있다.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3770만 달러),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2700만 달러, 대부분 경호비) 등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으나, 릭 스미스의 보상액에는 크게 못 미쳤다.

 

CEO 보상 증가세는 기업 실적과 주가 상승, 인재 확보 경쟁에 힘입은 결과지만, 일반 직원과의 임금 격차 확대, 기업 거버넌스 및 사회적 책임 논란도 커지고 있다. 릭 스미스의 ‘성과 연동형 주식 보상’은 스타트업의 긴장감과 열정을 유발한다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목표 미달 시 ‘0’이 될 수 있는 위험성, 그리고 초고액 보상에 대한 사회적 시선도 동시에 받고 있다.

 

성과에 연동된 초고액 주식 보상 패키지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는 가운데, 기업과 사회 모두 ‘성과’와 ‘공정’, 그리고 ‘지속가능성’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는 노력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트럼프 디지털세 관세 으름장 뒤엔 저커버그”…백악관 비공개 회동 전격 보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미국 기업에 부과되는 디지털세를 도입하는 국가에 대해 대규모 추가 관세 부과를 경고한 배경에는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와의 비공개 백악관 회동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블룸버그, 로이터, 뉴욕포스트, 야후파이낸스 등 주요 해외 언론은 2025년 8월 28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저커버그가 지난 주 백악관을 방문해 디지털 서비스 세금 도입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곧바로 해당 국가에 대해 경제 제재성 관세를 내리겠다는 강경 입장을 발표했다. 디지털세는 유럽을 중심으로 주요 국가들이 IT 글로벌 기업들이 특정 국가에서 발생시키는 매출에 세금을 부과하는 제도로, 구글, 메타, 애플, 아마존 등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주요 대상이다. 메타는 전체 매출의 대부분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 광고 수익에 의존하고 있어 디지털세가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블룸버그는 저커버그와 트럼프가 회동에서 유럽연합(EU)의 과도한 규제 문제, 디지털세 문제, 미국 내 AI 기술 투자 및 메타의 루이지애나주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건설 계획 등을 집중 논의한 것으로 전했다.

[CEO혜윰] 280조원 기부한 빌 게이츠 “전용기 타고, 좋은 집 살고 돈도 꽤 쓴다” 솔직 고백…“호기심이 인생 키워드”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 창립자이자 세계 최대 자선단체인 게이츠 재단 이사장인 빌 게이츠가 약 280조원(2000억 달러)에 달하는 자신의 재산을 2045년까지 사회에 기부하겠다는 철학과 함께 솔직한 일상 이야기를 전했다. 2025년 8월 27일 방송된 tvN ‘유퀴즈 온 더 블럭’ 출연에서 그는 “사실 꽤 많은 돈을 쓴다”며 “매우 좋은 집에 살고, 큰 정원도 있으며 전용기를 타고 여행을 다닌다”고 밝혔다. 죄책감을 느끼기도 하지만 이를 통해 아프리카를 비롯한 세계 여러 곳을 다닐 수 있게 된 점에 감사함을 표했다. 빌 게이츠는 재산의 99%, 즉 약 280조원을 기부하는 계획에 대해 “아이들에게 재산을 물려주지 않을 것”이라며 “자기 힘으로 경제적 성공을 이루길 바라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남은 재산은 사회에 돌려줘야 한다는 신념을 가졌고, 수년간 ‘아이들이 왜 죽을까’, ‘우리는 잘 대응하고 있는가’ 같은 질문을 던지며 긴 시간 고민해왔다”고 말했다. 그의 기부철학은 부모의 교육 영향과 ‘더 많이 받은 만큼 더 큰 책임이 따른다’는 어머니의 조언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일상에서는 햄버거와 감자튀김을 자주 즐기고, 주기적으로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