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의 엑스, 美 제재 테러단체 200곳에 ‘프리미엄 인증’ 해줬다…자금조달·선전악용 '논란'

테러조직도 돈만 내면 ‘파란 체크’…美·EU 제재 무색
X “신원확인 미흡·정책 위반” 플랫폼 책임론 불가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소셜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가 미국 정부의 제재를 받고 있는 테러단체 및 연계 인물 200여곳에 유료 인증(블루 체크마크) 서비스를 제공해 온 사실이 국제 비영리단체 조사로 드러났다.

 

이들 계정은 단순 인증을 넘어, X의 프리미엄 기능을 통해 선전·자금조달 등 다양한 활동에 SNS를 활용하고 있어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테러단체·제재 대상 200여 계정, X에 돈 내고 인증받아


뉴욕타임스와 BBC 등 주요 외신과 테크 트랜스퍼런시 프로젝트(TTP) 보고서에 따르면, X는 시리아·이라크 헤즈볼라 지도자, 예멘 후티 반군 고위 인사, 각종 민병대 등 미국 제재 대상과 연계된 계정에서 월 8달러의 구독료를 받아왔다. 이들은 파란 체크마크(블루 체크)를 구매해 계정 신뢰도를 높이고, 알고리즘 상 노출 우선권, 게시물 편집, 장시간 동영상 업로드 등 프리미엄 기능을 누렸다.

 

TTP는 “이들 계정 상당수가 X의 팁·구독 기능을 통해 직접적으로 자금조달을 시도하거나, 암호화폐 지갑으로 송금을 유도했다”며 “X가 테러단체의 선전·모금 플랫폼으로 악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책상 금지 그러나 신원확인 ‘구멍’…“프리미엄 기능으로 선전·모금에 적극 활용”


X의 공식 정책은 제재 대상 및 테러단체의 프리미엄 서비스 이용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신원 확인 절차가 허술해, 실제로는 ‘ID 인증’까지 받은 계정도 적지 않았다. 예를 들어 헤즈볼라 창립자 수비 투파일리, 후티 반군 고위 인사 등은 신분증과 셀카 사진을 제출해 ‘ID 인증됨’ 라벨까지 획득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TTP의 첫 문제제기 이후 X는 일부 계정의 인증을 박탈하거나 정지시켰으나, 한 달 만에 상당수 계정이 다시 인증을 구매해 활동을 재개했다.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여전히 200여 개 계정이 인증 상태를 유지 중이다.

 

TTP는 “이들 계정은 단순히 ‘파란 체크’의 신뢰성만 노리는 게 아니라, 긴 게시물·동영상 등 프리미엄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선전·모금 활동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후티 반군 고위 인사 5명은 최근 몇 달 새 프리미엄 서비스에 재가입했고, 이들의 팔로워는 82만명에 달한다.

 

머스크, “정부가 통제 미흡” 비판하면서…정작 X는 ‘무대책’ 일관, 플랫폼 책임론 불가피


머스크는 최근 미 재무부의 테러단체 결제 통제 미흡을 공개적으로 비판했으나, 정작 자신의 플랫폼이 제재 대상 계정의 결제와 활동을 방치해왔다는 점에서 거센 역풍을 맞고 있다. EU도 X의 유료 인증 시스템이 악용되고 있다며 강력한 시정조치를 요구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테러단체·제재 대상 계정이 글로벌 플랫폼에서 자금조달과 선전을 병행하는 것은 국가안보와 국제질서에 심각한 위협”이라며, “플랫폼의 실효적 신원확인과 정책 집행, 정부의 강력한 규제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젠슨 황 아들 스펜서 황, "휴머노이드 로봇 미래는 두 발 걷기 아닌 양손 조작”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대 AI 기업 엔비디아가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를 차세대 핵심 성장축으로 집중 육성하는 가운데, 젠슨 황 CEO의 장남 스펜서 황이 10월 1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휴머노이드 콘퍼런스 2025’ 산업 패널 토론에 참여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발전 방향과 국내외 기술 협력 전망을 제시했다. 스펜서 황은 2022년 엔비디아에 입사해 로보틱스 부문 프로젝트 리드를 맡고 있으며, 이번 방한에는 여동생 매디슨 황도 동행해 삼성전자 R&D캠퍼스와 수원 생산기술연구소를 방문했다. ZDNet Korea, CNBC, Markets and Markets, IFR에 따르면, 스펜서 황은 토론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발전의 핵심은 두 발 보행이 아닌 양손 조작 능력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산업 현장과 물류 창고에서 피킹 작업, 다단계 조립과 같은 손을 이용한 작업이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의 가장 현실적 출발점이라며 “현재는 범용성을 위해 데이터를 축적하는 중요한 단계”라고 밝혔다. 실제 물류·산업현장 작업 데이터가 로봇 학습과 성능 향상에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로봇이 반복적이고 위험하거나 무거운 작업을 대신하며 현장 근로자들로부터 긍

[빅테크칼럼] 구글, AI 챗봇 ‘제미나이 포 홈’ 탑재 스마트홈 공개…아마존 ‘알렉사+’와 경쟁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구글이 2025년 10월 1일(현지시간) 스마트홈 브랜드 네스트(Nest)의 신제품을 공개하며, 생성형 인공지능(AI) ‘제미나이 포 홈(Gemini for Home)’을 탑재한 스마트홈 기기 대중화에 나섰다. 이에 앞서 하루 전 공개된 아마존의 ‘알렉사+’ 탑재 신형 홈 기기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구글 2025 공식 블로그, 토큰포스트,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이번에 공개된 구글 신제품은 2K 해상도의 네스트 캠 인도어·아웃도어 카메라, 신형 네스트 도어벨, 360도 음향을 지원하는 소형 홈 스피커 등이다. 특히 ‘제미나이 포 홈’ AI 플랫폼은 기존의 구글 어시스턴트를 완전히 대체하며, 사용자가 대화하듯 자연스럽게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점이 핵심이다. 구글은 향후 지난 10년 간 판매된 네스트 디스플레이, 스피커, 카메라, 도어벨 등 모든 스마트홈 기기에도 ‘제미나이 포 홈’을 적용할 계획이다. ‘제미나이 포 홈’은 복잡한 대화 문맥을 이해하고 다단계 명령 수행이 가능하며, 사용자 반복 없이 한결 자연스러운 음성 대화를 통해 스마트홈 전반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스피커에 있는 재료를 알려주면 AI가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