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서울 시내버스 기사들의 연봉과 복지 수준이 공공기관은 물론 일부 대기업과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노조가 기본급 8.2% 인상과 통상임금 확대 적용을 요구하면서, 서울시는 연간 2800억원 이상의 추가 재정 부담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평균 연봉 6217만원, 초봉 5400만원…복지 혜택도 다양
서울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시내버스 운전기사의 평균 연봉은 6217만원, 초봉은 약 5400만원이다. 이는 신입 공기업 직원은 물론, 2급 공무원(연봉 약 7600만원)과도 비슷하거나 더 높은 수준이다. 실제로 신용보증기금(5220만원), 한국산업은행(5000만원), 인천국제공항공사(4894만원) 등 주요 공공기관의 초봉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복지 혜택도 눈에 띈다. 운전자 보험, 연 1회 건강검진, 소속 차량 무임 출퇴근, 근무복 지급, 자녀 학자금, 식사 무상 제공, 해외 연수, 각종 경조휴가 등 공기업 못지않은 복지 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특히 대학생·고등학생 자녀의 학자금 지원, 매년 400명 규모의 해외 연수 기회 등은 민간기업에서도 보기 힘든 수준이다.
노조 "임금 인상은 정당"…서울시 "재정 파탄 우려"
노조는 대법원 판결에 따라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해야 하고, 기본급도 8.2%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요구가 모두 반영될 경우, 평균 연봉은 7872만원으로 약 1600만원 인상된다. 이는 웬만한 대기업(예: LG이노텍 7900만원, CJ제일제당 8200만원)과 맞먹는 수준이다.
서울시는 이에 대해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산입만으로도 약 15.5%의 임금 인상 효과가 발생한다"며 "여기에 기본급 8.2% 인상까지 적용하면 실질 임금 인상분은 25.5%에 달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노조 요구를 모두 수용할 경우, 연간 2800억원의 추가 예산이 필요하다고 추산했다.
준공영제의 한계와 재정 부담
서울 시내버스는 민간회사가 운영하지만, 서울시가 적자를 보전하는 준공영제 방식이다. 지난해 시가 버스회사에 지원한 금액은 4800억원, 누적 부채는 9500억원에 달한다. 임금 인상 요구가 모두 수용될 경우, 시의 연간 지원금은 7800억원 안팎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는 서울 성동구 전체 예산(7217억원)과 맞먹는 규모다.
임금 인상 논란, 전국 지자체로 확산
서울시 노사 협상 결과는 전국적으로도 파장이 예상된다. 전국 지자체의 절반가량이 준공영제를 운영하고 있어, 서울시의 결정이 다른 지역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시민 교통복지와 재정 건전성 사이에서 합리적 해법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