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4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의 케타민·엑스터시 등 약물 남용, 경계 넘었다”…머스크 "가짜뉴스" 트럼프 “문제 없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스페이스X CEO가 케타민, 엑스터시, 환각버섯 등 다양한 약물을 일상적으로 복용했다는 의혹이 미국 주요 언론을 통해 집중 제기됐다.

 

뉴욕타임스(NYT)는 5월 30일(현지시각) 머스크가 지난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 캠페인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이전보다 훨씬 강도 높게” 약물을 사용했다고 보도했다.

 

“케타민, 엑스터시, 버섯…20정 약상자 들고 다녀”

 

NYT와 블룸버그, 테크크런치 등은 머스크가 케타민을 거의 매일 복용했으며, 엑스터시와 환각버섯, 각성제 애더럴까지 혼용했다고 전했다. 복수의 측근들은 “머스크가 약 20정의 알약이 든 약상자를 항상 휴대했고, 케타민 남용으로 방광에 악영향이 생길 정도였다”고 증언했다.


특히 트럼프 캠프 지원 기간 중에도 약물 사용이 이어졌으며, 일부 모임에서는 엑스터시와 환각버섯을 공개적으로 복용했다고 NYT는 보도했다.

 

외신들 “업무·가정 모두 혼돈…이상행동에 우려”

 

NYT는 머스크의 약물 남용이 업무와 가족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쳤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2024년 2월 보수정치행동회의(CPAC) 연설에서 머스크는 두서없는 발언과 말더듬, 선글라스 착용 등으로 “약물 영향 아니냐”는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케타민 등 약물 복용이 반복되면서 감정 기복, 충동적 언행, 나치식 경례 논란 등 이상행동이 잦아졌다는 증언도 이어졌다.

 

가족사도 복잡해졌다. 전 연인 그라임스(Claire Boucher)와의 양육권 분쟁, 또 다른 여성과의 비밀 출산 등 사생활도 도마 위에 올랐다.

 

머스크 “처방받아 소량 복용”…NYT “실제론 남용 수준”


머스크는 과거 언론 인터뷰에서 “우울증 치료를 위해 2주에 한 번, 소량의 케타민을 처방받아 복용한다”며 남용 의혹을 부인해왔다. 하지만 NYT는 “머스크가 실은 거의 매일 케타민을 복용했고, 엑스터시·환각버섯 등도 자주 사용했다”며 “의료 목적을 넘어선 남용”이라고 지적했다.

 

미 식품의약국(FDA)은 케타민의 만성 남용이 방광 장애, 현실감 소실, 중독 등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백악관·트럼프, “약물검사 요구 안 해”…머스크 “NYT, 가짜뉴스”

 

머스크는 5월 30일 트럼프 대통령과의 백악관 고별 기자회견에서 관련 질문에 “NYT가 러시아게이트로 퓰리처상을 받은 언론사 아니냐”며 “가짜뉴스”라고 일축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머스크의 약물 사용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며 “나는 그와 관련해 아무 문제도 느끼지 않는다”고 말했다.

 

스페이스X 등 머스크가 이끄는 기업들은 미국 정부와 대규모 계약을 맺고 있어 약물 사용 금지 정책을 적용받지만, NYT는 “머스크는 약물검사 일정을 미리 안내받았다”고 보도했다.

 

업계·전문가 “경영 리스크 우려”…머스크 “사진·공개행보 많아 숨길 일 없어”

 

머스크는 X(옛 트위터)에 “나는 매일 수백 장의 사진을 찍히고, 수많은 공식 일정을 소화한다”며 “NYT의 주장은 터무니없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테슬라·스페이스X 등 머스크가 이끄는 기업의 이사회와 투자자들은 “경영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며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머스크와 트럼프, 그리고 백악관 모두 의혹을 부인하고 있지만, 미국 사회와 산업계의 우려는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내궁내정] 과학이 만난 '인간의 몸' 미스터리…놀라운 인체의 자기복구적 엔지니어링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인간의 몸은 그 자체가 하나의 경이로운 우주다. 국내외 최신 논문과 매체, 그리고 SNS와 대중문화의 시각을 아우른 객관적 데이터를 통해, 신체의 다양한 부분이 어떻게 기능하고 무너질 위기 속에서도 스스로를 지키는지, 철학적·문화적 맥락에서 탐구한다. '면도칼도 녹이는 위산에 녹지 않는 위'의 비밀: 3~4일마다 점막을 바꾸는 셀프 방어시스템 위산은 면도칼도 녹일 정도로 강하다. 하지만 스스로를 녹이지 않으려고 위벽은 스스로 자가복구 시스템을 가동해 3~4일마다 전체 상피세포를 교체하며, 강력한 위산에 녹아내리지 않도록 한다. 위 내벽은 1분마다 50만개의 세포가 제거되고 새로운 세포로 교체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 현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