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1 (화)

  • 맑음동두천 7.5℃
  • 맑음강릉 7.6℃
  • 맑음서울 10.1℃
  • 맑음대전 9.2℃
  • 구름많음대구 9.7℃
  • 구름많음울산 10.8℃
  • 맑음광주 11.0℃
  • 맑음부산 12.1℃
  • 맑음고창 7.9℃
  • 맑음제주 13.1℃
  • 구름조금강화 8.2℃
  • 구름조금보은 7.1℃
  • 맑음금산 6.6℃
  • 맑음강진군 9.2℃
  • 구름많음경주시 7.4℃
  • 맑음거제 8.5℃
기상청 제공

빅테크

트럼프·머스크 밀월 '삐걱'?…트럼프, 머스크 폭주에 첫 제동 "손도끼보다 메스"

트럼프, 폭주 머스크에 `월권 말라` 첫 제동
"도끼 아닌 메스 사용"
머스크 '비효율 제거' 정책에 반발 확산…'무차별 해고' 여론 악화
백악관, 해고 지침 완화…연방 법원도 제동
공화당 내부도 반발…"해고 방식 신중해야"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머스크의 전횡과 폭주에 제동을 걸었다. 머스크의 무차별 정책에 대한 반발 확산과 '대량해고'로 인한 여론 악화를 의식한 제스처로 분석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주도하는 정부효율부(DOGE)의 연방정부 인력 감축 작업과 관련, "우리는 '손도끼'(hatchet)보다는 '메스'(scalpel)"라며 구조조정 대상에 신중을 기할 것을 주문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DOGE 수장으로 공무원 대량해고에 열을 올려온 머스크에게 처음으로 제동을 건 것은 머스크의 일처리가 심각한 악영향을 낳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부처 장관들과 머스크를 백악관으로 불러 각료 회의를 연 후, 자신이 만든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부처별 인력 감축은 각 부처가 결정할 문제라는 점을 확실히 했다.

 

머스크가 주도하는 연방 정부 감원 프로젝트는 기존 관료 체제의 비효율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그 과정에서 핵심 인력까지 무차별적으로 해고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머스크의 감원 조치는 이미 2만명 이상의 연방 공무원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그중에는 재향군인과 암 연구자 등 핵심 인력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부 규모를 적정 수준으로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가장 생산적이고 뛰어난 사람들은 반드시 남겨야 한다”며 “이 문제를 해결할 때까지 2주마다 회의를 계속 열 것”이라고 강조했다.

 

무차별적인 해고 대신 문제가 있는 부분만 정교하게 도려내는 외과 수술식의 정밀한 '옥석 가리기'를 주문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머스크를 불러 놓고 장관들 앞에서 경고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좋은 사람들이 잘리는 대규모 감원은 보고 싶지 않다"면서도 "자를 수 있으면 (감원을 실시할 수 있으면) 더 좋다. 만약 (부처별로) 자르지 않는다면 일론이 자르는 일을 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지난주 연방법원은 미 인사관리처(OPM)가 특정 부처의 직원들을 임의로 해고하는 것은 권한을 넘어선 조치라고 판결했다. 이에 따라 국립과학재단(NSF)과 국가핵안보국(NNSA) 등 주요 기관들은 해고된 직원들을 다시 복직시키기 시작했다.

 

대규모 공무원 해직에 나섰던 연방기관 가운데 일부는 이를 철회하거나 복직 제안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필수인력 해고로 업무에 지장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AP통신에 따르면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잘린 180명은 '이 이메일을 즉시 읽어주시오'라는 제목의 이메일을 통해 복직 제안을 받았다.

 

미국 CBS 뉴스가 인용한 실직자 재취업 주선 업체 '챌린저, 그레이 앤드 크리스마스'의 집계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의 정리해고 건수는 17만2017건으로, 전월 대비 245% 증가했다. 이 같은 수치는 2020년 7월 26만2649건 이래 월간 최다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연방정부 기관들의 정리해고 건수는 6만2242건으로, 작년 동기 대비 4만1311% 늘었다.


이와 별도로 연방정부 지출이 끊기면서 민간부문 비영리기관들에서 900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테슬라 전기차 핵심 임원 대거 퇴사, 왜?…사이버트럭·모델Y 판매 부진이어 경영까지 '빨간불'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전기차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를 점해온 테슬라에서 주요 전기차 사업 핵심 임원들이 잇달아 퇴사하고 있어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사이버트럭과 모델Y, 모델3 등 주력 차량을 총괄하며 테슬라의 미래 전략을 이끌던 간판 임원들이 한꺼번에 회사를 떠나면서 조직 내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다. 이는 판매 부진과 맞물려 경영 불확실성 확대로 해석된다. 로이터, 블룸버그,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사이버트럭 개발과 양산을 책임졌던 시단트 아와스티는 8년간 몸담은 테슬라를 떠난다고 2025년 11월 9일 본인의 링크드인 계정을 통해 밝혔다. 아와스티는 2017년 인턴으로 입사해 사이버트럭 프로젝트를 주도했으며, 지난 7월부터는 주력 세단 모델3 담당으로 이동해 있었다. 같은 날 모델Y 담당 임원 이매뉴얼 라마키아도 8년간 근무를 마치고 퇴사 소식을 전했다. 두 임원 모두 구체적인 퇴사 이유나 향후 행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임원 퇴사는 2024년부터 이어진 경영진 및 기술 인력들의 대거 이탈 현상의 연장선상에 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부사장 데이비드 라우가 AI 기업 오픈AI로 이직했으며, 로봇 사업부 옵티머스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