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노보노디스크·LVMH 제친 '유럽서 가장 비싼' 기업은?…AI 열풍에 獨경기부양책 효과로 'SAP' 500조원 돌파

노보노디스크·LVMH 암울한 전망과 대비
AI 열풍 이어 독일 증시 활황…기업용 SW에 AI 접목해 수익 '껑충'
獨경기부양책 따른 투심 개선도 주가상승에 기여
SAP 시가총액 500조원 넘겨…‘사상 최고’ 독일 증시 견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유럽에서 가장 비싼 기업은 어디일까? 노보노디스크와 LVMH을 예상했겠지만 이 기업들을 제쳤다.

 

바로 독일의 기업 소프트웨어 업체 SAP가 유럽에서 가장 가치있는 기업으로 올라섰다. 인공지능(AI) 열풍과 독일 주식시장 상승세가 맞물린 결과다.

 

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CNBC 등에 따르면 SAP의 시가총액은 전날(24일) 종가 기준으로 3137억 유로(약 3394억7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덴마크 제약회사 노보노디스크의 시총 2조3300억크로네(약 3377억9000만달러)를 넘어섰다.

 

24일 기준 노보노디스크의 주가는 1년 전보다 41.7% 하락한 반면, SAP의 주가는 41.3% 상승했다.

 

2023년 중반까지만 해도 루이비통모에헤네시(LVMH)가 유럽 시총 1위였지만, 2023년 9월 비만 치료제를 개발한 노보노디스크에게 밀렸다. LVMH의 시총은 24일 기준 2980억유로(약 3220억달러)로 SAP, 노보노디스크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게다가 SAP의 가파른 주가 상승은 독일 주식 시장 전체를 끌어올려, 독일 대표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데 기여했다. 독일 정부가 추진 중인 1조유로 규모 경기부양책에 대한 기대로 독일 DAX지수는 올해 16% 가까이 올랐다.

 

CNBC는 "SAP의 상승세는 AI 열풍과 독일 경기부양책에 따른 증시 활황에 힘입은 결과"라고 분석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이달 초 대형 소프트웨어 주식 부문에서 올해 1순위 투자 대상으로 SAP를 거듭 지목했다. AI를 활용한 업무용 클라우드를 찾기 위한 기업들의 ‘이주’가 향후 몇 년 동안 계속될 것이라는게 이유다.

 

지난해 초 AI 사업 기회에 초점을 맞춰 대규모 구조조정에 착수한 것도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SAP는 구조조정을 통해 지난해 클라우드 매출이 전년대비 25% 증가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크리스찬 클라인 최고경영자(CEO)는 CNBC에 “SAP 역사상 최고의 한 해”라고 자평했다.

 

CNBC는 “노보노디스크는 최근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미래 제품 라인업에 대해서도 회의론이 번지고 있다"면서 "LVMH 역시 경제 불확실성 등으로 글로벌 수요가 불안해지면서 주가가 하락했다”고 지적했다.

 

비만 치료제 ‘위고비’ 등의 성공으로 최근까지 유럽 기업 중 시총 1위를 유지해온 노보 노디스크는 공급망 문제와 시장 조정으로 상승세가 꺾였다. 특히 지난해 12월 하루 만에 주가가 20%가량 급락한 뒤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최근 주가는 급락 직전 대비 30% 낮은 수준이다.

 

노보 노디스크는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벨기에 등지에 생산시설을 확대하고 있다. 다만, 미국 내 공급 병목과 경쟁 심화는 단기 성장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FT는 지적했다.

 

한편 SAP는 독일에 본사를 둔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이다. 전사적 자원관리(ERP) 시스템 등을 개발해 전 세계 10만개 이상 기업에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업체 ASML을 제치고 유럽 최대 빅테크 기업 자리에 올랐다.

 

증권가는 SAP의 올해 클라우드 매출이 29% 성장하고,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13% 증가한 385억유로(약 62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SAP의 주가 상승은 독일 대표 지수인 DAX 지수 상승을 견인하며, 독일 증시가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는 데 기여했다. SAP는 DAX 지수에서 독일의 주력 업종인 자동차(폭스바겐, 벤츠 등)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SAP의 주가 상승 때문에 이 비중은 단일 종목 비중 상한선인 15%를 자주 넘겨, 독일증권거래소는 상한선이 없는 새로운 지수를 도입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중국, 세계 최초 고속 수직 이착륙(VTOL) 드론 개발 "모든 군함이 항공모함 가능"…해군력의 판도 흔들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중국이 세계 최초로 제트 엔진을 탑재한 고속 수직 이착륙(VTOL) 드론을 개발하며 해군 항공 기술에서 또 한 번의 진일보를 이뤘다. 이 획기적 기술은 기존의 활주로 의존에서 벗어나 모든 군함을 소형 항공모함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 군사 전문가들로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SCMP, 신화통신, The War Zone의 보도에 따르면, 베이항대학교의 왕야오쿤과 추유팅 부교수 연구팀이 10년에 걸친 독자적 연구로 완성한 해당 드론은 거친 해상 상황에서도 일반 군함 갑판에서 발사, 고속 장거리 순항 비행으로 전환될 수 있어 국내외에서 ‘플랫폼 혁신’을 이끌었단 평가다. 기술 혁신과 설계 역량 이 VTOL 플랫폼은 적층 제조(3D 프린팅) 기술의 적극적 도입으로, 기존 금속 가공 방식으로는 구현할 수 없는 복합 구조·경량 설계가 가능해졌다. 실제로 드론 내부에는 무게 분배와 구조적 안정성, 공기역학적 효율을 극대화한 디자인이 적용됐으며, 이는 극한의 수직 이착륙 및 고속 전환 스트레스에도 뛰어난 안전성을 확보해준다. 또한 디지털 통합 프로세스와 사이버-물리 시스템의 융합 덕분에 추력 벡터링 등 비행모드 제어가 실시간으로

[빅테크칼럼] 땀이 나면 자켓 두께가 자동 조절된다고?…체온조절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의류 新기술 나왔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몸에서 나는 땀에 반응해 체온 조절을 위해 자동으로 두께를 조절하는 겨울 재킷 기술이 개발됐다. TechXplore, Yahoo News, ITC 등의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난징항공우주대학교 연구진(책임자 리슈창)은 땀에 반응해 자동으로 두께가 변하는 혁신적인 겨울 재킷을 개발하며, 기존 체온 관리 한계를 극복하는 해법을 제시했다. 이 기술은 최근 국제 학술지 ‘Science Advances’에 발표됐다. 핵심 기술과 수치적 성과 이 재킷의 충전재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사용한다. 이 멤브레인은 저온 건조 상태에서는 13밀리미터 두께로 최대 단열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땀을 흘려 습도가 상승하면 두께가 2밀리미터까지 극적으로 얇아져 열이 효과적으로 빠져나가 과열을 방지한다. 실제 실험에 따르면 이 멤브레인 기술을 활용한 의류는 기존 겨울 의류 대비 체온조절 능력을 82.8%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20개 주요 도시에서 평균 7.5시간 동안 ‘열 스트레스 없는 구간’을 연장해주는 효과가 검증됐다. 이는 야외에서 장시간 근무하는 환경미화원, 택배원, 경찰관 등에게 매우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빌 게이츠, 3년 만에 방한…‘275조원 백신 프로젝트’로 K-바이오와 글로벌 공익 동행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 창업자이자 세계적 자선가인 빌 게이츠가 오는 8월 21일, 3년 만에 한국을 다시 찾는다. 이번 방한의 핵심 목적은 빌앤드멀린다게이츠재단을 통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과의 글로벌 백신 협력 확대에 있다. 게이츠 재단은 지난 20여년간 저소득 국가 백신 공급 및 의료 시스템 강화에 집중해 온 인류애적 모델이다. 게이츠 이사장은 방한 기간 중 국회, 정부 및 주요 바이오기업 등과 세부 일정을 조율하며, 한국의 백신·의료 플랫폼을 활용한 개발도상국 지원 방안을 논의할 전망이다. 대표적 협력 후보로는 SK바이오사이언스, LG화학, SD바이오센서, 유바이오로직스 등이 꼽히며, 보건복지부와 국립보건연구원도 글로벌헬스 부문 관계자와 협력을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게이츠 재단은 2000년 GAVI(세계백신면역연합) 설립을 주도, 2023년 기준으로 1.1억명의 아동에게 백신을 보급해 세계 5세 미만 사망률을 23년 만에 절반 이하로 줄였다. 게이츠가 내건 ‘마이크로니들 백신 전달·자가투여형 백신 개발’은 냉장 유통망과 전문인력 없이도 빈곤국에 백신을 대량 보급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K-바이오의 기술력과 글로벌 인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