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중국과 전쟁계획' 탑시크릿까지 머스크에게 보고 '유야무야'…美 국방부와 트럼프 '중국 언급 없다' 일축

NYT "美 국방부, 中 전쟁 대응 시나리오 브리핑 계획"
머스크, 방산업체 소유·중국 사업 등 이해관계 얽혀
머스크, 군사 기밀까지 관여하나…논란 일파만파
"전쟁 계획, 일급 기밀…해외 유출시 실패 가능성"
트럼프 "중국 언급조차 없다" 일축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실세이자 정부효율부 수장을 맡고 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중국과의 전쟁 대비 계획을 보고 받기로 했다가 미 언론들의 보도가 나가자 국방부 관계자들이 부인하고 나섰다.


2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미 국방부가 21일 머스크 CEO에게 중국과의 전쟁 발발 가능성에 대한 미군의 계획에 브리핑할 계획이다"고 전했다. 다른 소식통도 이번 브리핑이 중국을 중점적으로 다룰 것이라고 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또 다른 관계자도 머스크 CEO가 21일 국방부를 방문할 예정이라고 확인했지만,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선 함구했다.

 

백악관 대변인은 머스크 CEO의 방문의 목적과 경위, 트럼프 대통령이 이를 알고 있었는지 여부, 이번 방문이 이해 상충 문제를 제기하는지 여부에 대한 논평을 요청하는 이메일에 응답하지 않았다고 NYT는 전했다. 또 백악관도 트럼프 대통령이 머스크에 대한 이해 상충 면제 서약서에 서명했는지 여부를 밝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과 국방부 관리들은 NYT 보도가 나가자 이번 회의가 중국과 관련한 군사 계획을 다루지 않는다고 부인했다.

 

숀 파넬 미 국방부 대변인은 "국방부는 21일 머스크를 맞이하게 돼 기쁘다"며 "그는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의 초대를 받아 방문할 뿐"이라고 해명했다.

 

군사용어로 'O-플랜' 또는 '작전 계획'으로 불리는 미 국방부 전쟁 계획은 미군이 가장 엄격하게 관리하는 기밀 중 하나다. 중국과의 전쟁 계획에 관한 극비 브리핑 내용은 미국의 대처 방안이 담긴 약 20~30장의 슬라이드로 정리돼 있다.

 

중국으로부터의 위협에 대한 징후 및 경고, 중국의 공격 목표물, 공격 기간 등 다양한 계획을 담고 있으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자료로 제시된다.

 

현재로선 당초 계획했던 브리핑이 원래 계획대로 진행될지는 불분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그가 미국의 군사기밀 정보에 접근 권한을 가질 경우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맡고 있는 머스크의 정부 내 역할이 대폭 확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미 머스크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기밀 접근 권한을 부여받은 상태다.

 

하지만 머스크가 이끄는 테슬라와 스페이스X가 주요 정부 계약업체라는 점에서 국무부의 브리핑은 심각한 이해충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스페이스X는 국방부의 주요 공급업체인 데다, 테슬라는 중국에서 사업 이해 관계도 얽혀 있다.

 

피트 헤그세스 장관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머스크의 국방부 방문은 혁신과 효율성 증진을 위한 비공식 회의”라면서 중국과의 작전계획과는 상관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밤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중국은 언급조차 되지 않을 것이며, 논의 대상이 아니다”면서 “가짜뉴스가 다시 시작되고 있다. 이 기사는 완전히 사실이 아니다”고 글을 올렸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오픈AI 샘 올트먼, '머지랩스'로 머스크 '뉴럴링크'에 도전장…AI 활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경쟁 '후끈'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일론 머스크의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와 정면 경쟁을 벌일 새로운 벤처기업 '머지 랩스(Merge Labs)'를 공동 설립하고, 총 2억5000만 달러(약 345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나선다. 파이낸셜타임스, 테크크런치, 쿼츠등의 보도에 따르면, 머지 랩스는 현재 약 8억5000만 달러(약 1조1700억원) 가치로 평가받고 있으며, 대다수 투자금은 오픈AI의 벤처팀이 부담할 예정이다. 올트먼은 일상 경영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고 공동 설립자이자 주요 후원자로서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머지 랩스는 첨단 AI 기술을 활용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구축, 인간의 뇌와 기계를 더욱 원활하고 고도화된 방식으로 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뉴럴링크가 2016년 창립된 후 첨단 뇌 이식 칩을 개발해 주로 직접 뇌에 이식하는 방식을 추진하는 것과 달리, 머지 랩스는 덜 침습적인 방법을 모색하며 AI를 적극 결합해 뇌 신호 해독과 컴퓨터 상호작용을 혁신적으로 확장하는 데 집중한다. 뉴럴링크는 최근 60억 달러 이상 투자 유치와 함께 이미 인간 임상시험을 진행하며, 중증 마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