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9 (일)

  • 맑음동두천 7.9℃
  • 맑음강릉 10.8℃
  • 맑음서울 12.3℃
  • 박무대전 11.0℃
  • 박무대구 12.3℃
  • 흐림울산 11.6℃
  • 흐림광주 12.8℃
  • 부산 12.8℃
  • 흐림고창 12.6℃
  • 제주 16.4℃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8.9℃
  • 흐림금산 11.7℃
  • 흐림강진군 13.6℃
  • 흐림경주시 11.9℃
  • 흐림거제 13.0℃
기상청 제공

빅테크

정장 입은 '머스크' 젤렌스키 학습효과?…세 번째로 소개된 '멜라니아', 왜?

머스크, 젤렌스키 논란 의식한 듯
백악관 대변인 “트럼프도 좋아했다”
세 번째로 소개된 멜라니아…영부인이 세 번째 소개된 건 처음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 미 행정부의 정부효율부(DOGE) 수장 겸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정장 차림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집권 2기 첫 상하원 합동 연설에 4일(현지시간) 티셔츠가 아닌 정장을 착용한 채 등장하자 화제가 되고 있다. 2월 28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백악관에 정장을 입지 않은 채 나타나자 트럼프 대통령, J D 밴스 부통령 등은 불쾌감을 표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과 악수하며 "오늘 잘 차려입었네"라고 비꼬듯 말한 바 있다. 논란 중에  ‘머스크 또한 백악관에 정장을 입지 않고 나타난다’는 비판이 제기됐었다.

 

젤렌스키 학습효과(?)때문인지 그는 이번엔 말쑥하게 정장을 입고 나타난 것. 최근의 논란을 의식한 행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정장 착용에 대한 규정은 없다”면서도 “머스크가 정장을 입었고, 대통령께서 매우 좋아하셨던 것 같다. 머스크는 멋져 보였다”고 답했다.

 

평소 머스크는 정장 대신 티셔츠에 모자 차림으로 나타나곤 했다. 그는 지난주 트럼프 2기 행정부 첫 각료회의에서도 유일하게 셔츠에 재킷을 두른 채 모자를 쓰고 참석했다.

 

그러나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의회 연설에서는 파란 넥타이를 맨 정잠 차림으로 등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설 중 "납세자들의 돈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새로운 정부효율부를 설립했다"고 발표하며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조직"이라고 언급했다. 머스크에게 "굉장히 열심히 일해줘서 고맙다. 모두가 감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는 자리에서 일어나 관중을 향해 인사했다.

 

그러나 머스크의 선출되지 않은 권력자로서의 월권 논란과 그에 대한 반감은 점점 커지고 있다. 최근 뉴욕타임스(NYT) 등은 미국 전역에서 테슬라 충전기에 불을 붙이거나 테슬라 매장을 공격하는 사건들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한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집권 2기 첫 의회 연설에 트럼프 일가가 총출동했다. 부인인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는 벨트가 달린 회색 정장 재킷과 치마를 입고 등장했다.

 

JD 밴스 부통령과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에 이어 세 번째로 소개되자 공화당 의원들이 환호하며 박수를 보냈다. 의회 연설에서 영부인이 세 번째로 소개된 것은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인 트럼프 주니어와 차남 에릭, 장녀 이방카와 사위 재러드 쿠슈너, 차녀 티퍼니도 청중석에 모습을 드러냈다. 다만 막내아들 배런은 불참했다. 뉴욕대 1학년인 그는 수업이 있어서 참석하지 못했다고 매체들은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CEO혜윰] DNA 혁명을 이끈 제임스 왓슨, 97세로 별세…과학과 논란을 함께한 위대한 생물학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953년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공동 발견하며 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제임스 D. 왓슨(1928~2025)이 97세의 나이로 뉴욕 이스트 노스포트의 호스피스에서 별세했다. 감염 치료 중이던 병원에서 호스피스로 옮겨진 후 지난 11월 6일 사망했으며, 아들 던컨 왓슨이 이를 공식 확인했다.​ 뉴욕타임즈, AP뉴스, BBC,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은 25세의 젊은 나이에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규명, 유전정보의 저장과 전달 원리를 밝혀내 ‘생명의 청사진’을 해독했다. 이 업적으로 196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으며, 모리스 윌킨스도 공동 수상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이들의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X선 회절 이미지 '사진 51'은 로절린드 프랭클린과 레이먼드 고슬링이 촬영했으나, 프랭클린의 동의 없이 윌킨스가 왓슨에게 제공하는 등 연구 윤리 논란도 있었다. 프랭클린은 노벨 수상 이전인 1958년에 난소암으로 요절해 사후에는 노벨상이 수여되지 않았다.​ 왓슨의 발견은 현대 분자생물학과 생명공학, 유전자 가위(CRISPR), 법의학 DNA 분석, 인간 게놈 프로젝트 등 광범위한 분야에 혁신을 가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