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Culture·Life

[The Numbers] 그까짓 한 표?…세계를 뒤흔든 '1표의 기적'·거짓말 같은 극적 선거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투표는 총알보다 강하다."

“1표의 힘, 역사를 바꾸다.”
‘내 한 표가 무슨 의미가 있겠어?’

“투표는 권리이자 책임이다. 한 표의 힘을 과소평가하지 마라. 그 한 표가 세상을 바꾼다.”
 

선거에서 ‘한 표’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다. 때로는 국가의 운명, 지역의 미래, 한 사람의 인생을 바꾸는 결정적 힘이 된다. 실제로 전 세계 곳곳에서 1표 차이로 당락이 갈린 극적인 사례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내 한 표가 무슨 의미가 있겠어?”라는 회의에 통쾌한 반론을 제시한다.

 

전 세계적으로 1표 차이로 당락이 결정된 실제 선거 사례는 여러 건이 있다. 대표적인 사례들을 알아봤다.

 

1. 1868년 美 앤드루 존슨 탄핵, 1표 차로 대통령직 지키다


1868년, 미국 남북전쟁 직후의 혼란 속에서 앤드루 존슨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이 상원에 상정됐다. 탄핵안이 가결되려면 3분의 2(36표)가 필요했으나, 35 대 19, 단 1표가 부족해 부결됐다. 이 1표로 인해 미국 대통령제의 운명이 바뀌었고, 미국 정치사에 길이 남는 순간이 됐다.

 

2. 1875년 프랑스, 1표 차로 공화국이 되다


왕정과 공화국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던 프랑스. 결국 1875년 1월 30일, 프랑스 국회는 ‘공화제’ 헌법조항을 353 대 352, 1표 차이로 통과시켰다. 이 표결로 프랑스는 왕정에서 공화국으로 체제를 전환,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공화국의 길을 걷게 됐다.

 

3. 1839년 미국 매사추세츠, 1표차로 주지사 바뀌다…"가장 아슬아슬한 승리"


19세기 미국에서도 1표 차이로 주지사가 결정된 사례가 있다. 1839년 매사추세츠 주지사 선거에서 민주당 마커스 몰턴(Marcus Morton)이 51,034표로, 51,033표를 얻은 상대를 단 1표 차로 이겼다. 이로 인해 ‘Landslide(압승)’라는 별명을 얻었지만, 실제로는 역사상 가장 아슬아슬한 승리였다. 이 극적인 승리는 미국 선거사에 길이 남는 박빙 승부로 기록됐다.

 

4. 1845년 1표 차로 텍사스, 미국으로 편입


1845년 미국 상원에서 텍사스의 미국 편입안이 1표 차이로 통과됐다. 이로써 텍사스는 미국의 28번째 주가 되었고, 이후 미국의 서부 팽창과 남북전쟁의 서막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미 하원에서 텍사스 합병 결의안이 120 대 98로, 상원에서는 27 대 25, 즉 2표 차로 통과됐으나, 최종적으로 상원에서 텍사스의 주 승인은 1표 차이로 통과됐다.

 

5. 1876년 루더포드 해이스, 1표 차로 미국 대통령 취임


1876년 미국 대선에서 루더포드 해이스(Rutherford Hayes)와 새뮤얼 틸든(Samuel Tilden)이 초접전을 벌였다. 최종적으로 선거인단 표 185 대 184, 단 1표 차이로 해이스가 대통령에 당선됐다. 이 선거는 미국 역사상 가장 논란 많고 극적인 대선으로 남았다.

 

또 1800년 토머스 제퍼슨은 하원 표결에서 단 1표 차이로 대통령에 선출됐다. 1824년 앤드루 잭슨은 국민투표 1위였지만, 하원에서 1표 차이로 존 퀸시 애덤스가 대통령이 됐다.

 

 

6. 2025년 캐나다 퀘벡 테르보느 단 1표, 국회 구도가 바뀌다


2025년 5월, 캐나다 연방총선 퀘벡 테르보느(Quebec Terrebonne) 선거구에서 자유당 신인 타티아나 오귀스트(Tatiana Auguste, 23세)가 블록 케벡쿠아 현역 의원 나탈리 생클레르-데스가녜(Nathalie Sinclair-Desgagné)를 단 1표 차이(23,352 vs 23,351)로 꺾고 당선됐다.


초기 개표에서는 오귀스트가 근소하게 앞섰으나, 표 검증 과정에서 블록 케벡쿠아가 44표 차로 역전, 다시 사법적 재검표 끝에 자유당이 1표 차 승리를 확정했다. 이 한 표는 자유당을 과반(170석, 과반 172석)에 단 2석 차로 가까워지게 만들며, 캐나다 정국 전체에 영향을 미쳤다. 오귀스트는 아이티 출신 이민 1.5세대, 23세의 최연소 국회의원이라는 점에서도 화제를 모았다.

 

7. 2018년 미국 켄터키주 하원의원 선거 : 1표로 현역 꺾은 신인


미국 켄터키주 하원 13선거구에서 민주당의 짐 글렌(Jim Glenn)이 공화당 현역 DJ 존슨(DJ Johnson)을 6,319대 6,318, 단 1표 차로 이겼다. 재검표와 법적 다툼이 이어졌으나, 결국 1표 차 승리가 최종 확정됐다. 이 사건은 “한 표 차이로 의회의 권력 지형이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을 미국 사회에 각인시켰다.


8. 2017년 미국 버지니아주 하원의원 선거…결국 동점, 제비뽑기로 당락


버지니아주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셸리 시몬즈(Shelly Simonds)가 공화당 현역 데이비드 예이츠(David Yancey)와 동점을 기록, 재검표에서 1표 차로 승리했다가 법원 판결로 무효표가 인정돼 다시 동점이 됐다. 최종적으로 제비뽑기(복권 추첨)로 당락이 결정됐다.

 

9. 2008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스톡턴 교육위원 선거


스톡턴 통합교육구 3구역 교육위원 선거에서 호세 모랄레스(Jose Morales)가 2,302표, 앤서니 실바(Anthony Silva)가 2,301표를 얻어 1표 차이로 당선됐다. 이처럼 수천 명이 투표하는 선거에서도 단 한 표가 승부를 가른다는 사실이 극적으로 입증됐다.

 

10. 2002년 미국 코네티컷주 하원의원 선거


코네티컷주 하원 선거에서 공화당의 앤 루웨트(Anne Ruwet)가 민주당 존 코발레스키(John S. Kovaleski)를 1표 차로 이겼다. 이후 재검표와 소송이 이어졌으나, 최종적으로 1표 차 승리가 확정됐다.

 

11. 2016년 미국 버몬트주 상원의원 민주당 예비선거


버몬트주 민주당 상원의원 예비선거에서 프랜시스 K. 브룩스(Francis K. Brooks)가 애슐리 힐(Ashley Hill)을 1표 차로 누르고 본선 진출권을 따냈다.

 

12. 2008년 미국 버지니아주 Radford 검사장 보궐선거


Radford 검사장 보궐선거에서도 1표 차이로 당락이 결정됐다. 이처럼 미국 지방선거에서도 한 표의 힘이 극적으로 드러나는 사례가 적지 않다.

 

 

13. 1910년 영국 엑서터 하원의원 선거


영국에서도 1910년 엑서터(Exeter) 하원의원 선거에서 보수당 헨리 듀크(Henry Duke)가 자유당 해롤드 세인트 모어(Harold St. Maur)를 1표 차로 꺾었다.

 

14. 캐나다 퀘벡 주의회 1994·2003년…동점, 재투표로 승부


1994년 퀘벡 주의회 생장(Saint-Jean) 선거구, 2003년 샹플랭(Champlain) 선거구에서 각각 동점이 나와 재투표가 실시됐다. 두 번 모두 500표 내외의 근소한 차이로 승부가 갈렸다.

 

15. 2008년 인도 라자스탄 나트드와라


인도 라자스탄 주 나트드와라(Nathdwara) 지역구에서 BJP의 칼리얀 싱 초한(Kalyan Singh Chouhan)이 인도국민회의(CP Joshi)를 1표 차로 이겼다. 이 선거는 인도 정치사에서 가장 극적인 박빙 승부 중 하나로 꼽힌다.

 

16. 2004년 인도 카르나타카 주의회 산테마라할리


인도 카르나타카 주 산테마라할리(Santhemarahalli) 지역구에서 인도국민회의(R. Dhruvanarayan)와 자나타달(JD-S)의 AR 크리슈나무르티가 맞붙어, 40,752대 40,751, 1표 차이로 승부가 갈렸다. 수만 표가 오가는 대규모 선거에서 1표 차이는 극히 이례적이다.

 

17. 1961년 잔지바르 총선 : 1표로 정권이 바뀌다


아프리카 잔지바르 1961년 총선에서 아프로-시라지당(Afro-Shirazi Party)이 차케차케(Chake-Chake) 선거구에서 1,538대 1,537, 1표 차로 승리하며 전체 의회 다수당이 됐다. 이 한 표가 국가의 권력 지형을 뒤바꾼 셈이다.


이외에도 미국 1898~1992년 주·연방선거 통계에 따르면, 1표 차이 또는 동점으로 결정된 사례가 수십 건에 달한다. 미국, 캐나다, 영국등은 물론이고 오스트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각국에서도 1표~수표 차이로 당락이 결정된 기록이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세계 각국에서 실제로 “1표 차이”로 당락이 결정된 사례는 다수 존재한다. 이 극적인 순간들은 한 표 한 표의 소중함, 그리고 민주주의 참여의 본질을 가장 강렬하게 증명한다. 내 한 표가 역사를 바꿀 수 있다는 사실, 선거참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그 자체가 선거의 진짜 드라마다.

배너
배너
배너



[핫픽] "전쟁 난 줄 알았다" 전국 소방차 71대 집결…강릉 가뭄 사태에 국가소방동원령 발령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강원 강릉 지역이 극심한 가뭄으로 식수 공급에 비상이 걸렸다. 2025년 8월 31일, 강릉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4.9%까지 떨어지면서 식수 공급의 마지노선인 15%를 붕괴했다. 이에 따라 강릉시는 강력한 제한급수를 시행하며 계량기 75%를 잠그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농업용수 공급도 전면 중단된 상태다. 이와 함께 정부는 강릉 지역에 대해 자연재난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재난사태를 선포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극심한 가뭄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재난 사태 선포와 함께 국가소방동원령 발령을 지시했다. 행정안전부는 8월 30일 오후 7시부터 강릉 일원에 재난사태를 선포하고 국가 소방동원령이 내려졌다. 31일 오전 8시, 강릉 연곡면 강북공설운동장에는 서울 12대, 인천 4대, 경기 18대(경기, 경기북부 합산), 충북 3대, 충남 5대, 경북 7대, 중앙119구조본부 1대, 그리고 경북에서 온 급배수지원차 1대와 강원 지역 소방차 20대를 포함 총 71대의 소방차량이 집결했다. 이들은 상수도 소화전과 취수장 등에서 물을 담아 홍제정수장에 공급하는 임무를 수행 중이며, 이날 하루에만 2500톤의 물을 급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핫픽] 이것은 돌인가? 지갑인가?…히로토시의 ‘돌지갑’이 던지는 트롱프뢰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이 이미지는 일본 조각가 히로토시(Hirotoshi)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돌의 외형에 지퍼를 달아 실제 동전지갑처럼 보이게 만든 '착시 조각'이다. 돌과 지갑의 경계가 모호해, 보는 이에게 일상적 사물의 본질을 유머러스하게 뒤집는 메시지를 준다. 일본 조각가 히로토시는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사물에 독특한 상상력을 불어넣는다. 그의 작품 ‘돌지갑’은 겉보기엔 무거운 바위처럼 보이지만, 지퍼를 열면 동전이 나오는 위트 있는 장면을 연출한다. 이는 일상적 인식의 틀을 깨는 '트롱프뢰유'(Trompe-l'œil, 눈속임 미술) 기법의 정수다. 이 작품은 '돌이냐, 지갑이냐'라는 이중적 질문을 던진다. 단단함과 유연함,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허문다. 돈이 들어있는 주머니와 바위의 결합은 현대 소비사회와 물질적 풍요의 상징을 동시에 풍자한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히로토시는 "일상에서 만나는 재료와 현실을 뒤집는 상상으로 관람자와 소통하고 싶었다"며 창작 의도를 밝혔다. 그의 바위작품은 무거움을 유쾌함으로, 진지함을 위트로 바꾼다. 보는 순간 헛웃음이 나오는 이유다. 마치 “세상 모든 무거운 문제도 이렇게 가볍게 열 수 있다”고 말하는 듯하다

[핫픽] 학교에서 필수적으로 가르쳐야 할 12가지…교과서 밖에서 살아남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진짜 필수과목, 학교에선 왜 안 가르칠까?" ‘세금, 코딩, 요리, 보험, 주택 관리, 자기 방어, 생존 기술, 재테크, 말하기, 자동차 관리, 스트레스 관리.’ 이쯤 되면 단순히 교과과정을 넘어 인생을 살아가는 생존 매뉴얼과 같다. 최근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된 이 일러스트는 “학교에서 반드시 배워야 할 과목들”이라는 테마로 누리꾼들의 공감대를 폭발시켰다. 일상에서 꼭 필요한 지식과 기술은 국영수보다 오히려 인생 전반에 걸쳐 더 자주 쓰인다. 세무, 보험, 재테크, 기초 요리, 자기 방어, 자동차 관리, 그리고 소통·스트레스 관리까지… 정작 이런 ‘실전형 스킬’은 공개된 교과목 리스트엔 없다는 현실을 꼬집는다. 사회적 예절과 말하기 기술까지 캡처된 이 이미지는, 누구나 겪는 현대인의 고민을 유쾌하게 시각적 언어로 풀어냈다는 점에서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이런 과목들이 실제 교과서에 들어간다면 어떻게 될까? 학생들은 시험 문제로 ‘소득공제 작성법’, ‘자동차 엔진 오일 교환 방법’, ‘실전 스트레스 해소법’을 풀어보고, 외워야 할 공식 대신 보험 약관을 분석할지도 모른다. 현실적이지만 늘 뒷전이었던 인생 교양이

"품격·정성담은 호텔 추석선물"…반얀트리 서울, 한우·와인·베이커리 등 6만원부터 60만원대까지 '풍성'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에이블현대호텔앤리조트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이하 반얀트리 서울)이 민족 대명절 추석을 맞아 정성과 품격을 담은 ‘2025 추석 선물 세트’를 오는 9월 3일부터 선보인다. 올해 추석 선물 세트는 한우, 과일, 한과, 전통 장, 와인 등 명절 대표 먹거리를 중심으로 구성한 ‘반얀트리 선물 세트’와 반얀트리 서울의 프리미엄 디저트 브랜드 ‘몽상클레르’의 햄퍼, 세계적인 스파 브랜드 ‘반얀트리 스파’의 제품과 바우처까지 다양하게 구성되어 감사의 마음과 함께 호텔에서의 경험을 전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먼저, ‘반얀트리 선물 세트’는 총 10종으로 ▲1++등급 한우의 채끝·안심·살치 등 구이용 최고 부위만 담은 ‘프리미엄 한우 세트’ ▲차례상에 올리기 좋은 최상품 사과·배를 비롯해 샤인머스캣·애플망고·태추단감 등 고급 제철 과일로 구성한 ‘혼합 과일 세트’가 포함된다. 건강을 생각한 선물 세트도 준비했다. ▲천혜의 자연 환경의 뉴질랜드에서 채취한 ‘마누카 꿀 세트’ ▲진한 홍삼의 향과 부드러운 식감을 더한 ‘홍삼 절편 세트’ ▲미쉐린 레스토랑에서 사용하는 ‘전통 장·기름 세트’ ▲신선한 기름에 바삭하게 튀겨낸 ‘김 부각 세트’등도

반얀트리 서울, 가을빛 물든 오아시스에서 K-술 페스티벌 ‘어텀 마켓’…"칵테일과 라이브 공연까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에이블현대호텔앤리조트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이하 반얀트리 서울)이 9월 13일 오아시스 야외 수영장에서 ‘어텀 마켓(Autumn Market)’을 진행한다. 어텀 마켓은 청명한 가을 하늘과 단풍으로 물들어가는 남산을 배경으로 평소 회원과 투숙객에게만 제한적으로 개방되는 오아시스를 일반 고객에게도 개방해, K-술 시음과 라이브 공연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도심 속 가을 축제로 선보인다. 방문객들은 피크닉을 즐기듯 여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가을 정취와 함께 감성을 만끽할 수 있다. 어텀 마켓은 전국 각지의 양조장과 전통주 스타트업이 참여해 탁주·청주·증류주 등 약 30여 종의 K-술을 소개한다. 무제한 시음이 가능하고, K-술로 제조한 칵테일도 맛볼 수 있으며, 마음에 드는 제품은 현장 구매가 가능하다. 또한 디저트, 스낵, 음료, 커피 등 식음료 부스도 함께 운영되어 풍성한 볼거리와 체험을 선사한다. 반얀트리 서울은 어텀 마켓을 통해 지역 양조 산업과의 연결을 강화하고, 전통주에 담긴 문화적 가치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하고자 했다. 특히 호텔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을 비롯한 글로벌 고객에게도 K-술을 매개로 한국 고유의 문화를

[핫픽] 지하철 타고, 오토바이 타고, 산도 타고…반려견, 주인과 함께 어디든 간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도심 한복판, 지하철, 그리고 험준한 산길까지. '반려견과의 동행'이란 말이 이보다 더 실감나는 순간이 있을까. 최근 SNS와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된 세 장의 사진이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반려견 라이프의 현장을 보여준다. 첫 번째 사진은 '반려견 밀착 케어'의 진수다. 지하철 한복판, 얌전히 앉아 있는 승객들 사이에서 아기 띠를 두른 주인 품에 쏙 안긴 강아지! 사람들을 관찰하며, 누가 자신에게 말을 걸까 기대하는 듯한 그 눈빛. 아이 대신 강아지를 안고 출퇴근하는 일상이 이색적으로 다가온다. 지하철에서 만난 '특급 VIP 승객' 출현에, 주변 승객들도 소리 없는 미소를 선물한다. 두 번째 장면은 강남 도로 위를 경쾌하게 달리는 오토바이. 그러나 눈에 띄는 것은 운전자보다 더 여유로운 표정의 왕견 세 마리다. 노란 바구니에 올라탄 강아지들은 마치 "이게 바로 시티 투어지!"라고 외치는 듯, 꼿꼿하게 도시의 풍경을 감상하고 있다. 옆 오토바이 운전자도 놀란 듯 쳐다보고 있지만, 개들은 도로의 주인임을 의연히 증명한다. 세 번째 장면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열정적인 '등산러' 중 한 명일지도 모르는 웰시코기. 등산객들과 함께 바위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