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4.9℃
  • 흐림강릉 9.1℃
  • 흐림서울 6.1℃
  • 흐림대전 7.0℃
  • 구름조금대구 7.4℃
  • 맑음울산 7.3℃
  • 구름많음광주 7.8℃
  • 맑음부산 9.1℃
  • 흐림고창 7.8℃
  • 흐림제주 11.2℃
  • 구름많음강화 5.1℃
  • 흐림보은 6.0℃
  • 흐림금산 6.9℃
  • 구름많음강진군 8.7℃
  • 맑음경주시 7.1℃
  • 맑음거제 9.1℃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KBS 항공 1호기 '벨 430 헬기', 16.3억 감정가로 '공매' 나왔다…누구 품으로 날아갈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KBS 항공 1호기인 벨 헬리콥터 텍스트론(Bell Helicopter Textron)의 'BELL 430' 헬리콥터가 공매시장에 나왔다.

 

한국자산관리공사 온비드에 지난 5월 12일 올라왔으며, 22일 현재 279회의 조회수를 기록중이다. 감정평가금액은 16억3000만원에 달하며, 입찰 마감은 오는 5월 27일로 예정돼 있다.

 

공매로 방송용 헬리콥터가 나오는 경우는 드문 사례로, 향후 낙찰 결과에 업계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방송용 헬기, 공매로 새 주인 찾는다


공매 공고에 따르면 해당 헬리콥터는 서울 강서구 오곡동 김포공항 인근에 보관 중이다. 입찰은 인터넷 최고가 방식으로 진행되며, 최저입찰가는 비공개다.

 

이번 매각 대상은 벨 헬리콥터 텍스트론이 제작한 다목적 쌍발 헬리콥터 BELL 430으로, 국내 방송사 KBS가 운용해온 기체다.

 

KBS 항공1호기는 우리나라 국토 곳곳을 다니며, 각종 재난 현장에 빠짐없이 출동해 왔다. 삼풍백화점 붕괴 현장, 세월호 침몰 현장, 서해 훼리호 침몰 사고 현장, 부천 가스충전소 폭발 사고 현장 등 어김없이 상공에 등장해 재난 현장을 취재하면서 세계인들의 주목을 끌었다.

 

BELL 430, 어떤 헬기인가


BELL 430은 미국 벨 헬리콥터 텍스트론이 1996년부터 2008년까지 생산한 쌍발, 중형 헬리콥터다. 최대 10명(조종사 2명 포함)까지 탑승 가능하며, 주로 VIP 수송, 방송, 응급의료, 경찰·소방의 구조 임무, 방송·항공촬영, 군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4엽 복합소재 메인로터와 2기의 Rolls-Royce 250-C40B 엔진을 탑재해 최대 이륙중량 4218kg, 최대 속도 140노트(약 260km/h), 항속거리는 약 600km에 달한다.

 

Bell 430은 강력한 쌍발 엔진, 4엽 복합소재 메인로터, 다양한 용도와 높은 신뢰성, 넓은 실내공간 및 첨단 항공전자장비를 갖춘 중형 다목적 헬리콥터로 그동안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돼 왔다.

 

 

공매 절차 및 헬기 정보


이번 공매는 불용품 매각 방식으로 진행되며, 입찰 희망자는 5월 27일 오후 4시까지 온라인으로 참여할 수 있다. 감정평가금액은 16.3억원으로 책정됐으나, 실제 낙찰가는 입찰 경쟁에 따라 달라질 전망이다.

 

Bell 430은 1996년 헬기로 세계 일주라는 신기록을 달성한 바 있으며, 2008년까지 총 136대가 생산된 후, 마지막 기체가 2008년 5월에 인도되며 생산이 공식 종료됐다.

 

생산이 종료된 이유에 대해 제작사인 Bell Helicopter Textron은 “모든 수주잔고를 소진한 후 생산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즉 추가 주문이 더 이상 들어오지 않아 기존 주문분만 납품하고 생산라인을 정리한 것이다.

 

이는 항공기 제조업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요 감소’와 ‘시장 변화’에 따른 결정으로, Bell 430 역시 시장 내 경쟁 기종의 등장과 수요 감소, 그리고 기술 발전에 따른 신형 헬리콥터로의 교체 수요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칼럼] 누리호 11월 27일 새벽 네 번째 발사…"우주서 바이오 신약 단서 찾는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네 번째 발사가 오는 11월 27일 새벽 0시 54분부터 1시 14분 사이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예정되어 있다. 이번 발사에는 주탑재 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큐브위성 12기가 싣혀 우주로 발사된다. 특히 이번 4차 발사부터는 우주 의료와 바이오 기술 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한다. 주목받는 큐브위성 ‘BEE-1000’은 미국 MSD의 면역항암제(펨브롤리주맙, 키트루다) 단백질 결정화 과정을 미세중력 환경에서 관찰하여 신약 개발 고해상도 데이터를 확보하는 임무를 담당한다.​ 이번 누리호 발사는 1~3차 발사와 동일한 3단 로켓 구조이지만, 고도 600km 태양동기궤도에 진입하는 특수 임무의 차세대중형위성 3호 탑재를 위해 야간(새벽) 발사를 최초로 추진한다. 발사 성공률은 전문가들이 약 90% 이상으로 분석하고 있으나 급변하는 기상 조건과 우주 물체 충돌 위험성 등을 실시간으로 검토하여 최종 발사 시각을 결정한다.​ 차세대중형위성 3호는 주로 오로라 관측 및 우주 환경 연구를 수행하며, 탑재된 ‘바이오캐비닛’은 한림대 연구팀이 개발한 3D 줄기세포 프린팅과 세포 분화·배양 기술을 우주 환경에서 검증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