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美 정부효율부가 공무원들을 인공지능(AI) 기술로 감시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미 정부효율부(DOGE)가 인공지능(AI)을 동원해 부처 공무원들이 나누는 대화를 감시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8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최근 미 환경보호국(EPA) 소속 직원들은 머스크의 팀이 AI를 활용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나 머스크에 대한 적대적인 내용이 있는지 감시한다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다. 한 소식통은 로이터에 “우리는 그들이 반(反)트럼프 혹은 반머스크적인 언사를 찾고 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임명한 직원들은 기존의 EPA 직원들에게 DOGE가 공무원들이 일을 할 때 사용하는 협업 도구인 마이크로소프트 팀즈를 포함해 앱과 프로그램들을 AI로 감시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들은 AI가 공무원들의 대화 내용 중 트럼프 대통령이나 머스크에 대한 비판적인 발언을 색출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고 귀띔한 것으로 알려졌다.
EPA는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선 뒤 대규모 감원 및 예산 삭감의 칼바람을 정통으로 맞은 기관이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EPA는 소속 직원 600여명을 내보냈으며, 예산의 65%를 삭감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해당 내용이 보도된 뒤 EPA 측은 로이터에 성명을 보내 “기관의 기능과 행정적 효율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AI 활용을 검토하고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DOGE와 협의한 인사 결정을 내릴 때 AI를 사용하지는 않는다”고 밝혔다. 다만 직원들을 감시하기 위해 AI를 사용했는지에 대해서는 답변을 피했다.
또 한편 로이터는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머스크의 DOGE팀이 민간 채팅 앱인 ‘시그널’로 소통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시그널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대화 내용을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를 활용하는 것은 미 연방정부의 기록 보존 원칙을 어긴 것일 수 있다는 지적까지 나왔다.
DOGE가 연방정부 공무원을 대규모 감원하는 과정에서 머스크가 개발한 AI 챗봇인 그록을 대대적으로 활용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와 관련해 백악관과 DOGE, 머스크 측은 로이터의 논평 요청에 답변하지 않았다.
로이터는 이처럼 DOGE팀이 AI와 시그널을 활용하는 것이 DOGE의 업무 투명성을 저해하며, 머스크와 트럼프 대통령이 AI로 수집한 정보를 사적인 이익을 위해 쓰거나 정적을 공격하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운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