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토지거래허가구역의 지정과 대선을 앞둔 정치적 불확실성속에서 서울 아파트 시장에도 '거래 빙하기'가 현실화되고 있다. 3월 7385건에 달했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4월 들어 221건으로 급감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4월 9일 까지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3월 대비 무려 70% 이상 급감했다. 아직 4월 매매 계약 거래의 신고일이 5월 말까지로 한참 남아 있긴 하지만 2월 6317건, 3월(이달 9일까지 집계 수치) 7385건과 비교해 4월 들어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는 급감하고 있다.
특히 지난 4월 7일에는 하루 거래량이 10건에 그치는 등 극심한 거래 절벽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토지거래허가제 지정의 직격탄인 강남 3구는 물론, 서울 전역에서 거래량이 급감하는 추세다. 서초구는 18%, 송파구는 17% 감소했다.
부동산 업계는 이 같은 시장의 혼조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의 글로벌 관세정책과 함께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대선까지는 최소한 이어질 것이란 분석이다. 즉 서울 아파트 공급 부족과 수요 조절을 위한 대출 및 정책 규제 등 향후 정책 불확실성에 이어 시장 불안정성도 더 확대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전세를 끼고 주택을 구입하는 갭투자가 어려워지면서 매물 자체도 자취를 감췄다.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 ‘아실’을 보면 20일 전과 비교해 서초구 아파트 매물 건수는 7392건에서 6026건으로 18.5%, 송파구는 6640건에서 5502건으로 17.2%, 강남구는 8504건에서 7350건으로 13.6% 각각 감소했다.
용산구도 1925건에서 1697건으로 11.9%나 줄었다. 매수자와 매도자 모두 시장을 관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 팀장은 “대선 후보들의 부동산 관련 공약과 정책 방향성 등의 윤곽이 나오기 전까지 내 집 마련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 제한된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예상돼 당분간 주요 정당들의 대선 공약 내용들을 분석하며 숨 고르기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