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美 FDA, HIV 예방 주사제 ‘예즈투고’ 승인…에이즈 종식, 현실화?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2025년 6월 19일(현지시간),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의 신개념 HIV(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예방 주사제 ‘예즈투고(Yeztugo, 성분명: 레나카파비르·Lenacapavir)’를 공식 승인했다.

 

Gilead Sciences 공식자료와 CNBC, New York Times, Reuters등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FDA 결정으로 HIV 감염 위험군을 위한 예방 옵션에 대전환이 예고되며, ‘에이즈 종식’에 대한 기대감이 세계적으로 고조되고 있다.

 

‘예즈투고’란?…연 2회 주사로 99.9% 예방, 세계 첫 장기 지속형 PrEP 주사제


예즈투고는 HIV-1 캡시드 억제제로, 기존 경구용 예방약(PrEP)과 달리 연 2회(6개월마다 1회) 피하주사만으로 HIV 감염 예방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는 미국에서 승인된 PrEP(노출 전 예방요법) 중 최초이자 유일한 ‘연 2회 투여’ 옵션이다.


기존 PrEP는 매일 복용(트루바다, 데스코비 등) 또는 2개월마다 주사(아프리카버 등) 형태로, 복용 순응도와 사회적 낙인, 접근성 한계가 컸다.

 

애틀랜타 에모리대 에이즈연구센터장 카를로스 델 리오 박사는 “반년마다 한 번 맞는 주사는 복용 순응도와 사회적 낙인 등 기존 PrEP의 주요 장벽을 크게 해소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임상 효과“99.9% 예방, 기존 약 대비 월등”


길리어드와 미국 CDC, 애틀랜타 에모리대 에이즈연구센터 등 다수의 임상시험 결과,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여성 대상 임상에서 기존 경구 PrEP(트루바다) 대비 HIV 감염 100% 감소를 나타냈다. 또 글로벌 다국가 임상(2179명 중 2명 감염)에서 99.9% 예방 효과가 확인됐다.


특히, “매일 약을 챙겨먹기 어려운 환경, 사회적 낙인에 시달리는 고위험군(청소년, 여성, 성소수자, 저소득층 등)에서 복용 순응도와 예방 효과가 크게 개선될 것”이라는 전문가 평가가 이어진다.(출처: Gilead Sciences Press Release, Emory University, CDC, The Lancet HIV, 2025.6.19~20)

 

 

가격과 보급의 한계…“연 3900만원, 보험적용이 관건”


CNBC, 뉴욕타임스 등 미국 주요 언론에 따르면, 예즈투고(레나카파비르) 연간 약가는 2만8218달러(한화 약 3900만원, 보험 미적용시)에 달한다. 기존 경구 PrEP(트루바다 등)는 연 2만4000달러(약 3300만원) 수준이었다.

 

길리어드는 “보험사·정부와 협력해 보험 적용 확대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으나, 고가의 약가가 저소득층·취약계층 보급의 최대 장애물로 지적된다.

 

전문가 평가와 전망…“에이즈 종식, 실질적 전환점”


카를로스 델 리오 Emory대 에이즈연구센터장은 “반년마다 한 번 맞는 주사는 복용 순응도와 사회적 낙인 등 기존 PrEP의 주요 장벽을 크게 해소할 것"이라며 "HIV 예방의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UNAIDS(유엔에이즈계획) 등 국제기구는 “아프리카, 아시아 등 고위험군 국가에서의 보급이 확대될 경우, 2030년대 ‘에이즈 종식’ 목표 달성에 결정적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계와 과제…“접근성·가격·사회적 인식 개선 필요”


보험 적용이 안 될 경우, 저소득·고위험군의 접근성 한계, 여전히 HIV 예방약 사용에 대한 편견·차별 존재, 미국 외 개발도상국, 저소득국가 보급 확대를 위한 국제적 협력 필요등은 남은 과제도 있다.

 

하지만 예즈투고의 FDA 승인은 HIV 예방의 패러다임을 바꿀 ‘게임체인저’로 평가받는다. 연 2회 주사로 99.9% 예방 효과, 복용 순응도 혁신, 사회적 낙인 해소 등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다만, 고가의 약가와 보험 적용, 글로벌 보급 확대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에이즈 종식의 실질적 전환점이 될지, 향후 정책·사회적 대응이 주목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7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중국, 세계 최초 고속 수직 이착륙(VTOL) 드론 개발 "모든 군함이 항공모함 가능"…해군력의 판도 흔들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중국이 세계 최초로 제트 엔진을 탑재한 고속 수직 이착륙(VTOL) 드론을 개발하며 해군 항공 기술에서 또 한 번의 진일보를 이뤘다. 이 획기적 기술은 기존의 활주로 의존에서 벗어나 모든 군함을 소형 항공모함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 군사 전문가들로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SCMP, 신화통신, The War Zone의 보도에 따르면, 베이항대학교의 왕야오쿤과 추유팅 부교수 연구팀이 10년에 걸친 독자적 연구로 완성한 해당 드론은 거친 해상 상황에서도 일반 군함 갑판에서 발사, 고속 장거리 순항 비행으로 전환될 수 있어 국내외에서 ‘플랫폼 혁신’을 이끌었단 평가다. 기술 혁신과 설계 역량 이 VTOL 플랫폼은 적층 제조(3D 프린팅) 기술의 적극적 도입으로, 기존 금속 가공 방식으로는 구현할 수 없는 복합 구조·경량 설계가 가능해졌다. 실제로 드론 내부에는 무게 분배와 구조적 안정성, 공기역학적 효율을 극대화한 디자인이 적용됐으며, 이는 극한의 수직 이착륙 및 고속 전환 스트레스에도 뛰어난 안전성을 확보해준다. 또한 디지털 통합 프로세스와 사이버-물리 시스템의 융합 덕분에 추력 벡터링 등 비행모드 제어가 실시간으로

[빅테크칼럼] 땀이 나면 자켓 두께가 자동 조절된다고?…체온조절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의류 新기술 나왔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몸에서 나는 땀에 반응해 체온 조절을 위해 자동으로 두께를 조절하는 겨울 재킷 기술이 개발됐다. TechXplore, Yahoo News, ITC 등의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난징항공우주대학교 연구진(책임자 리슈창)은 땀에 반응해 자동으로 두께가 변하는 혁신적인 겨울 재킷을 개발하며, 기존 체온 관리 한계를 극복하는 해법을 제시했다. 이 기술은 최근 국제 학술지 ‘Science Advances’에 발표됐다. 핵심 기술과 수치적 성과 이 재킷의 충전재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사용한다. 이 멤브레인은 저온 건조 상태에서는 13밀리미터 두께로 최대 단열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땀을 흘려 습도가 상승하면 두께가 2밀리미터까지 극적으로 얇아져 열이 효과적으로 빠져나가 과열을 방지한다. 실제 실험에 따르면 이 멤브레인 기술을 활용한 의류는 기존 겨울 의류 대비 체온조절 능력을 82.8%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20개 주요 도시에서 평균 7.5시간 동안 ‘열 스트레스 없는 구간’을 연장해주는 효과가 검증됐다. 이는 야외에서 장시간 근무하는 환경미화원, 택배원, 경찰관 등에게 매우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빌 게이츠, 3년 만에 방한…‘275조원 백신 프로젝트’로 K-바이오와 글로벌 공익 동행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 창업자이자 세계적 자선가인 빌 게이츠가 오는 8월 21일, 3년 만에 한국을 다시 찾는다. 이번 방한의 핵심 목적은 빌앤드멀린다게이츠재단을 통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과의 글로벌 백신 협력 확대에 있다. 게이츠 재단은 지난 20여년간 저소득 국가 백신 공급 및 의료 시스템 강화에 집중해 온 인류애적 모델이다. 게이츠 이사장은 방한 기간 중 국회, 정부 및 주요 바이오기업 등과 세부 일정을 조율하며, 한국의 백신·의료 플랫폼을 활용한 개발도상국 지원 방안을 논의할 전망이다. 대표적 협력 후보로는 SK바이오사이언스, LG화학, SD바이오센서, 유바이오로직스 등이 꼽히며, 보건복지부와 국립보건연구원도 글로벌헬스 부문 관계자와 협력을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게이츠 재단은 2000년 GAVI(세계백신면역연합) 설립을 주도, 2023년 기준으로 1.1억명의 아동에게 백신을 보급해 세계 5세 미만 사망률을 23년 만에 절반 이하로 줄였다. 게이츠가 내건 ‘마이크로니들 백신 전달·자가투여형 백신 개발’은 냉장 유통망과 전문인력 없이도 빈곤국에 백신을 대량 보급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K-바이오의 기술력과 글로벌 인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