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16 (목)

  • 맑음동두천 -0.7℃
  • 맑음강릉 1.9℃
  • 맑음서울 -0.9℃
  • 맑음대전 1.2℃
  • 맑음대구 1.6℃
  • 맑음울산 2.1℃
  • 구름많음광주 1.3℃
  • 맑음부산 4.1℃
  • 흐림고창 -1.1℃
  • 흐림제주 4.4℃
  • 맑음강화 -1.8℃
  • 맑음보은 -0.4℃
  • 맑음금산 0.4℃
  • 구름많음강진군 1.8℃
  • 맑음경주시 2.8℃
  • 맑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중대형은 너무 비싸"…서울 중소형 아파트 선호에 수요·가격 '쑥'

서울 1~3인 가구 84% 돌파, “중소형 아파트 수요 상승 전망”
서울 아파트 분양가격, 전년 동월 대비 45.76% 증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중소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인기가 확산되고 있다. 이는 분양가 상승으로 인해 자금 부담을 느끼는 수요자들이 중소형 아파트로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소규모 가구 수도 증가하고 있어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관심은 더욱 짙어질 전망이다.

 

실제로, HUG의 민간아파트 분양 가격 동향에 따르면, 올해 10월 전국 아파트 분양 가격은 공급면적 기준 575만9,000원으로 전월(569만2,000원) 대비 1.18% 상승했다. 그중 서울의 경우 1,420만3,000원으로 전월(1,338만3,000원) 대비 6.13% 상승했으며 전년 동월(974만4,000원)과 비교하면 무려 45.76% 상승한 수치를 보였다.

 

여기에 3.3㎡로 환산할 경우, 서울 아파트 분양가는 3.3㎡당 4,695만2,000원으로, 전국 평균 아파트 분양가의 약 2.5배에 달하는 수치로,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 등으로 인해 건설공사비가 크게 오른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와 같은 분양가 상승과 함께 서울에서는 3인 이하의 소규모 가구도 약 2012년을 기점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행정안전부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 서울의 1~3인 가구 수는 376만8,570가구로, 서울 전체(448만4,218가구)의 84%를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서울의 중소형 평형을 중심으로는 청약 경쟁률이 치열해지고 있는 추세다.

 

올해 6월 분양한 서울 광진구 구의동 ‘강변역 센트럴 아이파크’는 1순위 청약에서 45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2만2,235명이 신청해 494대 1을 기록했다. 이 중에서도 단지의 중소형 평형인 84㎡A 타입은 523대 1로 더욱 높은 관심을 받았다.

 

또한, 7월 분양된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펜타스’의 경우 178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9만3,864명이 몰려 527대 1을 기록했으며, 중소형 평형인 59㎡B 타입은 무려 1,60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해 중소형 아파트의 높은 인기를 입증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공급 물량이 턱없이 부족한 데다 분양가마저 치솟고 있어 자금부담을 느낀 수요자들은 중소형 아파트도 눈을 돌리고 있는 추세다”라며 “이 가운데 주거 트렌드도 변화하면서 1~3인 가구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중소형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올해 중소형 단지를 중심으로 막바지 분양 예정단지가 있어 수요자들에게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대건설은 11월 서울특별시 강서구 등촌동 366-24번지 일원에서 ‘힐스테이트 등촌역’을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의 전용면적은 59~84㎡으로 중·소형 위주로 구성됐다. 이 중 274세대가 일반물량이다. 단지는 도보권 내 지하철 9호선 등촌역이 위치해 여의도, 강남 등 서울 주요 업무지구로 환승 없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공항대로 등을 통한 서울 및 수도권 전역으로 이동이 수월하다. 이와 함께 단지 인근으로 등촌초, 백석중, 영일고 등이 인접해 자녀들의 안전한 통학 환경이 구현된다. 이 외에도 강서도서관이 인근에 있으며 교육열 높은 목동 학원가 역시 가까이 위치해 우수한 교육여건을 누릴 수 있다.

 

롯데건설은 12월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 일원에서 서울 성북구 삼선5구역 재개발 사업을 통해 ‘창경궁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분양 중이다. 단지는 중소형 전용면적인 59·84㎡로 공급되며, 지하 4층~지상 18층, 19개 동, 총 1,223세대로 조성되며 이 중 509세대가 일반물량이다.

 

단지는 도보권 내 4호선 한성대입구역과 6호선·우이신설역 환승역 보문역이 자리한 트리플 역세권 단지로 교통 여건이 우수하다. 이와 함께 삼선초, 한성여중, 경동고 등 도보권으로 자녀들의 안전한 통학기 가능하다. 여기에 이마트, 현대시티아울렛 등 대형 쇼핑 시설이 근접하며 서울대병원 등 의료시설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단지 옆으로 낙산공원, 한양도성길 등 녹지공간도 가까이 자리 잡고 있다.

 

DL이앤씨는 6일 서초구 방배동 일원 방배삼익아파트 주택재건축정비사업을 통해 선보이는 ‘아크로 리츠카운티’의 주택전시관을 개관하고 본격 분양에 나선다. 이 단지는 지하 5층~지상 27층, 8개 동, 전용면적 44~144㎡ 총 707가구로 조성되며, 이중 140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특히, 144㎡ 타입 2가구를 제외한 전 가구가 중소형타입으로 일반 분양될 예정이다. 단지 인근으로는 지하철 2호선 방배역이 위치해 역세권 단지로 서울 전역으로 편리하게 이동가능하며, 남부순환로가 가까이 위치해 사당IC, 서초IC, 양재 IC 등으로 진출입이 용이하다.

 

주변으로는 ‘경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이 예정되어 있어 교통 체증의 완화뿐만 아니라 통행시간도 단축될 예정이다. 또한, 반경 1km 내에서 방일초, 서초중, 상문고 등 강남 8학군이 자리하며 신세계백화점, 이마트, 코스트코 등 쇼핑시설과 예술의전당, 국립국악원 등 문화시설이 자리해있다.

 

한신공영은 12월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 일원에서 시흥동 현대아파트 재건축 정비사업을 통해 ‘한신더휴 하이엔에듀포레’를 분양 중이다. 단지는 중소형 전용면적인 45~59㎡로 조성되며, 지하 4층~지상 최고 12층, 5개 동으로 총 219세대 중 45·59㎡ 78세대가 일반물량이다.

 

단지 일대로는 탑동초, 동일중, 동일여고 등이 자리해 안전한 도보 통학이 가능하다. 또한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쇼핑 시설과 삼성산 시민휴식공원, 삼각공원 등이 있어 숲세권을 누릴 수 있다. 특히, 시흥사거리역 일대로 신산안선이 개통 예정으로 향후 교통접근성도 향상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7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1년새 시총 SK하이닉스 20조, HD현대중·HD현대일렉·KB금융·삼바·한화에어로 10조 이상 '쑥'…삼성電 156조 '증발'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4년 국내 주식 성적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 작년 초 대비 올해 동기간 기준 시가총액(시총)은 250조원 정도 감소했기 때문이다. 이는 재작년 대비 작년 초 기준 국내 상장사 시총이 490조원 넘게 증가했던 것과 비교해보면 180도 달라진 형국이다. 최근 1년 새 시총 덩치는 10% 정도 쪼그라졌고, 국내 주식종목 10곳 중 7곳꼴로 시총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올해 초 가입한 시총 1조 클럽은 작년 초 때보다 20여 곳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시장 한파에서도 단일 주식종목 중에서는 SK하이닉스가 최근 1년 새 20조원 넘게 시총 체격이 커졌고,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일렉트릭도 10조원 이상 불어나 주목을 받았다. 특히 작년과 올해 초 시총 TOP 20위권에는 6곳이 탈락하거나 신규 진입하는 등 국내 주식시장을 이끄는 상위권의 순위에도 부침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13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4년 1월 초 대비 2025년 1월 초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주식종목은 우선주를 제외한 2749곳이고, 작년과 올해 각 1월 2일 시총

하나금융, 손흥민·임영웅·안유진·강호동 이어 지드래곤 발탁…"도전·창의 아이콘 만나 최고의 시너지 창출"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하나금융그룹(회장 함영주)은 세대를 아우르는 혁신과 시대의 아이콘 ‘지드래곤(G-Dragon, GD)’을 그룹의 새로운 광고모델로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하나금융그룹이 지드래곤을 새 모델로 선정한 배경은 명확하다. 특유의 창의적인 감각과 개성 넘치는 음악을 선보이는 지드래곤의 트렌디하고 크리에이티브한 이미지가 ‘하나로 연결된 모두의 금융’이라는 비전 아래 ‘하나’만의 혁신적인 플랫폼을 구축하고 금융의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온 그룹의 방향성과 부합하기 때문이다. 지드래곤은 음악뿐만 아니라 패션, 예술의 영역에서도 독보적인 개성을 선보여 온 최고의 아티스트이자 혁신과 시대의 아이콘이다. 이는 ‘리딩뱅크’와 ‘넘버원 아티스트’라는 타이틀로 각자의 분야에서 최고의 성과를 일궈온 하나금융그룹과 지드래곤의 시너지가 더욱 기대되는 이유다. 최근 7년 만에 화려하게 복귀한 지드래곤은 컴백과 동시에 각종 음원차트를 석권한 것은 물론, 음원 사이트 내 최단기간 ‘좋아요’ 10만회, 연말 무대 통합 누적 조회수 8800만회를 기록하며, 왕의 귀환다운 면모를 입증했다. 지드래곤은 ‘하나’의 의미를 강조한 1월 11일 밤 11시 11분에 맞춰 개인

7억 시세차익·강남권 첫 분양 ‘래미안 원페를라’ 1월 분양…'방배 대장' 놓고 현대건설과 맞짱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올해 첫 서울 로또 청약 단지로 시세차익이 최대 7억원 기대되는 서초구 '래미안 원페를라'가 분양에 돌입한다. 삼성물산은 오는 1월 중순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818-14번지 일원에서 ‘래미안 원페를라’를 분양할 예정이다. 방배6구역 주택재건축 정비사업을 통해 공급하는 단지로, 지하 4층~지상 최고 22층, 16개 동, 총 1,097가구 규모다. 이 가운데 전용 59~120㎡ 482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입주 예정시기는 2025년 11월이다. 전용면적별 일반분양 가구수는 △59㎡ 157가구 △84㎡ 265가구 △106㎡ 56가구 △120㎡ 4가구이다. ‘래미안 원페를라’가 들어서는 방배동은 전통 부촌으로 불리는 만큼 우수한 입지환경이 강점으로 꼽힌다. 지하철 7호선 내방역과 4·7호선 이수역의 더블 역세권 입지를 갖췄다. 또한 서초대로와 서리풀 터널 등을 통해 강남 주요 지역은 물론 서울 전역으로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교육환경도 눈여겨볼 점이다. 단지 인근으로 방배초, 서래초, 방배중, 이수중, 서문여중·고 등 명문 학군과 국립중앙도서관이 위치하여 면학 분위기가 잘 형성돼 있다. 또한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롯데마트 서초점

30대그룹 사외이사 넷 중 하나는 관료, 검사출신 '최다'…관료 비중, 신세계그룹 74% '최고'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30대 그룹 사외이사들의 관료 비중이 늘어나면서 이사회 전문 역량이 법률·정책 분야에 과도하게 집중되고 있다. 최근 주요 선진국 상장기업들이 이사회 역량지표(BSM, Board Skill Matrix)를 도입해 이사진의 다양성을 강화하는 추세와 대조적인 모습이다. 사외이사의 전문역량이 다양할수록 지배구조 투명성이 높아지고 밸류업(기업가치 제고)에도 유리하다는 것이 시장의 중론임에도, 국대 대기업들은 이러한 국제적 흐름에 역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사회가 기업을 효과적으로 감독하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역량, 전문성, 경험의 다양성이 필수적이다. 이같은 취지에서 도입된 BSM은 뉴욕시 연기금 등의 권고에 따라 S&P500 소속 글로벌 기업들이 공시를 시작했으며. 호주 등 일부 국가는 이를 의무화했다. BSM을 통해 이사회의 능력, 자질, 다양성을 한 번에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9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30대 그룹 계열사 중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237개 기업 사외이사 856명의 출신 이력과 역량 비중을 2023년과 2024년 비교 분석한 결과, 관료 출신 비중이 14% 증가하며 이들의 역

모건스탠리 “삼성전자, 실적부진 주가에 선반영, 목표가 6만5000원”…외국인들 사들였다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2024년 4분기 기대치를 밑도는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외국인 투자자의 매수세 덕에 주가가 상승했다. 증권가에서는 실적저조를 혹평하면서도 이미 주가가 지나치게 내려간 상태이며, 선반영 상태라는 점을 시장이 이미 인식하고 있어 향후 상승세가 나올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특히 8일 글로벌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는 삼성전자에 대한 투자 의견 ‘오버 웨이트(Overweight·비중 확대)’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로 6만5000원을 제시했다. 실적저조는 이미 예견돼 있어 주가에 이미 반영돼 있다는 설명이다. 모건스탠리는 삼성전자 메모리 부문의 이익 감소는 출하량 감소와 평균판매단가(ASP) 하락이 원인인 것으로 봤다. 연구·개발(R&D) 테스트 웨이퍼 비용과 평택4공장(P4) 초기 가동 비용도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평가했다. 또 삼성전자 비모메리 부문에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와 시스템 LSI의 낮은 가동률 등으로 2조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추산했다. 숀 김 모건스탠리 애널리스트는 “반도체 산업의 주기적인 하락 국면이 진행 중이며 하락 사이클의 더 깊은 단계로 진입하고 있다”면서도 “주가에 이미 부정적인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