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당첨되면 로또 "반포·방배·잠원·잠실·강남역·용산 온다"…2025년 서울 분양 아파트 총정리

상반기 잠실·서초 일대 단지 분양…하반기엔 방배·반포
젊은층 청약조건 대폭 완화…청약 '로또' 경쟁 재점화 조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서울에서 분양을 앞둔 주요 아파트 단지들이 청약 시장의 ‘로또’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올해는 반포, 잠원, 방배, 서초(강남역), 잠실, 용산 등 이른바 강남권 분양이 많아 더욱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신축 대단지, 우수한 입지, 교통 호재, 합리적인 분양가 등 여러 조건을 두루 갖춘 ‘알짜’ 단지들이 대거 공급을 앞두고 있어 무주택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우선 서울에서 가장 평당 가격이 비싼 서초구의 주요 동네에서 청약단지가 쏟아진다. 반포동, 잠원동, 방배동, 서초동 일대는 올해 서울 분양시장의 최대 격전지로 꼽힌다.

 

당첨되면 최고의 대박, 로또인 반포주공1단지 1·2·4주구 재건축단지인 반포디에이치클래스트(서초구 반포동 810번지 일대, 현대건설)가 5월 분양예정이다. 총 5002세대, 최고 35층의 매머드단지로 일반분양 물량만 2450세대에 달한다.

 

현대건설 하이엔드 프리미엄브랜드 ‘디에이치’를 달고, 강남서초 지역 최고부촌 반포에 분양하는 만큼 역대 최고의 걸작이 나올 것이란 평가다. 엄청난 규모의 실내수영장은 물론 식물원, 오페라하우스, 미니극장, 스카이다이빙 시설까지 갖춘 초고급 아파트로 커뮤니티 3.0시대를 열 것이란 전망이다.

 

규모면에서도 한강 조망은 물론 지하5~지상35층 50개동, 강남권 최고 입지를 자랑한다.  현재 서울 최고의 대장아파트인 래미안 원베일리를 제압할 최고의 대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입주는 2027년 11월 예정이다.

 

같은 반포동에서는 래미안 트리니원(서초구 반포동 1081, 삼성물산)이 일반분양 505세대를 갖고 하반기에 분양예정이다. 총 2094세대, 최고 35층으로 2026년 8월 입주 예정이다. 예상 분양가는 3.3㎡당 6000~7000만원 수준이다. 9호선 구반포역과 4호선 동작역이 근접해 있다.

 

반포동과 같은 생활권인 인근 잠원동에서도 하반기에 신반포22차 재건축(서초구 잠원동 65-33, 현대엔지니어링) 분양이 예정돼 있다. 총 160세대(일반분양 28세대)에 최고 35층 규모로, 예상 분양가는 3.3㎡당 6000~7000만원대 수준으로 전망된다. 인근 3호선 잠원역과 7호선 반포역이 근접해 있다.

 

신반포21차를 재건축한 오티에르 반포(서초구 잠원동 59-10, 포스코건설)도 2025년 10월경 분양예정이다. 총 251세대로 일반분양 87세대가 예정돼 있다.

 

 

인근 방배동에서는 방배13구역을 재건축한 방배 포레스트 자이(서초구 방배동 541-2, GS건설)가 2025년 12월 분양 예정이다. 총 2322세대(일반분양 547세대), 최고 25층 규모로 예상 분양가는 3.3㎡당 6500만원 선이다. 2028년 입주예정이다. 2호선 방배역과 2·4호선 사당역이 근접해 있다.

 

방배동에서는 방배14구역 재건축인 방배르엘(서초구 방배동 975-35 일대, 롯데건설)도 연내 분양예정이다. 지하2~지상15층 11개동 총 492세대 중 일반분양 180세대로 롯데건설의 하이엔드 브랜드 ‘르엘’로 시공중이며 2026년 입주 예정이다.

 

강남역 인근에서는 신동아아파트 재건축인 아크로 드 서초(서초구 서초동 1333번지, DL이앤씨)가 2025년 6월 분양에 나설 예정이다. 강남권 핵심 입지, 분양가상한제 적용, 59~125㎡, 단지 연결 브릿지 설계, 현대적 고급화를 앞세워 총 1161세대 53가구가 일반분양에 나올 예정이다. 

 

단지는 강남역과 뱅뱅사거리에 위치해 강남 업무지구까지 걸어서 갈 수 있다. 인근 ▲서초 그랑자이 ▲래미안 리더스원 ▲래미안 서초 에스티지 ▲래미안 서초 에스티지S를 포함해 '독수리 5형제'로 불린다.

 

송파구 신천동에서는 잠실역 인근 초역세권인 단지는 잠실 미성크로바 아파트를 재건축한 잠실 르엘(송파구 신천동 17-6, 롯데건설)이 총 1910세대 중 일반분양 241세대를 앞세워 2025년 5월 분양예정이다. 최고 35층 규모로 3.3㎡당 6800만원의 분양가가 예상된다.

 

용산구 한강로3가에서는 용산 아세아 아파트(한강로3가 65-608)가 최고 36층 규모 총 969세대 중 일반분양 847세대가 나온다. 입주는 2028년 2월 예정이다. 예상 분양가는 3.3㎡당 6500만원 수준이다. 한강뷰가 기대되며, 용산역, 신용산역, 이촌역에 가까운 입지다.


용산구에서는 유엔사 부지 일대를 재건축한 더퍼스트사이드서울도 분양예정이다. 글로벌 호텔·오피스·쇼핑몰이 복합적으로 함께 건립되는 최고급 하이엔드 단지로  이 중 아파트는 총 420가구(전용 170~240㎡)다. 2027년 입주예정이며, 용산공원이 인접해 있고, 분양가는 3.3㎡당 1억원 이상을 예상한다.

 

동작구에서는 노량진8구역을 재개발한 아크로리버 스카이(동작구 대방동 44-214, DL이앤씨) 최고 29층, 총 987세대 중 일반분양 380세대가 5월경 분양예정이다. 한강변 입지, 대방역과 노량진역 1호선, 노량진역 9호선, 신림선까지 근접해 있다. 평당 분양가 5000만원 이상이 예상된다. 2028년 입주 예정이다.

 

동작구 이수역 인근에서는 '힐스테이트 이수역 센트럴'(동작구 사당동 155-4 일대, 현대건설)도 상반기 분양한다. 이곳은 4·7호선 이수역 인근에 들어서는 801 가구 규모다.

 

흑석11구역을 재개발한 서반포 써밋 더힐(가칭, 동작구 흑석동 304번지, 대우건설)도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연내 분양이 이뤄질 수 있다. 총 25개 동으로 구성되며, 지하 5층에서 지상 16층 규모로 총 1509세대가 공급될 예정이다. 이 중 일반 분양 세대는 419세대다. 흑석역 9호선, 동작역(4,9호선)이 근접해 있다.

 

 

영등포구에서는 영등포 센트럴 푸르지오 위너스(영등포동5가 32-8, 대우건설)가 최고 33층 규모로 총 659세대 중 175세대를 2025년 7월경 일반분양한다. 분양가는 3.3㎡당 4500만원 내외로 예상된다. 영등포시장역과 영등포역이 근접해 있다.


문래진주아파트 재건축인 더샵 르프리베(영등포구 문래동5가 22번지, 포스코이앤씨)도 2025년 10월경 분양 예정이다. 최고 21층 총 324세대 중 일반분양 138세대로 2호선 도림천역이 근접해 있다. 분양가상한제 미적용 아파트라 평당 4000만원 전후로 예상된다.

 

은평구에서는 '대조 1구역'을 재개발한 힐스테이트 메디 알레(은평구 대조동 89-222, 현대건설)이 상반기 분양예정이다. 총 2083세대 대단지이며 이 중 일반분양 483세대가 나온다. 최고 25층 규모로 2026년 10월 입주 예정이다. 예상 분양가는 3.3㎡당 4000만원 선이다. 불광역(3호선, 6호선)과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A 연신내역이 인접해 교통 호재가 두드러진다.

 

구로 고척4구역을 재개발하는 고척 푸르지오 힐스테이트(대우건설·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도 총 983가구 중 576가구에 대해 5월경 일반분양을 진행할 예정이다.

 

올해 분양 예정인 주요 단지들은 대부분 대단지, 우수한 학군, 역세권 입지, 브랜드 건설사 시공 등 청약시장에서 ‘로또’로 불릴 만한 조건을 갖췄다. 특히 강남, 서초, 송파, 용산 등 핵심 입지에 공급되는 대규모 단지들은 분양가 상한제 적용으로 시세 대비 저렴한 분양가가 기대돼 실수요자들의 높은 경쟁률이 예상된다.

 

청약을 준비하는 수요자라면 입지, 분양가, 교통, 학군 등 다양한 요소를 꼼꼼히 따져보고, 청약 일정에 맞춰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동산 업계는 서울 신축 아파트에 대한 선호가 여전한 가운데, 분양 물량 감소와 청약 조건 완화가 맞물리며 경쟁률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한다.

 

특히 3월 31일부터 개정된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에 따라 신혼부부 및 출산 가구의 특별공급 자격이 완화됐다. 2023년 6월 19일 이후 출산한 가구는 기존에 특별공급을 받았더라도 신혼·다자녀·노부모 유형에 한해 한 번 더 특별공급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아울러 혼인신고 후 주택을 보유했다가 처분한 경우도 특별공급 대상에 포함됐으며, 민영주택 내 신혼부부 특별공급 물량 비율도 18%에서 23%로 확대됐다. 신생아 우선 공급 비율도 20%에서 35%로 상향 조정됐다.

 

자격이 '초기화'되는 셈이라 엄청난 로또를 맞을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부동산 전문가는 "정치적 불안정성과 경제 불확실성은 높지만 '확실하고 똘똘한 한 채'에 대한 믿음은 흔들리지 않았고, 지방부동산은 힘든 시기이지만 서울은 탄탄한 수요가 뒷받침돼 주요 단지 청약 경쟁률은 매우 높을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일부 단지는 외부 변수로 인해 분양 일정이 올해에서 내년, 내후년으로 밀릴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골드만삭스, 서울지점 주식부문 새 수장에 박지은…한국 주식시장 ‘글로벌 허브’ 부상 신호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가 박지은 본부장을 서울지점 주식부문 대표로 공식 선임했다. 이번 인사는 한국 주식 및 파생상품 시장의 위상이 아시아·태평양(아태) 지역에서 더욱 강화되고 있음을 방증하는 동시에, 글로벌 IB(투자은행) 업계의 ‘한국 키맨’ 교체로 주목받고 있다. 박지은 대표, “기관·연기금 파생상품 혁신 주도” 박지은 신임 대표는 국내 주식과 주식 기반 파생상품 사업을 총괄하며, 아태지역 주식 비즈니스 리더십 팀과 긴밀히 협력할 예정이다. 박 대표는 2018년 골드만삭스 홍콩 아태지역 본사에 부문장으로 합류한 뒤, 같은 해 서울지점으로 자리를 옮겼고 2021년 본부장으로 승진했다. 이번 인사 전에는 국내 기관투자자, 국부펀드, 연기금을 대상으로 주식 기반 파생상품을 제공하는 사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경제학·수학 학사(2010), 뉴욕대학교 금융수학 석사(2011)를 마친후 홍콩 소재 글로벌 IB에서 파생상품 분야 전문성을 축적하고, 2018년 골드만삭스에 합류한 금융분야 전문가이다. 골드만삭스 서울지점, ‘글로벌 자금’ 한국시장에 47억 달러 이상 투자 골드만삭스는 1992년

[이슈&논란] 강호동 농협중앙회장 1억원 수수 '의혹'에 경찰 내사 '착수'…핵심인물과 유찬형 부회장의 접촉 정황 드러나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이종화 기자]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1억원의 현금을 수수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경찰이 내사에 착수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 사건은 단순한 금전 수수 의혹을 넘어 농협 조직 내 권력구도, 인사 갈등 등 다양한 파장을 예고하고 있어 더욱 세간의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경기신문 단독 취재에 따르면, 경찰은 “강 회장이 A씨로부터 현금 5000만원을 두 차례에 걸쳐 전달받았다”는 구체적 첩보를 입수하고 내사에 돌입했다. 해당 첩보를 뒷받침하는 참고인 조사가 이미 일부 진행된 것으로 파악됐다. 1억원을 건넨 것으로 지목된 용역업체 대표가 강 회장에게 협박성 문자를 보냈고, 이로 인해 농협유통의 입찰 공고가 무산됐다는 정황도 언론을 통해 드러났다. 특히 이번 사건의 핵심 인물인 A씨와 강 회장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유찬형 전 농협중앙회 부회장이 최근 별도로 접촉한 사실도 드러나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복수의 농협 관계자에 따르면, 유 전 부회장은 사건 무마 또는 진술 회유 목적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유 전 부회장은 처음에는 “A씨를 만난 적 없다”고 부인했으나, 이후 “개인적으로 안부를 나눈 자리였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랭킹연구소] 2분기 시총증가율 상위 TOP10…두산에너빌리티·HD현대중·삼성電·SK스퀘어·HD한국조선해양·한화에어로 順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25년 3월말 대비 6월말 기준 2분기 국내 상장사 시가총액(시총)은 상승 바람을 탄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사 전체 시총 외형은 1분기 대비 2분기에만 530조원 넘게 늘었고, 개별 주식종목으로 살펴보더라도 10곳 중 7곳 이상이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올 2분기에만 시총 외형만 70조원 이상으로 가장 많이 불었고, 두산에너빌리티는 시총 순위 톱5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올 2분기에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종목은 284곳으로 1분기 때보다 40곳 이상 많아졌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7일 ‘2025년 3월말 대비 6월말 2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주식종목(코스피+코스닥+코넥스)은 우선주를 제외한 2758곳이고, 올해 3월말(3월 31일)와 6월말(6월 30일) 시총 변동 금액과 순위 등을 비교해 살펴봤다. 시총은 한국거래소 자료를 참고했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올해 6월말 기준 국내 시총 규모는 2856조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말에는 2324조원 정도였는데, 올 2분기(3월말 대비 6월말) 시총 체격은 532조

"중국인 집주인에게 월세 내야 하나요?"…한국 부동산, 외국인 투기 '역차별' 논란에 외국인 투기 차단법 '입법' 시동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한국 부동산 시장에서 중국인 투자자들의 투기적 매수가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정부가 내국인에 대한 고강도 대출 규제를 시행한 반면, 외국인에겐 사실상 규제 사각지대가 열려 있다는 점이 문제의 핵심이다. 이에 따라 국회에서는 외국인 부동산 투기를 차단하기 위한 법안이 발의되는 등 대책 마련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중국인, 한국 부동산 '쇼핑'…투기성 매수 집중 최근 5년간 한국에서 부동산을 매입한 외국인 중 중국인의 비중은 60~70%에 달해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2024년 한 해 동안만도 중국인 1만1346명이 국내 부동산을 사들여 전체 외국인 매수의 64.9%를 차지했다. 특히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매수세가 집중되는 현상이 뚜렷하다. 이들은 대부분 본국(중국)에서 자금을 조달하거나, 현금으로 고가 주택을 일시에 매수하는 방식으로 규제를 피해가고 있다. 실제로 120억원 상당의 단독주택을 30대 중국인이 전액 현금으로 매입한 사례, 8살 중국 어린이 명의의 아파트 매수 등 비상식적인 거래도 적발됐다. 또, 다주택자로 임대사업을 하며 세금 탈루까지 시도하는 등 투기성 행위가 빈번하다. 내국인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