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2.2℃
  • 맑음강릉 9.6℃
  • 맑음서울 5.9℃
  • 안개대전 6.1℃
  • 박무대구 7.0℃
  • 구름조금울산 9.4℃
  • 맑음광주 8.5℃
  • 구름조금부산 13.6℃
  • 맑음고창 5.2℃
  • 맑음제주 15.2℃
  • 맑음강화 5.6℃
  • 맑음보은 2.3℃
  • 맑음금산 5.1℃
  • 맑음강진군 7.6℃
  • 맑음경주시 5.7℃
  • 구름조금거제 11.3℃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2025년 아파트 입주물량, 22% 감소 "최근 5년간 최저"…잠래아·메이플자이·라그란데 등 입주단지 어디?

총 23만7582세대 입주, 전년대비 22% 감소
2025년 아파트 입주물량 2021년 이후 가장 적어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5년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총 23만7,582세대로 올해(30만4,213세대)보다 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직방(대표 안성우)조사에 따른 것으로, 2021년(23만6,622세대) 이후로 가장 적은 물량이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11만900세대, 지방이 12만6,682세대 입주하며 각각 27%, 17% 감소한다. 수도권은 서울만 입주물량이 증가한다.

 

서울 3만1,334세대로 2024년(2만3,507세대) 대비 33% 많다. 정비사업이 완료된 대규모 단지 위주로 입주가 진행되며 입주물량이 늘어난다. 경기(5만7,475세대)와 인천(2만2,091세대)는 각각 42%, 28%씩 감소한다. 화성, 오산, 파주 등 택지지구 위주로 입주가 이어질 예정이다.

 

지방은 경남, 충북, 충남, 부산, 경북, 대구 등 입주를 시작한다. 한동안 입주물량이 많았던 부산, 대구의 경우 입주물량이 감소하는 한편 충청권, 경남 등지의 입주물량이 증가한다.

 

세부 지역으로 서울은 ▲동대문구 9,522세대 ▲서초구 3,307세대 ▲송파구 3,054세대 ▲성북구 2,840세대 ▲성동구 2,707세대 순으로 입주물량이 많다. 특히, 정비사업이 완료되는 대규모 유망 사업장들의 입주가 계획돼 있어 새 아파트 입성을 노리는 수요자들이 관심 가질 만한 단지가 많다. 총 36개 단지가 입주하고 이 중 대규모 단지(1,000세대 이상)는 9개 단지다.

 

동대문구 이문동 이문3구역을 재개발한 이문아이파크자이가 4,321세대로 가장 큰 규모로 11월에 입주한다.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 3,307세대가 6월에, 송파구 잠실동 잠실래미안아이파크가 12월 입주를 앞두고 있다. 

 

 

경기는 ▲평택 9,368세대 ▲광명 9,346세대 ▲화성 6,617세대 ▲파주 4,945세대 ▲오산 3,876세대 등 순으로 입주물량이 많다. 올해 입주물량이 많았던 지역에서 새 아파트 공급이 이어질 예정이다. 평택은 평택화양휴먼빌퍼스트시티(평택시 화양동) 1,468세대가 8월, 평택석정공원화성파크드림 1,296세대가 7월 입주한다.

 

광명은 정비사업이 끝난 대규모 단지들이 입주를 앞두고 있다. 철산8,9단지를 재건축한 철산자이더헤리티지(광명시 철산동) 3,804세대가 5월, 광명제1R구역을 재개발한 광명동 광명자이더샵포레나 3,585세대가 12월경 입주한다. 인천은 검단신도시, 송도 등지에서 총 31개 단지가 입주한다.

 

지방은 ▲경남 1만 9,237세대 ▲충북 1만 4,810세대 ▲충남 1만 2,710세대 ▲부산 1만 2,101세대 ▲경북 1만 1,595세대 ▲대구 1만 1,134세대 등 순이다. 총 194개 단지가 입주를 앞두고 있고 이 중 30개 단지가 1,000세대 이상의 대규모 단지다. 개별 단지로는 경남 김해시 신문동 김해율하더스카이시티제니스&프라우가 3,764세대로 가장 큰 규모로 2월 입주를 시작한다.

 

대전에서는 서구 용문동 둔산더샵엘리프 2,763세대가 2월 입주 예정이다. 그 밖에 충북 진천교성지구풍림아이원프리니움 2,450세대는 3월에 입주를 앞두고 있다.

 

직방 빅데이터랩실 김은선 실장은 "대출규제 여파와 정국 혼란 등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고조되며 아파트 거래 시장의 분위기가 싸늘한 가운데 당분간 입주시장의 분위기도 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수도권의 경우 2025년 하반기(공고문 상 입주예정월 기준) 이후 입주 단지의 경우 후취담보를 조건으로 한 신축분양 미등기 아파트에 대한 기금대출이 제한되는 등 입주를 앞둔 수분양자의 고심이 깊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랭킹연구소] QS 아시아 대학 순위, 홍콩·중국·싱가포르 상위권·한국 10위권 진입실패…연세대(11위)·고려대(12위)·성균관대(16위)·서울대(17위)·포항공대(18위)·한양대(20위) 順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2026년 영국 고등교육 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한 아시아 대학 순위에서 한국 대학들은 상위 10위권 진입에 실패하며 아시아 학계의 경쟁 심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번 평가는 11월 4일 고려대 안암캠퍼스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기술과 협력' 고등교육 서밋 행사에서 발표됐다. 한국 대학 순위 및 추이 올해 QS 아시아대학 평가에서 국내 대학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곳은 연세대로 11위에 올랐다. 그 뒤를 이어 고려대가 12위, 성균관대 16위, 서울대 17위, 포항공대(POSTECH) 18위, 한양대 20위 등으로 집계됐다. 한편, 연세대는 지난해보다 2계단 하락했고, 한양대도 1계단 떨어진 반면, 고려대와 서울대는 각각 1계단 상승, 포항공대는 4계단이라는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전체 평가 대상 한국 대학 103곳 가운데, 올해 순위가 상승한 곳은 31곳, 유지한 곳은 14곳, 하락한 곳은 53곳이며 나머지 5곳은 올해 처음 평가를 받았다. 아시아 대학 상위권 판도 QS 2026 아시아대학 평가 최상위권은 홍콩, 중국, 싱가포르 대학이 독점했다. 홍콩대(University of

[내궁내정] 켈리, 어디까지 아세요?…에르메스 가방·시몬스 침대·인디애나大 경영대·하이트진로 맥주까지 '고급네이밍의 확장'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켈리’라는 이름은 다양한 분야의 브랜드, 제품, 그리고 기관에서 고급스러움과 명품의 상징처럼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에르메스 켈리백, 시몬스 침대 ‘켈리’ 시리즈, 하이트진로 맥주 ‘켈리’, 그리고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의 ‘켈리 경영대학(Kelley School of Business)’ 등이 주목받고 있다. 켈리 브랜딩 사례와 ‘켈리’란 이름의 유래와 고급스러움의 상징으로 떠오른 이유를 종합적으로 알아봤다. ‘켈리’의 고급스러움과 명품 상징이 된 이유 ‘켈리’가 명품의 상징처럼 쓰이게 된 결정적 계기는 에르메스의 '켈리백' 이후다. 그레이스 켈리라는 이름에서 비롯된 아름다움·우아함·희소성·왕실 이미지가 브랜드 파워를 키

[랭킹연구소] 코스피 4000 시대, ‘1억 이상 큰손 개미’ 52% 급증, 가장 많이 담은 종목은?…삼성전자·SK하이닉스·두산에너빌리티·네이버·한화오션·삼성SDI 順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25년 10월 국내 주식시장에 개인 투자자들의 대형 주문이 크게 늘어나면서 ‘1억원 이상’ 대량 매매 거래가 약 52%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0월 유가증권시장 일평균 개인 1억원 이상 대량 주문 건수는 2만8729건으로, 9월 1만8957건 대비 크게 늘어난 수치다. 이 같은 증가 폭은 2021년 8월 이후 4년 2개월 만에 최대치다.​ 주가 상승을 견인한 코스피 지수는 같은 기간 4000선을 돌파하며 10월 한 달 동안 약 19% 급등했다. 이는 2001년 1월 이후 최대 월간 상승률에 해당한다. 전문가들은 최근의 상승세가 한미 간 관세 협상 기대감과 미국 기술주 강세라는 외부 환경 변화에 힘입은 것으로 보고 있다.​ 가장 주목받는 종목은 삼성전자였다. 10월 한 달간 개인투자자가 낸 1억원 이상 주문이 6만243건으로 집계돼 전체 개인 대량 주문의 최상위권을 차지했다. 삼성전자의 3분기 호실적 공개와 엔비디아와의 AI 반도체 협력 확대 기대가 매수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SK하이닉스도 4만3787건으로 2위 자리를 지켰다. SK하이닉스는 3분기 매출 24조4489억원,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