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맑음동두천 14.4℃
  • 구름많음강릉 15.9℃
  • 구름많음서울 15.5℃
  • 박무대전 14.9℃
  • 구름많음대구 14.0℃
  • 구름많음울산 18.2℃
  • 연무광주 16.7℃
  • 흐림부산 20.1℃
  • 맑음고창 18.2℃
  • 맑음제주 22.5℃
  • 구름조금강화 14.7℃
  • 구름조금보은 13.3℃
  • 구름많음금산 12.1℃
  • 맑음강진군 19.5℃
  • 구름많음경주시 15.4℃
  • 구름많음거제 18.0℃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25년 분양가뭄 속 반포·잠실 로또청약 '눈길'…원페를라·트리니원·반디클·잠실르엘·방포자 '개봉박두'

“시세차익 수억원” 반포·잠실·방배 핵심지에 분상제 아파트 뜬다
올해 전국 분양 예정 물량 14만6130가구
서울 2만1719가구 예정…전년 比 18% ↓ 
분상제 '래미안 원페를라' 2월 3일 특공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전국적으로 분양 가뭄이 예상되는 가운데 서울에서 시세차익만 수억원 예상되는 '로또 청약' 단지가 줄줄이 예정돼 수요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서울 강남권에서도 최고 인기지역인 반포, 방배, 잠실권 분양물량이 예정돼 있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 

 

2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주요 건설사 25곳의 올해 전국 분양 예정 물량은 14만6130가구로 집계됐다. 올해 분양 물량은 전년 22만2173가구보다 34% 감소한 수치다. 이는 글로벌 금융 위기 여파로 물량이 급감했던 2010년 17만2670가구보다 2만6000가구 적다.

 

서울은 전년 2만6484가구 대비 18% 줄은 2만1719가구로 예정돼 청약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해에 이어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돼 수억원의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는 강남권 분양 단지를 위주로 청약 열기가 뜨거울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서초구 방배동 ‘래미안 원페를라’를 비롯해 ‘잠실 르엘’, ‘래미안 트리니원’, ‘반포 디에이치 클래스트’ 등 이른바 로또청약이 예상되는 단지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반포, 방배 지역 아파트는 항상 역대급 경쟁률을 기록하며 84점 청약 만점통장까지 등장할 정도로 수요자들의 워너비 아파트들이다. 1순위 청약에 약 10만명이 몰린 래미안 원펜타스에는 84점 만점 통장이 3개나 나왔고, 디에이치 대치 에델루이도 만점 청약자가 나왔다. 84점은 7인 가구가 최소 15년 무주택으로 버텨야 가능한 점수다.

 

실제로 지난해 7월 진행한 서초구 '래미안 원펜타스'의 청약 경쟁률을 보면 일반공급 178가구 모집에 약 10만명이 몰리며 527대 1이라는 높은 평균 경쟁률을 나타냈다. 이어 8월 강남구 '래미안 레벤투스'는 71가구 모집에 2만8000개의 청약통장이 몰리며 평균 경쟁률 402대 1, 방배 5구역을 재건축하는 '디에이치방배' 1순위 경쟁률은 90.28대 1을 기록했다.

 

올해에는 첫 서울 로또 청약 단지로 시세차익이 최대 7억원 기대되는 서초구 '래미안 원페를라'가 분양에 돌입한다. 이달 17일 입주자 모집공고와 사이버 견본주택을 개관하며 내달 3일 특별공급, 4일 1순위 청약 접수를 받는다. 당첨자 발표는 내달 12일이며 계약체결은 25일부터 3월 2일로 예정됐다.

 

이 단지는 서초구 방배6구역을 재건축해 공급되며 지하 4층~지상 최고 22층, 16개 동, 총 1097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이 중 482가구가 일반 분양 물량이다. 업계에서 예상한 분양가는 지난해 8월 분양한 '디에이치방배'와 비슷한 수준인 3.3㎡당 6500만원 선이다. 단순 계산 시 전용 84㎡의 분양가는 22억원가량으로 인근 단지 대비 최대 약 7억원 저렴한 셈이다.

 

 

상반기 주요 분양단지로는 GS건설이 공급하는 '방배 포레스트 자이'와 롯데건설이 짓는 '잠실 르엘'이 있다. 먼저 방배 포레스트 자이는 방배13구역 재건축 지역에 공급되며 2217가구 중 547가구를 일반 분양할 예정이다.

 

송파구에서는 롯데건설이 잠실 미성크로바를 재건축해 공급하는 '잠실 르엘' 분양이 계획됐다. 최고 35층, 13개 동, 1865가구 중 216가구를 일반에 분양한다. 중대형 면적이 모두 조합원에게 배정돼 소형 평형만 일반분양 물량으로 풀릴 예정이지만, 분상제가 적용돼 6억~9억원 시세차익이 예상된다.

 

지난해 10월 분양한 인근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5409만원이었는데 1순위 청약에서 평균 268.7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바 있다.

 

하반기에는 DL이앤씨가 서초구 서초동에 짓는 '아크로드 서초' 분양이 예정됐다. 이 프로젝트는 지하 4층~지상 35층, 16개 동, 총 1161가구 규모로 조성되며 이 중 236가구를 일반분양한다. 또한 오는 10월 이전에는 포스코이앤씨가 잠원동 신반포21차 재건축 지역에 조성하는 '반포더샵OPUS21'의 분양이 예정됐으며 총 275가구 중 87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반포권에서는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트리니원’(반포3주구·2091가구), ‘반포 디에이치 클래스트’(반포124주구·5002가구)가 공급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반포 최대어로 꼽히는 반포 디에이치 클래스트는 한강변 입지에 국내 아파트 최초 아이스링크장, 오페라하우스 등 고급화된 커뮤니티 시설로 청약 수요가 쏠릴 것이란 관측이다.

 

반포3주구를 재건축하는 '래미안 트리니원'은 학군이 강점이다. 세화고, 세화여고, 세화여중과 인접했다. 2026년 8월 입주 예정인데, 2025년 하반기 공급될 가능성이 크다.

 

강남권 못지않은 입지적 강점과 발전가능성을 지닌 용산구와 동작구 정비사업지도 예상됐다. 용산에선 노른자 입지에 위치한 ‘아세아아파트’ 재건축사업이 일반분양을 기다리고 있고, 동작구에선 ‘써밋 더 힐’(흑석11구역)이 공급될 예정이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2025년에 서초, 송파, 동작 등 서울 도심권 대단지 분양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분양가상한제 적용 단지의 분양가격 경쟁력이나 입지 희소성 등에 따라 수요자들의 관심은 높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고양 창릉·부천 대장·인천 계양·하남 교산·남양주 왕숙 등 3기 신도시를 비롯해 수도권 공공분양도 가격 메리트가 있다는 의견이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3기 신도시 공공분양 8000가구를 포함해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공공분양 1만6000가구 이상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공간사회학] 김남정 동원그룹 회장, 홍정도 중앙그룹 소유 이태원 주택 320억원 현금 매입…"올해 국내 최고가 거래"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에 위치한 고가 단독주택이 국내 부동산 시장에서 올해 단독·다가구주택 매매 중 최고가로 기록됐다. 김남정 동원그룹 회장이 지난 5월 매매계약을 체결한 뒤 5개월만인 10월 28일, 홍정도 중앙그룹 부회장이 보유하던 이태원동 단독주택을 320억원에 전액 현금으로 매입한 것이다. 이 주택의 대지 면적은 약 1104㎡(약 334평), 지하 1층부터 지상 2층까지 320㎡ 규모이며, 토지 평당 약 9582만원에 거래됐다. 이는 이태원 언덕길 일대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이명희 신세계 회장,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 등 재계 인사들의 저택이 밀집한 지역이다.​ 홍정도 부회장은 2021년 3월 해당 단독주택을 약 200억원에 매입했으나 4년 만에 약 120억원의 시세차익을 기록하며 처분했다. 홍 부회장은 현재 중앙그룹 지주사인 중앙홀딩스의 자금난 해소를 위해 수백억원 규모의 사재 출연을 한 바 있으며, 이번 대규모 부동산 매각 자금도 중앙그룹 자금 유입에 기여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중앙홀딩스는 2024년 연결기준 233억원 영업손실과 1172억원 순손실을 기록하며 깊은 재무 압박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총수 일가가

[이슈&논란] "고객의 피같은 돈, 증권사 직원이 빼돌려 도박자금 탕진"…신뢰 무너진 한국투자증권, 반복되는 내부범죄의 민낯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금융시장에서 '신뢰'는 금융기관의 존립 근거이며, 특히 증권업계는 고객 자산의 안전을 담보받는 투명한 내부통제체계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최근 한국투자증권 한 직원이 고객들의 예탁금 수억원을 빼돌려 도박자금으로 탕진한 사실이 드러나며 증권업계 전체의 도덕적 해이가 도마 위에 올랐다.​ 5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 강남지점에서 근무하던 30대 남성 직원이 최소 6~7명의 고객 계좌에서 수억원대 자금을 자신의 계좌로 불법 이체해 빼돌렸다. 사측은 "지점 직원의 횡령 사실을 인지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피해 규모는 현재 집계 중이나, 수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회사는 피해 고객과의 면담과 피해액 산정 후 수사기관 결과에 따른 보상절차를 예고했으나, 이미 빼돌린 자금은 대부분 도박에 탕진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직원은 아내와 동료에게 도박 사실을 고백한 뒤 잠적, 경찰 수사가 진행 중이다.​ 한국투자증권 직원들의 일탈사례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성을 더한다. 2015년에도 한국투자증권 강서지점 직원이 고객들로부터 수년간 약 20억원을 받아 잠적한 사례가 있다. NH투자증권에서는 2015년 고객돈

[랭킹연구소] QS 아시아 대학 순위, 홍콩·중국·싱가포르 상위권·한국 10위권 진입실패…연세대(11위)·고려대(12위)·성균관대(16위)·서울대(17위)·포항공대(18위)·한양대(20위) 順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2026년 영국 고등교육 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한 아시아 대학 순위에서 한국 대학들은 상위 10위권 진입에 실패하며 아시아 학계의 경쟁 심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번 평가는 11월 4일 고려대 안암캠퍼스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기술과 협력' 고등교육 서밋 행사에서 발표됐다. 한국 대학 순위 및 추이 올해 QS 아시아대학 평가에서 국내 대학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곳은 연세대로 11위에 올랐다. 그 뒤를 이어 고려대가 12위, 성균관대 16위, 서울대 17위, 포항공대(POSTECH) 18위, 한양대 20위 등으로 집계됐다. 한편, 연세대는 지난해보다 2계단 하락했고, 한양대도 1계단 떨어진 반면, 고려대와 서울대는 각각 1계단 상승, 포항공대는 4계단이라는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전체 평가 대상 한국 대학 103곳 가운데, 올해 순위가 상승한 곳은 31곳, 유지한 곳은 14곳, 하락한 곳은 53곳이며 나머지 5곳은 올해 처음 평가를 받았다. 아시아 대학 상위권 판도 QS 2026 아시아대학 평가 최상위권은 홍콩, 중국, 싱가포르 대학이 독점했다. 홍콩대(University of

[The Numbers] 국회의원 ‘똘똘한 한 채’ 강남4구 28%·다주택자 40%…내로남불형 부동산정책, 신뢰도 '흔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이재명 정부는 출범 이후 세 차례의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6·27 대책으로 대출 규제를 강화하며 집값 안정 기대를 모았으나, 불과 두 달 뒤 발표한 9·7 대책에 대규모 경기부양 조치가 포함되며 집값 상승세가 나타났다. 이어 한 달 후 발표한 10·15 대책은 규제지역 확대와 주택담보대출 제한을 포함했지만, 국지적땜질식 조치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더불어 규제지역 내 고가 아파트를 고위공직자들이 갭투자 등으로 매입한 사실이 드러나며 ‘내로남불’ 논란까지 확산되었다. 이로 인해 정부 부동산 정책의 진정성과 신뢰성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경실련은 2025년 11월 4일 국회의원 부동산재산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내로남불 논란을 넘어, 신뢰받을 수 있는 부동산 정책 수립을 위해 고위공직자의 실사용 외 부동산 매매 금지 등 입법 필요성을 제기하고,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근본적 부동산 대책을 촉구하는 자리로서 의미를 지닌다. 경실련의 분석 결과, 국회의원 신고 부동산재산 평균은 5억원으로, 국민 평균 4.2억원의 4.68배이다. 상위 10명은 1인당 165.8억원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고, 여기에는 박정 더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