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2℃
  • 맑음강릉 8.9℃
  • 흐림서울 3.2℃
  • 구름조금대전 6.6℃
  • 맑음대구 9.5℃
  • 연무울산 11.2℃
  • 맑음광주 8.7℃
  • 연무부산 13.6℃
  • 구름조금고창 8.0℃
  • 흐림제주 13.5℃
  • 구름많음강화 2.0℃
  • 구름조금보은 5.4℃
  • 구름조금금산 6.7℃
  • 구름조금강진군 9.6℃
  • 맑음경주시 10.6℃
  • 맑음거제 13.4℃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하반기 입주물량 '쏙' "10만323세대, 지난해 동기比 39% 적어"…공급부족 불안감에 '막차수요’ 급증세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5년 하반기에는 총 10만323세대가 입주할 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올해 상반기(14만537세대)보다 29% 적고, 전년 동기간인 2024년 하반기(16만3977세대) 대비 39% 감소한 물량이다.

 

직방(대표 안성우)조사에 따르면,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5만2828세대로, 상반기 대비 12% 적다. 서울 1만4043세대, 경기 3만379세대, 인천 8406세대가 입주한다. 경기는 상반기와 비슷한 물량이 입주하는 한편 서울과 인천은 상반기 대비 각각 20%, 27% 적은 물량이 공급된다.

 

지방은 상반기 대비 물량감소폭이 다소 크다. 총 4만7495세대 입주해 8만215세대 입주한 상반기보다 41% 정도 적다. 한동안 입주물량이 많았던 대전, 경남, 일대 입주물량이 감소할 예정이다.

 

월별로는 7월부터 10월까지는 월간 2만 세대 미만으로 입주물량이 공급되다 11월, 12월에 월간 2만2000여세대가 입주할 예정이다. 특히 11월~12월 동대문, 광명 등 수도권 대규모 단지들의 입주가 예정돼 있어 연말 입주물량이 다소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세부 지역별로 서울은 ▲동대문구 4,169세대 ▲송파구 2,727세대 ▲성동구 1,882세대 ▲강남구 1,584세대 ▲서초구 1,097세대 ▲강동구 670세대 등 순으로 입주물량이 공급된다. 특히 정비사업이 완료된 사업장에서 대단지 입주가 이어진다.

 

동대문구는 이문3구역을 재개발한 이문아이파크자이(4,169세대, 3-2BL제외)가 입주한다. 상반기 휘경자이디센시아 등 동대문구 일대에 새 아파트 입주가 집중됐지만, 신축 선호 흐름 속에 수요가 꾸준히 유입되며 입주장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하반기에도 이 같은 분위기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송파구에서는 잠실래미안아이파크(2,678세대)가 입주를 시작하며, 곧 청약을 앞둔 잠실르엘(2025년 6월 분양예정)과 함께 새로운 대규모 랜드마크 신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외에도 청담르엘(1,261세대), 래미안원페를라(1,097세대) 등 강남·서초 주요 지역에서 고급 신축 단지의 입주가 예정돼 있어, 정비사업을 통한 주거지 고급화 흐름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경기는 ▲평택 6,949세대 ▲광명 5,542세대 ▲화성 3,319세대 ▲고양시 일산동구 2,090세대 ▲ 오산 1,724세대 등에서 새 아파트가 입주한다. 평택은 평택화양휴먼빌퍼스트시티, 고덕국제신도시미래도파밀리에 등 7개 단지의 입주가 진행된다. 광명은 광명자이더샵포레나(3,585세대), 광명센트럴아이파크(1,957세대)가 입주한다. 두 단지 모두 재개발 사업이 완료된 사업장이다.

 

인천 입주물량은 ▲서구 2,944세대 ▲계양구 1,683세대 ▲미추홀구 1,321세대 ▲연수구 1,319세대 등 순이다. 검단신도시금강펜테리움3차센트럴파크(1,049세대), 청라국제도시아이파크(1,020세대) 등 택지지구 및 정비사업이 완료된 사업장에서 10개 단지의 입주가 진행된다.

 

 

지방은 ▲대구 7,467세대 ▲충북 7,063세대 ▲충남 5,430세대 ▲전북 4,838세대 ▲경북 4,647세대 ▲강원 4,606세대 ▲ 경남 4,466세대 등 순으로 입주물량이 많다. 대구는 두류역자이(1,300세대), 상인푸르지오센터파크(990세대) 등 14개 단지가 입주한다. 충북은 음성자이센트럴시티(1,505세대), 음성우미린풀하우스(1,019세대) 등 음성, 청주, 제천에서 새 아파트 입주가 진행된다.

 

공급 부족에 대한 불안감이 이어지는 가운데, 7월 DSR 규제 강화 전 ‘막차 수요’까지 유입되며 6월 서울 아파트값은 단기적으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하반기 입주물량 감소는 전세시장 뿐 아니라 매매시장에도 일정한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지역별로는 입주 시점이 분산돼 있고, 월별로 공급이 집중되는 구간도 있어 전세 수급 조정이나 가격 흐름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연말에는 동대문, 광명 등 수도권 주요 지역에서 대단지 입주가 예정돼 있는 만큼, 이러한 공급 흐름이 시장 심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

 

실제로 2024년 11월 입주한 송파구 ‘올림픽파크포레온’(1만2,032세대)의 경우, 전세 수요가 빠르게 유입되며 대규모 입주에도 별다른 시장 충격 없이 안정적으로 흡수된 바 있다. 이번 하반기 역시 공급 감소가 단순한 리스크로만 작용하기보다는, 지역별 수요 탄력과 시장 흐름에 따라 차별화된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유진홈센터, ‘에이스하드웨어 PL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 공식 획득…세계 70개국 에이스하드웨어 파트너 중 최초 획득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유진그룹(회장 유경선) 계열 유진홈센터(대표이사 유순태)가 미국 에이스하드웨어(Ace Hardware) 본사로부터 PL(Private Label, 자체상표)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을 공식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전 세계 70여 개국의 에이스하드웨어 파트너 가운데 PL 브랜드 자체 개발 권한을 부여받은 것은 유진홈센터가 최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유진홈센터는 에이스하드웨어 브랜드 제품을 기획, 생산, 유통하는 글로벌 파트너십 모델을 구축하게 됐다. 양사는 에이스하드웨어 PL 상품을 공동으로 개발해 에이스하드웨어 매장뿐 아니라 국내 도매 채널까지 공급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데일 페넬(Dale Fennel) 에이스 인터내셔널(ACE International) 사장은 유진홈센터의 뛰어난 브랜드 개발 역량과 포트폴리오 전략 수립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유진홈센터의 공구부터 라이프스타일에 이르는 전 제품군의 높은 기획 수준을 언급하며, 향후 ACE와 유진홈센터 간의 협력 관계 발전에 대한 기대를 내비쳤다. 특히 유진홈센터의 자체 브랜드 ‘SEE’에 대해선 “누구나 구매하고 싶을 정도로 상품력이 뛰어나다”는 의견을 전달하며 높은

[The Numbers] DSR·LTV도 대감집 머슴에게 '딴세상'…사내대출, ‘부동산 규제 우회 통로’로 급부상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국내 대기업과 공공기관들이 운영하는 사내대출 제도가 ‘부동산 규제 우회 통로’로 급부상하고 있다. 시중은행 가계대출 규제가 한층 강화되면서, 삼성, 현대차, 네이버, 카카오, SK하이닉스, 두나무 등 유수의 기업들은 직원 복지 수단으로 사내대출 한도와 금리를 대폭 상향·인하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두나무는 최근 집값 안정 대책에도 불구, 사내대출 한도를 기존 3억원에서 5억원으로 늘리고 금리 역시 무이자에 가깝게 운용해 ‘역대급 복지’ 논란의 중심에 섰다.​​ DSR·LTV 적용 없는 사내대출, 실제 규모 5년 새 63% 급증 사내대출이 ‘근로복지기금’으로 취급된다는 사실은 돈줄이 막힌 실수요자들에게 큰 매력이다. 회사가 직접 대출을 시행할 경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나 LTV(주택담보인정비율) 등 금융권 규제와 관계없이 한도 산정이 자유롭고, 신용점수에도 영향이 없다. 실제 2020년 연간 대출액은 2조원대에서 2023년 3조392억원까지 63%나 늘었고, 공공기관을 포함한 상위 7개 기관의 사내대출 잔액도 최근 5년간 500억원 이상 증가했다.​ 국내 대표적인 사내복지가 우수한 회사별 사내대출 한도와 금리는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