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피자 배달로 드러난 美 군사작전? ‘펜타곤 피자 리포트’ 또 적중…美 국방부 ‘사실과 달라’ 반박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워싱턴DC 국방부(펜타곤) 인근 피자 가게의 주문량 데이터를 분석해 군사적 움직임을 예측하는 SNS 계정 ‘펜타곤 피자 리포트(Pentagon Pizza Report)’가 또 한 번 국제적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이 계정은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직전, 펜타곤 주변 피자 주문량이 급증한 사실을 실시간으로 포착해 “위기 신호”를 알렸고, 약 1시간 뒤 실제로 테헤란에서 대규모 폭발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그 정밀도가 다시 화제가 되고 있다.

 

“오후 6시 59분, 피자 주문 폭증”…1시간 뒤 이란 공습


6월 13일(현지시간) ‘펜타곤 피자 리포트’ 계정은 “오후 6시 59분(동부 기준) 펜타곤 주변 거의 모든 피자 가게에서 주문이 급증했다”는 게시글을 올렸다.

 

실제로 도미노피자(Domino’s), 디스트릿트 피자 팰리스(District Pizza Palace), 익스트림 피자(Extreme Pizza) 등 주요 피자 체인점의 실시간 주문량이 평소 대비 급증하는 모습이 구글 지도와 배달앱 데이터를 통해 포착됐다.

 

이 데이터급증 약 1시간 뒤, 이란 국영TV는 테헤란에서 대규모 폭발이 발생했다고 보도했다.

 

이 계정은 “야간 근무가 많아질수록 피자 주문량이 눈에 띄게 늘어나는데, 이는 보통 전 세계 안보 상황과 맞물려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2024년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등 과거 주요 군사작전 직전에도 펜타곤 인근 피자 주문량이 급증한 사례가 반복적으로 관측돼 왔다.

 

 

‘펜타곤 피자 이론’의 기원과 확산


이른바 ‘펜타곤 피자 이론’은 냉전 시절 소련 정보기관이 워싱턴DC 내 피자 배달량을 감시하며 위기 상황을 예측하려 했던 데서 비롯된 것으로 전해진다.

 

1990년 8월 1일, CIA가 하루에 21판의 피자를 주문한 직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이 발생했다는 일화는 지금도 언론과 정보분석가들 사이에서 회자된다. 최근에는 구글 지도, 배달앱 등 오픈소스 데이터를 활용한 ‘OSINT(공개정보정보)’ 분석이 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되며, ‘펜타곤 피자 리포트’ 계정이 대표적 사례로 자리잡았다.

 

“피자만 먹는 거 아니다”…美국방부의 공식 반박


이 같은 분석에 대해 미 국방부는 즉각 반박에 나섰다. 국방부 대변인은 “펜타곤 내에는 피자뿐 아니라 초밥, 샌드위치, 도넛, 커피 등 다양한 식사가 제공되고 있다”며 “피자 주문량이 군사작전과 직접 연관됐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실제로 펜타곤 내에는 다양한 식당과 카페가 입점해 있어, 피자 주문량만으로 군사 동향을 예단하는 것은 무리라는 입장이다.

 

“단순한 우연일까, 의미 있는 신호일까”


전문가들은 피자 주문량 급증이 반드시 군사작전과 1대1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한다. 회식, 야근, 인근 행사 등 다양한 요인으로도 주문량이 늘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복수의 징후가 동시에 포착될 때, 피자 주문량 증가는 군사적 긴장 고조의 하나의 신호로 참고할 만하다”는 분석도 있다.

 

‘펜타곤 피자 리포트’의 사례는 디지털 시대 오픈소스 정보(OSINT)가 실제 군사·외교 현장에서 의미 있는 신호로 작동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단일 지표에만 의존한 과도한 해석은 경계해야 한다는 점에서, 피자 한 판에 담긴 정보와 그 한계 모두를 냉정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MIT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 예측 틀렸다" 확인…아인슈타인-보어 ‘빛의 이중성’ 논란, 100년 만에 마침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물리학자들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 사이에서 거의 한 세기 동안 이어져 온 빛의 근본적 성질에 관한 논쟁을 해결했으며,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의 예측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했다. 2025년 7월, MIT 물리학자들이 발표한 역사적인 연구가 100년 가까이 이어진 ‘빛의 양자 이중성’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 연구는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됐다. 또 빛의 파동성과 입자성에 관한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에 결정적인 해답을 제시했다. 1927년 아인슈타인은 “광자가 슬릿을 통과하며 나뭇가지를 스치는 새처럼 미세한 흔적을 남길 수 있다면, 우리는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닐스 보어는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에 근거해 “광자의 경로를 측정하려는 모든 시도는 파동 간섭 무늬 자체를 파괴한다”고 반박했다. MIT 연구진의 실험은 보어의 주장이 옳았음을 현대 양자역학의 가장 정밀한 방식으로 증명했다. MIT는 1만개 이상의 초저온 원자를(섭씨 -273.15도 바로 위인 마이크

[빅테크칼럼] 美 CEO "정리해고를 AI 성공의 증거·AI가 해고 합리화 명분"…도덕적 부담에서 전략적 이점으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AI가 촉발한 대규모 정리해고가 ‘위기 신호’에서 ‘경영 성과’로 탈바꿈하며 2025년 미국 기업 고용문화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CEO들이 인력 감축을 더 이상 조직의 위기 신호로 숨기지 않고, 오히려 AI 성공과 효율화의 지표로 짜임새 있게 포장해 주주와 투자자들에게 공개적으로 과시하는 새로운 트렌드가 자리 잡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과 CNBC 등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미국 대기업 경영진들은 정기 실적 발표에서 “AI 투자에 따른 생산성 혁신”과 “고효율 경영 체계”를 강조하며, 전례 없는 속도의 인력 감축 데이터를 동반해 이를 ‘전략적 성취’로 내세우고 있다. 웰스파고·뱅크오브아메리카·버라이즌…“효율 우선, headcount는 줄일수록 좋다” 웰스파고(CEO 찰리 샤프)는 최근 5년 만에 직원 수를 23% 줄였고, 20분기 연속 감축 행진을 이어갔다. 2024년 6월 기준 직원은 22만2544명으로, 2023년 대비 약 3300명, 2019년 이후로는 약 6만7000명 감축됐다. 웰스파고 샤프 CEO는 “자연 감원을 ‘우리의 친구로’ 삼아, AI 기반 솔루션 도입으로 인건비를 대폭 절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뱅크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