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6.6℃
  • 맑음강릉 13.2℃
  • 맑음서울 9.6℃
  • 구름조금대전 7.9℃
  • 흐림대구 8.9℃
  • 흐림울산 10.9℃
  • 흐림광주 10.0℃
  • 흐림부산 14.4℃
  • 흐림고창 7.3℃
  • 흐림제주 15.1℃
  • 맑음강화 5.5℃
  • 구름많음보은 5.1℃
  • 구름많음금산 6.0℃
  • 흐림강진군 9.2℃
  • 흐림경주시 8.2℃
  • 흐림거제 11.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테슬라, 완전자율주행 FSD 한국 상륙 임박…안전성·제도적 도전 맞닥뜨리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가 감독형 완전자율주행(FSD: Full Self-Driving) 시스템을 한국 시장에 곧 공식 출시할 예정이라고 2025년 11월 12일 밝혔다. 이는 테슬라가 아시아에서 한국을 첫 번째 FSD 상용화 국가로 선택한 것으로, 국내 자율주행 시장에 새로운 파장이 예상된다.​

 

해외매체와 NHTSA Reports, Tesla Safety Report에 따르면, 테슬라코리아는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서울 도심에서 FSD 감독형 시스템으로 주행 시험하는 영상을 공개하며, “FSD 감독형, 다음 목적지는 한국. 곧 출시”라고 발표했다. 공개된 영상에서는 차량이 자율적으로 목적지까지 운전하며 차선 변경, 주차까지 사람 개입 없이 수행하는 모습이 담겼다.​

 

현재 한국 도로교통법은 자율주행 기술을 레벨 2까지만 허용하고 있어, FSD의 완전한 기능을 활용하는 데는 규제라는 벽이 존재한다. 예컨대, 운전자가 손을 완전히 떼고 차선 변경, 교차로 판단을 차가 스스로 하는 기능은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또한, 자율주행차량의 영상·위치 데이터가 해외로 반출되는 것도 불가해 테슬라의 미국 서버 기반 AI 학습과 충돌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제도적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해 테슬라는 정부 및 정치권 출신 대관 인력과 사이버 보안, 보험 전문가를 대거 영입해 지도 데이터, 임시운행허가, 데이터 유출 위험 대응, 자율주행차 전용 보험 개발 등 다각적인 준비에 착수했다. 이번 FSD 국내 도입은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자율주행 규제 완화 정책과 맞물려 제도적 장벽이 낮아지는 시점에 맞춰진 전략적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안전성 문제가 글로벌 논란으로 부상하며 국내 출시에도 미묘한 긴장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2025년 10월부터 약 290만 대의 테슬라 FSD 차량을 대상으로 전면 조사를 진행 중이며, 58건 이상의 법규 위반 및 14건의 교통사고가 보고되었다. 특히 신호 위반, 중앙선 침범, 적신호 무시, 회전 차로에서 직진하는 등 사람의 예측을 벗어난 운전 판단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하지만 테슬라가 공개한 자체 통계에 따르면, FSD는 약 53억 마일(약 85억 km) 주행 중 55건의 위반을 기록해 미국 평균 운전자 대비 200배 이상 안전하다는 주장도 있다. 미국 일반 운전자의 평균 충돌 발생 거리는 약 70만 마일(112만 km)에 불과하다. 다만 이는 FSD가 여전히 운전자 감독 하에 이루어지는 점에서 어느 정도 제한적인 통계라는 분석도 존재한다.​

 

한국 완성차 업계에서는 테슬라의 FSD 기술이 이론적으로는 레벨 3 이상에 부합하지만, 국내 도로 환경과 교통 인프라가 이를 완벽히 수용할 준비가 미흡하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당분간은 시범운행 및 규제 샌드박스와 같은 제한적 도입이 예상되며, 안전성 검증이 과제로 남아 있다.​

 

더불어 한국 내 판매 중인 테슬라는 대부분 중국 상하이 공장에서 생산된 모델로, 미국 생산차에 비해 별도의 국내 안전규정 추가 적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미국 생산 차량은 한미 FTA에 따라 미국 안전기준으로 국내 수입 가능해 비교적 빠른 FSD 도입이 가능할 전망이다.​

 

결국 테슬라의 완전자율주행 FSD 국내 출시 시점은 기술적 완성도와 안전성 논란, 국내 규제 완화 정책, 그리고 지역 특화 도로 환경 적응이 복합적으로 맞물려 결정될 전망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한국 도로 환경에 맞는 철저한 성능 평가와 안전성 검증 없이는 상용화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5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중국 AI 모델이 글로벌 표준이 될 수 있다" 에릭 슈미트 前 구글 CEO 경고…"우수성 아닌 무료 때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에릭 슈미트 전 구글 CEO가 최근 공개한 팟캐스트 인터뷰에서 중국의 오픈소스 AI 모델들이 우수한 품질 때문이 아닌 비용 부담이 적기 때문에 전 세계에서 표준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그는 특히 서방 국가들이 주로 폐쇄형(closed-source) AI 모델에 투자하는 반면, 중국은 장대한 오픈소스 AI 생태계를 구축해 많은 국가들이 무료로 접근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타임스오브인디아, 비즈니스인사이더, 마켓코리아, 블룸버그, SCMP에 따르면, 슈미트는 “미국과 서구권은 대형 AI 모델을 폐쇄형으로 운영하며 상당한 비용이 든다. 반면 중국은 최대 AI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급하며 이들은 무료다. 자금력이 부족한 다수 국가들은 품질이 아닌 가격 때문에 중국 모델을 채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운로드 수로 드러난 중국 AI 생태계 성장 중국 알리바바의 대표 AI 모델인 Qwen 시리즈는 개발자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서 올해 누적 다운로드 3억8530만건을 기록하며 메타의 Llama(3억4620만건)를 앞섰다. 현재 허깅페이스에서 중국산 파생 언어모델이 전체 신규 모델의 40% 이상을 차지하며, 메

[빅테크칼럼] AI 투자 열풍에 빅테크, 사상 최대 930억 달러 채권 발행…"인프라 붐과 시장 불안 동반"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올해 아마존, 알파벳,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등 다섯 대형 빅테크 기업이 총 930억 달러 규모의 회사채를 발행해, 지난 3년간 채권 발행액을 단숨에 뛰어넘는 기록을 세웠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무디스, JP모건,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는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센터 인프라 구축에 대한 투자 확대에 따른 것으로, 자본 조달을 위한 채권 발행이 채권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메타가 10월 말 300억 달러의 회사채를 발행하며 올해 미국에서 가장 큰 고등급 회사채 발행 기록을 세웠고, 알파벳은 11월 초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총 250억 달러를 조달했다. 오라클 역시 9월에 180억 달러 규모의 채권을 발행해 AI 인프라 구축과 데이터 센터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했다. 이러한 대규모 채권 발행은 무디스 수석 신용 담당자인 에밀 엘 넴스가 언급한 바와 같이 "AI 컴퓨팅 수요 증가에 따른 용량 제약에 대응하기 위한 명확한 추세"로 분석된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데이터에 따르면 9월과 10월 두 달 간에만 750억 달러의 AI 관련 부채가 새로 발행됐으며, 이는 과거 10년간 연평균 발행액의 두 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