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1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AI 전쟁 새 국면? 리사 수·샘 올트먼 '깜짝 포옹'…AMD, '엔비디아 독주체제'에 도전하며 오픈AI 연대로 '반격'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AMD가 6월 12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린 연례 콘퍼런스 '어드밴싱 AI 2025'에서 AI 반도체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 신형 AI 가속기 MI350X 시리즈를 전격 공개했다.

 

이날 행사에는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가 무대에 깜짝 등장해 리사 수 AMD CEO와 포옹하며, 엔비디아 독주 체제에 정면 도전하는 'AMD-오픈AI 연대'를 공식화했다.

 

오픈AI와의 밀착 협력…AMD, '엔비디아 대안' 본격 선언


리사 수 CEO는 "오픈AI는 칩 설계 초기부터 매우 중대한 피드백을 준 특별한 고객"이라며, 샘 올트먼 CEO와의 협력을 강조했다. 올트먼 CEO 역시 "AMD는 우리가 제안한 유연한 설계 요구를 진지하게 반영했다"며, MI350X 시리즈와 차기 MI400X 개발에 오픈AI가 적극 참여하고 있음을 밝혔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최적화, 그리고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긴밀한 협력관계가 확인된 셈이다.

 

MI350X, 추론 성능 35배↑…삼성·마이크론 HBM3E 공식 채택

 

AMD가 이번에 공개한 MI350X 시리즈는 전 세대 대비 추론 성능이 35배 향상됐으며, 288GB 용량의 12단 HBM3E(고대역폭메모리)를 탑재했다. 이 메모리는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이 공급하며, 삼성의 경우 MI350X·MI355X에 HBM3E를 공식 납품하는 것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이는 엔비디아 품질 인증 지연으로 주춤했던 삼성전자 HBM 사업에 반전의 계기를 제공했다는 평가다.

 

 

'오픈 생태계' 전략…엔비디아 쿠다·NV링크에 정면 도전

 

리사 수 CEO는 "AMD는 강력한 하드웨어와 더불어 개방형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오픈 생태계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며, 엔비디아의 폐쇄적 AI 소프트웨어 플랫폼 쿠다(CUDA)와 독자 GPU 연결 기술 NV링크를 겨냥했다. AMD는 반도체 업계가 공동 표준으로 추진 중인 GPU 간 통신 기술 'UA링크' 로드맵도 공개하며 '반(反) 엔비디아' 진영의 수장임을 자임했다.

 

MI400X, 내년 출시…432GB HBM4·40PF 연산력 예고


AMD는 내년 출시할 MI400X 시리즈에 432GB HBM4(6세대)를 탑재하고, 최대 40PF(페타플롭스)의 연산력을 구현할 계획임을 밝혔다. MI400X는 서버랙 단위의 '헬리오스' 플랫폼으로도 제공돼, AI 인프라 시장에서 엔비디아와의 본격적인 경쟁이 예고된다.

 

샘 올트먼 "AI 발전, 2030년까지 지속…AMD와 협력 기대"


올트먼 CEO는 "AI 발전 속도가 2030년까지 유지될 것"이라며, "새로운 과학적 발견과 복잡한 AI 기능 구현을 위해 AMD와의 협력에 큰 기대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오픈AI는 엔비디아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AMD 칩 도입을 공식화했고, 실제로 MS, 메타, 오라클, 코히어 등 주요 AI·클라우드 기업과의 협력도 대거 공개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삼성전자, 일론 머스크 xAI 맞춤형 AI 칩 제조 협상중…테슬라 성공 발판·AI 실리콘 시장 선점 노린다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와 맞춤형 AI 칩 제조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논의는 삼성전자가 테슬라와 체결한 165억 달러 규모의 AI6 칩 생산 계약의 성공을 바탕으로 한 행보로, 한국 파운드리 사업의 실적 반등과 글로벌 AI 칩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계약은 머스크가 지난 7월 발표한 테슬라 AI6 칩 생산을 위한 165억 달러, 2033년까지 장기간 협력 계약과 같은 맥락에서 삼성의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에서 진행된다. AI6 칩은 성능은 12%, 전력 효율은 25%, 칩 면적은 8% 개선된 삼성의 2nm SF2 공정으로 생산되며, 테슬라의 첨단 자율주행 시스템, 옵티머스 휴머노이드 로봇, 대형 AI 연산 인프라에 탑재될 예정이다. 머스크는 "165억 달러는 시작일 뿐, 실제 생산 규모와 매출은 이보다 훨씬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xAI와의 협상은 맞춤형 AI 칩에 대한 업계 전반의 선호 증가 추세와도 맞물린다. 최근 AI 클라우드, 대규모 모델 연산 등에 특화된 ASIC(주문형 반도체)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

[랭킹연구소] 국내기업 AI 경쟁력 순위 TOP10…삼성·네이버·LG·크래프톤·KT·쿠팡·현대차·삼성SDS·SKT·스트라드비젼 順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삼성전자가 국내 기업 중 AI(인공지능) 관련 특허, 논문, 인력 등 전 부문에서 압도적인 성과를 보이며, 독보적인 AI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에 이어 네이버와 LG도 AI와 관련한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들 국내 기업들도 구글·MS 등 글로벌 빅테크와 비교해서는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나, 개별 기업은 물론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와 정책지원 등이 절실한 실정이다. 10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국내 AI 관련 특허와 논문 실적 상위 191개 기업을 대상으로 AI 경쟁력을 종합 평가한 결과, 삼성전자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범국가적으로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프로젝트들이 전개되는 상황에서 국내 주요 기업의 AI 경쟁력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마련됐다. CEO스코어에서는 주요 기업의 ▲기술력(특허 피인용) ▲특허 활동(특허 등록 수) ▲학술 활동(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 ▲연구 영향력(논문 인용 수) ▲AI 기술인력 ▲AI 전공인력 등 총 6개 부문으로 나누어, 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