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샘 올트먼, ‘챗닷컴’ 도메인 200억원 인수…오픈AI, 챗GPT 사업 본격화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1500만달러(약 208억원) 규모의 오픈AI 주식을 대가로 챗닷컴(chat.com) 도메인을 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6일(현지시간)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자신의 X에 별다른 설명 없이 chat.com이라는 도메인 주소를 게시했다. 이를 클릭하면 챗GPT 공식 홈페이지인 chatgpt.com으로 연결된다.

 

IT 전문매체인 더 버지, 테크크런치 등에 따르면 챗닷컴 도메인(온라인 주소)은 마케팅 소프트웨어 기업인 허브스팟의 설립자이자 최고기술책임자(CTO)인 다르메시 샤가 소유하고 있었다. 그는 2023년 초 ‘chat.com’을 1550만 달러에 매수했다고 밝혔다. 몇 달 후 그는 이 도메인을 타인에게 매각했다고 발표했지만, 매각 가격이나 구매자를 따로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올트먼이 1년 만에 자신이 당시 도메인의 구매자였다는 점을 직접 밝힌 것으로 보인다. 빅테크 업계는 대화형 챗봇 사업 모델이 인기를 끌면서 생성형AI의 대표주자, 챗GPT의 아버지인 샘 올트먼이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인 ‘chat.com’을 챗GPT의 주소로 선정했다고 분석했다.

 

다르메시 샤는 7일 올트먼의 게시물에 답글로 “나는 10년 이상 샘을 알아왔고, 친구들로부터 이익을 얻는 걸 싫어한다”며 “손해 없이 이 도메인을 팔았지만, 나는 현금이 필요하지 않은 사람이며 쭉 오픈AI의 주식을 소유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즉 샤는 이 도메인을 현금 거래하지 않고, 오픈AI 주식과 바꾼 것으로 보인다. 그가 손해를 보지 않았다고 밝힌 만큼, 샤는 적어도 1550만달러 이상에 맞먹는 오픈AI 주식을 얻은 것으로 추정된다.

 

더 버지는 “챗GPT에서 ‘GPT’를 없앤 것은 최근 오픈AI의 리브랜딩 노력과 일치한다”며 “지난 9월 이 회사는 o1라는 새로운 AI모델을 발표했는데, 이 모델의 이름에서도 기존 ‘GPT’가 사라졌었다”고 보도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머스크, 오픈AI 인수 위해 저커버그에 자금지원 요청…AI 지배권 놓고 벌이는 "적과 동지의 냉혹한 현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970억 달러 규모의 오픈AI 인수 자금 마련을 위해 메타의 CEO 마크 저커버그에게 재정적 지원을 요청했던 사실이 알려졌다. CNBC, 로이터, 테크크런치 등 주요 해외 언론과 법원 서류에 따르면, 이같은 사실이 법원 제출 서류를 통해 공개되면서 AI 산업의 권력 다툼이 한층 격화되고 있다. 이번 소송과 관련한 법원 기록에 따르면, 머스크는 저커버그와 “잠재적인 금융 협약이나 투자”에 관해 논의했으나, 최종적으로 메타나 저커버그는 머스크의 인수 의향서에 서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머스크와 저커버그의 협력 가능성은 AI 업계 내 양대 거물 사이의 경합 구도를 극명히 보여준다. 메타는 자사 AI 역량 강화를 위해 140억 달러 규모로 스케일AI에 투자하고, 오픈AI 핵심 인재인 챗GPT 공동개발자 셩자오(Shengjia Zhao)를 수석 과학자로 영입하는 등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셩자오는 메타의 최첨단 AI 연구소 ‘슈퍼인텔리전스 랩’의 책임자로서 저커버그와 직접 협업 중이며, 메타는 AI 인프라에 수백억 달러를 투입할 계획을 밝혔다. 머스크가 970억 달러 인수를 제안한 시점은 오픈AI가 소프트뱅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