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초고에너지 우주 중성미자, 에너지 한계 경신…220 페타전자볼트 과학계 '신기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기록적인 우주 중성미자가 에너지 한계를 깨뜨렸다. 


2023년 2월 13일, 지중해 심해에 설치된 KM3NeT 중성미자 관측소가 우주에서 온 중성미자 중 역대 최고 에너지인 약 220 페타전자볼트(PeV, 220경 전자볼트)의 신호를 포착하면서 과학계에 신기원을 열었다.

 

KM3NeT 공식 보도자료, Nature 논문, Max Planck 연구기관, 하버드대 연구 소개, 암스테르담대 보도자료, Science News, IceCube 관련 연구, Physics World, TNO 보도 등에 따르면, 이번 중성미자 사건은 KM3-230213A로 명명됐으며, 이 신호는 기존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의 입자 빔보다 약 10만배 이상 높은 에너지 수준으로, 이전에 탐지된 어떤 중성미자보다 약 20배나 더 강력하다.

 

이 중성미자가 생성한 뮤온은 KM3NeT 검출기 전 구간을 통과하며 2만8000개가 넘는 광자 검출을 유발했고, 이로 인해 시설 내 광전자증배관 중 25%가 포화될 정도로 막대한 빛이 감지됐다. 뮤온 본인의 에너지는 120 PeV에 달했으며, 이는 원래 중성미자의 에너지가 220 PeV임을 간접적으로 증명한다.

 

이번 발견은 KM3NeT가 계획 용량의 10분의 1만 가동 중이던 상황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향후 관측소가 완전 가동될 경우 천체 중성미자 연구에 엄청난 발전 가능성을 시사한다. 실제로 이번 성과는 2년여에 걸친 엄밀한 데이터 분석과 검증을 거쳐 2025년 2월 네이처에 공식 발표됐다.

 

중성미자는 우주 공간을 거의 굴절 없이 통과할 수 있어 극한 우주 현상을 탐사하는 독특한 메시지 전달자로 여겨진다. 하지만 KM3-230213A의 발생 배경은 아직 밝혀지지 않아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현재까지 해당 방향에서 전자기적 신호나 알려진 천체 물리학적 근원이 확인되지 않았다.

 

남극의 아이스큐브(IceCube) 중성미자 관측소의 수석 연구자 프랜시스 할젠은 “이 탐지는 10년간의 아이스큐브 운영 역사에서 전례 없는 행운 같은 사건”이라 평가했다. 이번 발견은 KM3NeT와 아이스큐브 간 왜 이 같은 극한 에너지 중성미자의 관측 차이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과학적 논의와 연구를 촉진시키고 있다.

 

현재 가능한 기원으로는 초고에너지 우주선이 우주 배경 복사와 상호작용으로 생성되는 코스모제닉 중성미자, 초대질량 블랙홀에서 발생하는 활동은하핵(AGN), 또는 암흑물질 붕괴 및 원시 블랙홀과의 연관성 등이 제기되고 있다. 중성미자 천문학자들은 이번 탐지가 “표준모형을 넘어설 새로운 물리학의 문을 열 수도 있다”고 평가한다.

 

향후 KM3NeT와 국내외 여러 중성미자 관측소가 계속 확장 및 고도화됨에 따라 더 많은 초고에너지 중성미자 사건의 탐지와 정밀 분석이 기대된다. 이번 KM3-230213A 사건은 우주 가장 고에너지 현상 탐사에 새로운 장을 열었으며, 우주 입자물리학 및 천체물리학 분야에서 중대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빌 게이츠, 3년 만에 방한…‘275조원 백신 프로젝트’로 K-바이오와 글로벌 공익 동행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공동 창업자이자 세계적 자선가인 빌 게이츠가 오는 8월 21일, 3년 만에 한국을 다시 찾는다. 이번 방한의 핵심 목적은 빌앤드멀린다게이츠재단을 통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과의 글로벌 백신 협력 확대에 있다. 게이츠 재단은 지난 20여년간 저소득 국가 백신 공급 및 의료 시스템 강화에 집중해 온 인류애적 모델이다. 게이츠 이사장은 방한 기간 중 국회, 정부 및 주요 바이오기업 등과 세부 일정을 조율하며, 한국의 백신·의료 플랫폼을 활용한 개발도상국 지원 방안을 논의할 전망이다. 대표적 협력 후보로는 SK바이오사이언스, LG화학, SD바이오센서, 유바이오로직스 등이 꼽히며, 보건복지부와 국립보건연구원도 글로벌헬스 부문 관계자와 협력을 논의할 계획이다. 특히 게이츠 재단은 2000년 GAVI(세계백신면역연합) 설립을 주도, 2023년 기준으로 1.1억명의 아동에게 백신을 보급해 세계 5세 미만 사망률을 23년 만에 절반 이하로 줄였다. 게이츠가 내건 ‘마이크로니들 백신 전달·자가투여형 백신 개발’은 냉장 유통망과 전문인력 없이도 빈곤국에 백신을 대량 보급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K-바이오의 기술력과 글로벌 인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