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1 (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빅테크

오픈AI ‘소라’ 영상 생성 AI, MS ‘빙’에서 무료 개방…AI 영상 대중화 '신호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오픈AI의 동영상 생성 인공지능(AI) 모델 ‘소라(Sora)’를 자사 검색엔진 ‘빙(Bing)’ 앱에 통합, 누구나 무료로 AI 영상을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기존에는 유료 챗GPT 플러스(월 20달러)나 프로(월 200달러) 구독자만 사용할 수 있었던 소라가, 빙 앱을 통해 전 세계 일반 사용자에게도 개방된 것이다.

 

빙 비디오 크리에이터, “텍스트만 입력하면 5초짜리 AI 영상 완성”

 

MS는 6월 2일(현지시간) 공식 발표를 통해 빙 앱에 ‘빙 비디오 크리에이터(Bing Video Creator)’ 기능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사용자는 MS 계정으로 로그인만 하면, 텍스트 프롬프트를 입력해 최대 10개의 동영상을 무료로 생성할 수 있다. 이후에는 영상 1개당 100 마이크로소프트 리워드 포인트를 사용해야 하며, 포인트는 빙 검색이나 MS스토어 구매 등으로 적립할 수 있다.

 

한 번에 최대 3개의 5초짜리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현재는 9:16(세로) 비율만 지원하지만, 조만간 16:9(가로) 비율도 제공될 예정이다. 생성된 영상은 빙 앱에서 90일간 저장되며, 다운로드 및 외부 공유도 가능하다.

 

AI 영상 제작, 누구나 손쉽게…“상상력만 있으면 OK”

 

빙 비디오 크리에이터는 오픈AI ‘소라’의 텍스트-투-비디오(T2V)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묘사한 장면이나 상황을 5초 분량의 짧은 영상으로 자동 생성한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빙 앱 하단 메뉴에서 ‘비디오 크리에이터’를 선택하거나, 검색창에 “Create a video of…”로 시작하는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된다. 프롬프트에 인물, 배경, 동작, 감정, 카메라 앵글 등 구체적 묘사를 추가할수록 영상 품질이 높아진다.

 

MS는 “특별한 순간, 스토리텔링, 소셜미디어 콘텐츠,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며 “AI 영상 제작의 대중화와 창의력 민주화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품질과 한계, 그리고 책임 있는 AI


현재 소라 기반 빙 비디오 크리에이터로 생성되는 영상은 5초 분량의 짧은 클립이며, 품질은 구글 Veo 3 등 경쟁 모델 대비 다소 단순하거나 캐릭터 움직임이 어색할 수 있다. MS는 오픈AI의 기존 소라 안전장치와 자체 AI 윤리 기준을 적용, 유해·위험 영상 생성을 차단하고, 모든 생성 영상에 C2PA 표준의 AI 생성물 표시를 부착한다.

 

빙 비디오 크리에이터는 현재 빙 모바일 앱(iOS·안드로이드)에서 우선 제공되며, 곧 데스크톱과 코파일럿(Copilot) 검색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MS와 오픈AI의 전략적 제휴로, AI 영상 생성 기술이 ‘빙’을 통해 대중에게 무료로 개방됐다. 텍스트만으로 누구나 짧은 영상을 만들 수 있는 시대가 현실이 된 것. AI 영상의 품질과 활용 범위는 앞으로 더욱 빠르게 진화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삼성전자, 美 테일러 파운드리 인력 파견 재개…"2026년 양산 목표 초읽기"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약 1년여 간 중단했던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에 건설 중인 첨단 반도체 파운드리 공장 인력 파견을 전격 재개했다. 이번 전개는 단순한 공정 정상화가 아닌, 미국 현지 고객 대응력 강화, 글로벌 반도체 리더십 재확장이라는 다층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중단된 인력 파견, 환율·설비조달 이슈 딛고 재개 복수의 업계 및 사내 관계자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7월부터 본사 반도체(DS) 부문에서 테일러 파운드리 공장으로의 인력 파견을 점진적으로 재개하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공정, 장비, 수율, 품질 부문 등 양산 전환에 필요한 '코어 역량 인력'으로 확인됐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환율 급등, 자재 확보 불균형 등으로 예정된 건설 속도를 조절하고 일부 파견 인력을 철수한 바 있다. 2024년 말까지 원∙달러 환율은 1390원대까지 상승하며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채산성을 떨어뜨렸다. 그러나 최근 환율 안정세, 미국 내 반도체 산업지원법(CHIPS Act) 본격화 등 긍정적인 대외 환경 변화 속에 인력 재파견을 서두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6년 양산 핵심 기로…“클린룸 마감 공사도 속도전” 삼성전자는 당초 계획대로 2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