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8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오픈AI ‘소라’ 영상 생성 AI, MS ‘빙’에서 무료 개방…AI 영상 대중화 '신호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오픈AI의 동영상 생성 인공지능(AI) 모델 ‘소라(Sora)’를 자사 검색엔진 ‘빙(Bing)’ 앱에 통합, 누구나 무료로 AI 영상을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기존에는 유료 챗GPT 플러스(월 20달러)나 프로(월 200달러) 구독자만 사용할 수 있었던 소라가, 빙 앱을 통해 전 세계 일반 사용자에게도 개방된 것이다.

 

빙 비디오 크리에이터, “텍스트만 입력하면 5초짜리 AI 영상 완성”

 

MS는 6월 2일(현지시간) 공식 발표를 통해 빙 앱에 ‘빙 비디오 크리에이터(Bing Video Creator)’ 기능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사용자는 MS 계정으로 로그인만 하면, 텍스트 프롬프트를 입력해 최대 10개의 동영상을 무료로 생성할 수 있다. 이후에는 영상 1개당 100 마이크로소프트 리워드 포인트를 사용해야 하며, 포인트는 빙 검색이나 MS스토어 구매 등으로 적립할 수 있다.

 

한 번에 최대 3개의 5초짜리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현재는 9:16(세로) 비율만 지원하지만, 조만간 16:9(가로) 비율도 제공될 예정이다. 생성된 영상은 빙 앱에서 90일간 저장되며, 다운로드 및 외부 공유도 가능하다.

 

AI 영상 제작, 누구나 손쉽게…“상상력만 있으면 OK”

 

빙 비디오 크리에이터는 오픈AI ‘소라’의 텍스트-투-비디오(T2V) 기술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묘사한 장면이나 상황을 5초 분량의 짧은 영상으로 자동 생성한다.

 

사용법은 간단하다. 빙 앱 하단 메뉴에서 ‘비디오 크리에이터’를 선택하거나, 검색창에 “Create a video of…”로 시작하는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된다. 프롬프트에 인물, 배경, 동작, 감정, 카메라 앵글 등 구체적 묘사를 추가할수록 영상 품질이 높아진다.

 

MS는 “특별한 순간, 스토리텔링, 소셜미디어 콘텐츠, 아이디어 브레인스토밍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며 “AI 영상 제작의 대중화와 창의력 민주화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품질과 한계, 그리고 책임 있는 AI


현재 소라 기반 빙 비디오 크리에이터로 생성되는 영상은 5초 분량의 짧은 클립이며, 품질은 구글 Veo 3 등 경쟁 모델 대비 다소 단순하거나 캐릭터 움직임이 어색할 수 있다. MS는 오픈AI의 기존 소라 안전장치와 자체 AI 윤리 기준을 적용, 유해·위험 영상 생성을 차단하고, 모든 생성 영상에 C2PA 표준의 AI 생성물 표시를 부착한다.

 

빙 비디오 크리에이터는 현재 빙 모바일 앱(iOS·안드로이드)에서 우선 제공되며, 곧 데스크톱과 코파일럿(Copilot) 검색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MS와 오픈AI의 전략적 제휴로, AI 영상 생성 기술이 ‘빙’을 통해 대중에게 무료로 개방됐다. 텍스트만으로 누구나 짧은 영상을 만들 수 있는 시대가 현실이 된 것. AI 영상의 품질과 활용 범위는 앞으로 더욱 빠르게 진화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지구칼럼] 200만년간 지속된 독성 납 노출, 현대인·네안데르탈인 유전적 차이…"납중독, 인류 뇌 진화·언어능력 결정적 영향"

[뉴스스페이스=윤슬기자] 최근 Science Advances에 게재된 국제 공동연구가 기존의 납 독성은 산업화 이후 나타난 현상이라는 통념을 뒤집었다. Phys.org, news.asu.edu, ScienceAlert, bioengineer에 따르면, 서던크로스대학교, UC 샌디에이고, 마운트 시나이 의과대학 연구진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전역에서 출토된 51개의 화석 치아를 고정밀 레이저 절단 기술로 분석한 결과, 73% 표본에서 간헐적 납 노출의 흔적인 ‘납 띠’를 확인했다. 이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부터 네안데르탈인, 현생 인류까지 다양한 호미닌 종에서 공통으로 발견됐으며, 납 노출이 산업혁명보다 훨씬 이전인 약 200만 년 전부터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자연 환경이 납 오염의 주요 원인 과거 납 노출은 동굴 내 오염된 물, 화산재, 자연 지질학적 작용 등으로 음식 사슬에 축적됐다. 현대 산업용 납과 같이 인위적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닌 자연 발생적 납 노출이 반복되며 인류 진화 과정에 일상적으로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 밝혀졌다. 연구진은 20세기 납 휘발유 사용 시기 태어난 인물들의 치아에서 거의 동일한 납 노출 경향을 발견해 진화적 지속성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