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생성형 AI 챗GPT의 개발사 오픈AI가 한국 법인 설립과 서울 사무소 개소를 공식화하며, 한국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오픈AI는 전 세계에서 챗GPT 유료 구독자가 미국 다음으로 많은 한국을 아시아 3번째, 글로벌 12번째 거점으로 삼고, 향후 대규모 AI 인프라 협력과 ‘한국형 AI’ 개발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한국, 챗GPT 유료 구독자 세계 2위…AI 도입 ‘가장 활발’
오픈AI는 26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은 챗GPT 유료 구독자 수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전체 사용자 수 기준 세계 10위권”이라며 “지난 1년간 주간 활성 사용자(WAU)도 4.5배 이상 늘었다”고 밝혔다. 오픈AI API를 활용하는 개발자 수도 세계 10위권, 유료 비즈니스 사용자 수는 세계 5위권에 들 정도로 AI 활용이 활발하다.
서울 사무소, 아시아 3번째…“한국형 AI 생태계 지원”
새로 설립되는 ‘오픈AI코리아’는 일본 도쿄, 싱가포르에 이은 아시아 3번째 지사다. 오픈AI는 이미 카카오, 크래프톤, SK텔레콤, 한국산업은행 등 국내 주요 기업과 협업을 진행 중이며, 서울 사무소 개소로 파트너십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제이슨 권 오픈AI 최고전략책임자(CSO)는 “한국은 반도체부터 소프트웨어, 스타트업까지 AI 전 영역을 아우르는 풀스택 생태계를 갖췄다”며 “학생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한 세대가 AI를 일상적으로 활용하는 선도국”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에서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의미 있는 AI 혜택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AI 인프라·데이터센터 협력도 추진
오픈AI는 한국 정부 및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AI 인프라 확장, 맞춤형 모델 개발, 데이터센터 구축 등도 적극 모색할 방침이다. 최근 아랍에미리트(UAE)와 추진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와 유사한 대규모 인프라 협력도 검토 중이다. 권 CSO는 “한국의 AI 인프라 확충과 데이터센터 구축에 관심이 많다”며 “국가 AI컴퓨팅센터 사업 등 정부와의 협력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설명했다.
정치권과도 연쇄 회동…‘AI 동맹’ 강조
오픈AI는 이날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등 여야 대선 캠프와도 잇따라 비공개 회동을 갖고, AI 인프라 투자와 ‘한국형 AI’ 생태계 조성 방안을 논의했다. 권 CSO는 “AI는 정치를 초월한 국가적 과제”라며 “한국 정부의 AI 투자 의지와 협력 기회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AI 시장 지각변동 예고
오픈AI의 공식 진출로 국내 AI 생태계와 산업 지형에도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 챗GPT는 이미 국내 생성형 AI 앱 시장 점유율 72%를 차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글로벌 AI 공룡의 본격 진출이 국내 기업의 ‘소버린 AI’ 전략에 도전이 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AI 혁신 생태계의 한 단계 도약 계기가 될 것이란 기대가 교차하고 있다.
오픈AI의 한국 진출은 국내 AI 혁신의 가속화와 함께, 글로벌 AI 생태계의 전략적 거점으로서 한국의 위상을 한층 높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