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테슬라 공장서 로봇이 인간 공격…피해 직원 710억원 손해배상 소송 제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캘리포니아주 프리몬트에 위치한 테슬라 생산 공장에서 2023년 7월 22일, 통제 불능 상태에 빠진 로봇이 직원 피터 힌터도블러를 강한 힘으로 쳐 중상을 입히는 사고가 발생해 5100만 달러(약 710억원) 규모의 소송이 제기됐다.

 

The Independent, OSHA, 유럽 제조업 연구 보고서 등에 따르면, 힌터도블러는 당시 모델3 생산 라인에서 로봇을 분해하는 작업을 돕던 중 갑작스러운 로봇 팔의 강력한 분리와 3400kg에 달하는 균형추의 충격으로 의식을 잃는 중상을 입었다.

 

지금까지 100만 달러(약 14억원)의 치료비가 들어갔으며, 최소 600만 달러(약 83억원)의 추가 치료비가 예상된다.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에 대한 보상 청구액도 포함해 총 손해배상 청구액은 5100만 달러에 달한다.

 

힌터도블러는 테슬라 뿐만 아니라 로봇 제조사인 일본 화낙(FANUC)을 상대로도 안전 관리와 설계 부실을 이유로 소송을 제기했으며, 사건은 현재 미국 오클랜드 연방법원에 계류 중이다.

 

힌터도블러 측은 "테슬라가 로봇을 지정되지 않은 구역에 배치하고 사건 당시 영상 제공을 거부하는 등 안전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번 사건은 테슬라에서 발생한 로봇 관련 사고로 처음이 아니다. 2021년에는 텍사스 오스틴 기가팩토리에서 로봇이 엔지니어를 벽에 밀치고 금속 집게로 등과 팔을 찌르는 사건이 있었다. 피해자는 동료가 비상정지 버튼을 눌러 가까스로 빠져나왔으며, 현장은 혈흔으로 심각한 부상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산업 현장 로봇 사고는 미국을 포함한 세계 제조업 현장에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1979년 미국 포드 공장에서 처음으로 로봇 사고로 사망자가 발생한 이래, OSHA(산업안전보건청)의 자료에서는 로봇과 관련된 치명적 부상과 사망 사례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유럽 제조업에서 로봇 도입이 늘어남에도 불구하고, 엄격한 안전 기준과 근로자 보호가 동반될 경우 오히려 부상과 사망 사고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11~2019년 유럽 18개국 15개 제조업 산업 조사에서, 로봇 사용량 10% 증가 시 사망률은 0.07% 감소, 부상률은 1.96%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 감소는 기술집약 산업과 강력한 근로자 보호가 있는 국가에서 더 두드러졌다.

 

한편, 일본 화낙은 과거에도 로봇 사용 중 발생한 사고와 관련해 소송 전력이 있으며, 2015년 미시간주 한 자동차 부품 공장 정비 엔지니어가 화낙 로봇에 걸려 두개골 골절로 사망한 사례가 있다. 이처럼 제조업에서 로봇과 직원간 안전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되는 실정이다.

 

테슬라와 화낙은 이번 소송과 관련해 아직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으며, 이번 사건은 첨단 자동화 산업 현장에서의 안전 관리 문제와 함께 로봇과 인간 노동자의 공존 방안에 대해 심층적 논의가 필요한 대목으로 보인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구글, AI 챗봇 ‘제미나이 포 홈’ 탑재 스마트홈 공개…아마존 ‘알렉사+’와 경쟁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구글이 2025년 10월 1일(현지시간) 스마트홈 브랜드 네스트(Nest)의 신제품을 공개하며, 생성형 인공지능(AI) ‘제미나이 포 홈(Gemini for Home)’을 탑재한 스마트홈 기기 대중화에 나섰다. 이에 앞서 하루 전 공개된 아마존의 ‘알렉사+’ 탑재 신형 홈 기기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구글 2025 공식 블로그, 토큰포스트,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이번에 공개된 구글 신제품은 2K 해상도의 네스트 캠 인도어·아웃도어 카메라, 신형 네스트 도어벨, 360도 음향을 지원하는 소형 홈 스피커 등이다. 특히 ‘제미나이 포 홈’ AI 플랫폼은 기존의 구글 어시스턴트를 완전히 대체하며, 사용자가 대화하듯 자연스럽게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점이 핵심이다. 구글은 향후 지난 10년 간 판매된 네스트 디스플레이, 스피커, 카메라, 도어벨 등 모든 스마트홈 기기에도 ‘제미나이 포 홈’을 적용할 계획이다. ‘제미나이 포 홈’은 복잡한 대화 문맥을 이해하고 다단계 명령 수행이 가능하며, 사용자 반복 없이 한결 자연스러운 음성 대화를 통해 스마트홈 전반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스피커에 있는 재료를 알려주면 AI가 즉